• 제목/요약/키워드: kamtschaticu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초

재배 삼나물 뿌리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소거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 (Free radical scavenging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of a roots extract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 정경한;김태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89-994
    • /
    • 2016
  • 삼나물 뿌리를 80% 메탄올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n-hexane, EtOAc 및 n-BuOH의 유기용매를 활용하여 순차 분획을 실시하였고, 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EtOAc 층에서 $IC_{50}$값이 $32.3{\pm}2.3{\mu}g/mL$으로 가장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삼나물 뿌리 의 EtOAc 가용부에 다량 존재하는 페놀성 화합물과 라디칼 소거능과의 연관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은 EtOAc 층의 $IC_{50}$값이 $18.9{\pm}2.1{\mu}g/mL$의 우수한 라디칼 소거활성이 확인 하였고,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물질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또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EtOAc 층의 $IC_{50}$$57.8{\pm}7.8{\mu}g/mL$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positive control인 acarbose의 $IC_{50}$값인 $501.1{\pm}17.5{\mu}g/mL$과 비교하여 우수한 활성이었으며, 추출물 상태의 시료를 단일물질로 정제할 경우 더욱 강한 효능의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 동정을 통한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보다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 및 ${\alpha}$-glucosidase 저해능을 가지는 새로운 기능성 소재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DNA Damage Protectio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Different Solvent Fractions from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 Zhang, Qin;Kim, Hye-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14-719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DNA damage protectio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different solvent fractions from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A. dioicus) aerial parts water extract. As for DNA damage protection, distilled water ($H_2O$) fraction displayed the most powerful protection for DNA damage at a concentration of 1 mg/ml. As for anti-inflammatory activity, dichloromethane ($CH_2Cl_2$) fraction exhibited the highest NO inhibition activity, ranging from 61% to 19% ($10-40{\mu}g/ml$). Furthermore, the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mRNA expressions an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ere employed to verify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CH_2Cl_2$ fraction on further researches. It could be concluded that A. dioicus had a significantly effect of DNA damage protectio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which also as an essential edible vegetable and medicinal species.

울릉도산 울릉미역취, 부지갱이 및 삼나물의 화학성분 특성 (Chemical Components of Solidago virgaurea spp. gigantea, Aster glehni var. hondoensis and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Grown on Ulleung Island, Korea)

  • 최맑음;정헌식;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76-581
    • /
    • 2008
  • 울릉도산 산채인 울릉미역취, 부지갱이 및 삼나물의 식품학적 가치평가와 활용증대를 위한 기본 자료를 얻기 위하여, 건조 산채분말의 일반성분, 유기산, 유리 아미노산, riboflavin, thiamin, 지방산, 카테킨 및 미네랄 성분 함량을 각각 분석하였다. 산채류의 일반성분으로 수분함량은 $3.77{\sim}5.72%$, 조단백질은 $15{\sim}29%$, 조지방은 $3.50{\sim}6.68%$, 조섬유질은 $4.00{\sim}6.01%$, 조회분은 $8.70{\sim}10.54%$를 각각 나타내었다. 유기산의 종류와 함량은 산채별 차이가 있었으며 succinic acid, citric acid, malonic acid 등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유리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phenylalanine 등의 함량이 높았으며 품목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Riboflavin 함량은 삼나물에서 약 90 mg%, 다른 산채는 $2{\sim}3mg%$이었고, thiamin 함량은 부지갱이에서 113 mg%, 삼나물에서 85 mg%, 울릉미역취에서 71 mg%를 나타내었다. 지방산은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 등의 함량이 높았고 이중 linolenic acid가 전체 지방산의 약 60% 정도를 차지하였다. 카테킨류는 삼나물에서 5.37 mg%, 울릉미역취에서 2.46 mg%, 부지갱이에서 1.29 mg%를 각각 나타내었고 삼나물의 주된 카테킨은 (-) EGC이었으며 다른 산채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미네랄 성분은 Ca, P, Na의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Cytotoxic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from the Aerial Part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 Zhao, Bing Tian;Jeong, Su Yang;Vu, Viet Dung;Min, Byung Sun;Kim, Young Ho;Woo, Mi He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9권1호
    • /
    • pp.66-70
    • /
    • 2013
  • Ten compounds (1 - 10), palmitic acid (1), 10-nonacosanol (2), pentacosan-1-ol (3), phytol (4), ${\beta}$-sitosterol (5), ${\beta}$-sitosterol-3-O-${\beta}$-D-glucopyranoside (6), 2,4-dihydroxycinnamic acid (7), hyperoside (8), uridine (9) and adenosine (10), were isolated from the n-hexane and EtOAc-soluble fractions of the aerial parts of A. dioicus var. kamtschaticus (Rosaceae).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elucidated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evidence. All compounds (1 - 10)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Cytotoxicity of 1 - 10 against Jurkat T (T-lymphocytic leukemia cells), HeLa (Human cervical epitheloid carcinoma cells),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and HL-60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s) cell lines was measured. Compound 6 showed good cytotoxicity against HL-60 cell line with $IC_{50}$ value of 8.13 ${\mu}g/mL$. In addition, compounds 7 and 8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with $IC_{50}$ values of 16.30 and 12.42 ${\mu}g/mL$, respectively.

