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casein macropeptid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미생물이 생산하는 응유효소(제13보) 미생물 응유효소 Mucor-rennin의 k-casein에 대한 작용

  • 오두환;아리마캐이;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6년도 제7회 학술발표회
    • /
    • pp.182.5-183
    • /
    • 1976
  • Mucor-rennin(MR)과 Calf-rennin(CR)을 k-Ca-sein에 반응시켜 para-k-Casein과 macropeptide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Para-k-casein과 macropeptide에 대한 전기영동, 원소분석을 행하였다. MR로 분해하여 얻은 para-k-casein의 N-미단은 없고, Cpase를 반응시켰을 때 Paper chromatography 상에서 Phe, Leu를 확인할 수 있었다. Macropeptide의 N미단은 Edman법에 의하여 Met으로 확인되였다. 이 결과로부터 CR은 para-k-casein의 C미단 Phe과 macropeptide의 N미단 Met간의 결합 즉 Phe-Met결합을 가수분해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CR을 k-casein에 작용시켜 얻은 기질특이성은 MR의 결과와 같았다.

  • PDF

우유의 k-Casein에서 분해된 Glycomacropeptide에 관한 연구; II. Trichloroacetic Acid의 농도에 따른 k-Casein Macropeptide 분별 특성의 변화 (Glycomacropeptide Hydrolysed from Bovine K-Casein ; II. Chromatographic Changes of k-Casein Macropetide as Related to Trichloroacetic Acid Concentration)

  • 문용일;이원재;오세종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78-482
    • /
    • 2005
  • k-Casein을 정제한 후 여기에 chymosin을 반응시켜 얻어진 k-Casein macropeptide에 대한 trichloroacetic acid 처리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고자 ion exchange column으로 분별하여 chromatogram을 비교하였다. P-I의 경우 $3\%$ TCA에서는 전체 peak면적 대비 $46.64\%$이었으나, $6\%$$12\%$ TCA로 영향을 크게 받아 많이 침전되었으며, 상대적으로 당 함량이 높은 peak들은 TCA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lera 독소와 결합하는 것으로 보고된 P-III는 $3\%$ TCA에서는 $10.2\%$이었으나 $6\%$ TCA 경우에는 $26.3\%$로 상대적 면적이 증가하였으나 $12\%$ TCA로 처리한 경우에는 $13.2\%$로 감소하였다. $0.2\~0.3M$의 NaCl에서 용출되는 peak는 $12\%$ TCA에서도 상당한 안정성을 보였다. 0.18M의 NaCl gradient에서 용출되는 P-III는 $6\%$$12\%$ TCA처리시에도 cholera 독소와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