NaCl 처리가 눈개승마[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Maxim.) H. Hara]의 생육과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Cl Treatment on Growth and Physiologycal Activity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Maxim.) H. Hara)

  • 남현화;이주희;추병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89-804
    • /
    • 2017
  • 본 논문은 염(NaCl) 처리 시 눈개승마의 생육과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0, 100, 200, 300 mM의 농도로 염 처리를 하였다. 처리 30일 후 초장, 엽폭, 엽장 및 무기 이온 함량을 측정하여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항산화 활성 및 염증 생성 물질인 NO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염 처리 시 대조구에 비하여 생육 저하되었으며 염 농도 100, 200, 300 mM 처리구 간의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무기이온 함량은 염 처리시 $Na^+$의 함량은 증가하였고 $K^+$의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Ca^{2+}$ 함량은 염 처리 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고 $Mg^{2+}$ 함량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00 mM 이상의 농도에서는 $Na^+$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됨에 따라 식물 생장에 불리한 $K^+/Na^+$, $Ca^{2+}/Na^+$, $Mg^{2+}/Na^+$ 비를 초래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0 mM 이상의 염 농도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며 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DPPH, ABTS radical 소거활성 및 환원력에서도 대조구에 비해 염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염 처리 시 눈개승마의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 cell에서의 세포독성 및 항염증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CK assay와 염증 생성 물질인 NO 생산량을 측정한 결과, 염 처리구에서 모두 100% 이상의 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NO 생산량의 경우 항산화 활성의 경향과 마찬가지로 대조구에 비해 100 mM 이상의 염 처리구에서 NO 생산 억제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염 처리시 100 mM 이상의 농도에서 눈개승마의 생육과 항산화, 항염증 활성이 저하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염 스트레스로 인해 생장과 생리활성 저하를 유발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눈개승마의 경우 100 mM 미만의 농도에서 생육 및 생리활성 유지에 적합한 조건을 확립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ccurrence of Goat's-Beard Powdery Mildew Caused by Podosphaera ferruginea in Korea

  • Lee, Sang-Yeob;Kim, Wan-Gyu;Hong, Sung-Kee;Lee, Young-Ke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99-301
    • /
    • 2009
  • Powdery mildew symptoms were frequently on plants of goat's-beard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found cultivated in the island Ulleungdo in June 2008. The symptoms appeared as powdery mycelial colonies and dark brown cleistothecia on leaves, petioles, stems and budding flowers of the plant. Incidence of the disease was as high as 50-80% in the goat's-beard fields. Specimens of the diseased plants were collected and examined f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usal fungus.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idial stage and the teleomorph,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Podosphaera ferruginea. This is the first report of goat's-beard powdery mildew caused by Podosphaera ferruginea in Korea.

Bioactive Constituents from the n-Butanolic Fraction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 Vo, Quoc Hung;Nguyen, Phi Hung;Zhao, Bing Tian;Thi, Yen Nguyen;Nguyen, Duc Hung;Kim, Won Il;Seo, U Min;Min, Byung Sun;Woo, Mi He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0권4호
    • /
    • pp.274-280
    • /
    • 2014
  • Six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n-BuOH fraction of the aerial part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including: sambunigrin (1), prunasin (2), aruncide A (3), aruncide C (4), 1-O-caffeoyl-${\beta}$-D-glucopyranose (5), and caffeic acid (6). Their structures were confirmed by comparing the spectral data with those reported in the literature. The isolated compounds (1 - 6) were then examined for their cytotoxic effects towards MCF-7, HL-60, and HeLa cancer cell lines, as well as thei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mpound 4 possessed the strongest inhibitory effect toward HeLa cell line with $IC_{50}$ value of $5.38{\pm}0.92{\mu}M$. Compound 3 possessed selective cytotoxic activity on HL-60 cells with $IC_{50}$ value of $6.27{\pm}0.17{\mu}M$, compound 5 was found as the best in inhibiting proliferation with $IC_{50}$ value of $2.25{\pm}0.09{\mu}M$, and the other compounds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with $IC_{50}$ values ranging from 6.10 to $11.27{\mu}M$. Compound 5 also displayed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 toward MCF-7 cell line ($IC_{50}$ $4.32{\pm}0.15{\mu}M$). Both 5 and 6 demonstrated strong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_{50}$ $6.87{\pm}0.03$ and $4.33{\pm}0.22{\mu}M$, respectively). Compounds 1 and 5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포도당 처리로 유도된 뇌신경세포 독성에 대한 눈개승마 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extract against hyperglycemic-induced neurotoxicity)

  • 박수빈;이욱;강진용;김종민;박선경;박상현;최성길;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668-67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눈개승마(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의 in vitro 산화방지활성 및 고당(intensive glucose)과 과산화수소($H_2O_2$)로 야기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뇌신경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와 더불어 알파글루코사이드가수분해효소 및 아세틸콜린에스터가수분해효소 억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HPLC를 이용하여 주요 물질을 분석하였다. 눈개승마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thylacetate fraction from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EFAD)은 매우 우수한 총 페놀화합물 함량(430.08 mg GAE/g)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511.72 mg RE/g)을 나타냈으며, 높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과 과산화지방질생성물의 억제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당(intensive glucose)과 과산화수소($H_2O_2$)로 야기된 뇌신경세포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및 이로 인한 뇌신경세포 사멸을 측정한 결과, 눈개승마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AD)의 유의적인 뇌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다당류 분해 효소인 알파글루코사이드가수분해효소 억제효과 및 아세틸콜린 분해 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터가수분해효소 억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혈당 상승 억제효과와 뇌신경전달물질의 세포 내 유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눈개승마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AD)의 주요 페놀성 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HPLC분석을 한 결과 카페산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들을 고려할 때, 눈개승마는 고혈당 지연 또는 개선을 통한 고혈당 예방 소재로서의 가능성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야기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뇌신경 세포를 보호함으로써 고혈당에 의한 대사성 뇌신경질환 예방 소재로도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눈개승마(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Extracts)

  • 김미선;김경희;조지은;최종진;김영진;김종환;장순애;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7-55
    • /
    • 2011
  • 본 연구는 눈개승마의 80%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tyrosinase 저해활성 및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눈개승마의 생리활성효과와 식품 보존제 및 화장품 원료 등의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눈개승마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335.88{\pm}2.26$ mg/g GAE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눈개승마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IC_{50}$이 0.06 mg/mL, n-butanol 분획물이 0.25 mg/mL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0.5 mg/mL)은 ethyl acetate, n-butanol 분획물이 각각 $99.16{\pm}0.09%$, $89.29{\pm}0.64%$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력과 FRAP value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80.76{\pm}0.61%$(ethyl acetate), $72.34{\pm}0.79%$(n-butanol)로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5 mg/mL의 농도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이 $59.08{\pm}0.98%$로 나타났다. 항균활성은 chloroform 분획물(0.1 mg/disc)이 B. cereus(14 mm), B. subtilis(12.5 mm), S. aureus(10.8 mm), E. coli(20.7 mm)와 같이 4종류의 세균에 대해 항균활성이 높았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은 E. coli(17.2 mm, 0.5 mg/disc)에 대해 나타내었다. 눈개승마 chloroform 분획물의 최소저해농도는 B. cereus가 $50{\mu}g$/mL, E. coli가 $25{\mu}g$/mL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눈개승마의 ethyl acetate와 n-butanol 분획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chloroform 분획물은 높은 항균력을 가지고 있어 눈개승마의 분획물들은 식품첨가물 및 식품보존제 등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차광처리가 눈개승마 유묘의 생장 및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ading Treatments on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Maxim.) H. Hara Seedling)

  • 이경철;한상균;권영휴;전성렬;이창우;서동진;박완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0-37
    • /
    • 2019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hotosynthetic parameters, chlorophyll content,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seedlings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Methods and Results: The shading treatment was regulated with the shading level (non-shaded, 35%, 55%, and 75% shading). Photosynthetic activities, such as net photosynthetic rate, stomatal conductance, stomatal transpiration rate, and performance index on absorption basis ($PI_{ABS}$)were the highest under 35% shading ($4.36{\mu}mol\;CO_2{\cdot}m^{-2}{\cdot}s^{-1}$, $54.2mmol\;H_2O{\cdot}m^2{\cdot}s^{-1}$, $0.66mmol\;H_2O{\cdot}m^{-2}{\cdot}s^{-1}$, and 1.3, respectively), and the lowest under 75% shading. This implies that the decrease in net photosynthetic rate may be due to an inability to regulate water and $CO_2$ exchanged through the stomata. Thechlorophylla, b, and a + b contents were increased with elevating shading level and the chlorophyll a/b ratio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s. It was found that the dry weight (leaf, shoot, and whole) was the highest (1.14 g, 0.49 g, and 2.31 g, respectively) under 35% shading and the t/R ratio was the highest under 75% shading. Conclusions: It is concluded that 75% shading exhibited a strong reduction of photosynthetic activity, and 35% shading showed the best conditions for the early growth and cultivation of A. dioicus var. kamtschati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