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ice extraction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6초

파프리카 발효즙의 화장품 소재개발 연구 (Development of Cosmetic Ingredient by Fermented Paprika Juice)

  • 배수정;송민현;오정영;배준태;김진화;이근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7-12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화장품 원료의 유기용매 추출법과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법의 장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생(生) 천연물에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를 통해 과즙을 만드는 새로운 제조법으로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였다. 천연물은 다양한 색상과 비타민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진 파프리카 중 두 가지 색상(빨간색, 녹색)을 선정하였고, 발효에 사용된 미생물로서 당분해 효소능이 있는 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해 파프리카에 접종하여 발효하였다. 먼저 고압으로 착즙한 파프리카 생즙 2종과 유산균으로 발효한 발효즙 2종의 생리활성변화를 확인해 보았다. 총 페놀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실험 결과, 파프리카 생즙보다 발효즙에서 모두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빨간색 파프리카 발효즙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프리라디칼 소거효과와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역시 파프리카 생즙에 비해 발효즙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나타났으며, 그중 빨간색 파프리카 발효즙의 효과가 가장 높았다. 항산화 효과가 높은 빨간색 파프리카 발효즙을 이용해 MMP-1 발현실험을 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MMP-1 mRNA와 MMP-1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노화에 따른 glycation(당화현상) 실험의 경우, 파프리카 발효즙에서 상대적으로 anti-glycation 효과로 최종 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 생성 억제 활성이 높아 항산화효과와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세포노화 지표물질인 senescence-associated ${\beta}$-galactosidase (SA-${\beta}$-gal) 활성을 사람 섬유아세포(HDF)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파프리카 발효즙을 처리하였을 때 노화에 의해 염색된 세포의 수가 감소하여 세포의 senescence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파프리카는 생즙보다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즙이 항산화 효과와 항노화 효능이 우수했으며, 그중 빨간색 파프리카 발효즙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와 항노화 효능을 가져 이를 이용한 항산화 및 항노화의 천연 신소재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무즙을 이용한 Candida utilis ATCC 42416균체 생산 (Chinese Radish Juice as a Growth Substrate for the Production of Candida utilis ATCC 42416 Biomass)

  • Hyun Ku Kim;Sue-Young Suh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34-439
    • /
    • 1995
  • 단세포 단백질 자원으로 이용 가능한 균주로 알려진 Candida utilis ATCC 42416 균체를 생산하기 위하여 무를 파쇄하여 얻은 무즙을 배지로 균체배양 실험을 하였다. 무즙의 수용성 고형물과 총 당량은 각각 5.0~8.8 Brix와 3.5~6.5%였다. C. utilis ATCC 42416 균주를 무즙에 접종하여 $30^{\circ}C$에서 200rpm으로 진탕 배양하였을 때 24시간 이내에 증식이 끝났으며, 단위 소모당에 대한 최대 균체 생산량은 당농도 1% 회석 무즙에서 L당($5\;\times\;DCRI$) 21.5g의 건조균체를 생산하였다. 5배 회석무즙에 약간의 영양소 glucose(2.0%), yeast extract(0.2%), peptone(0.2%), ammonium sulfate(0.2%) 및 $KH_2PO_4(0.2%)$ 등을 각각 보강하여도 증식 속도, 균체생산 및 세포 단백질 함량 등에 차이가 거의 없어서 무즙자체가 C. utilis ATCC 42416 균체 생산에 좋은 기질이었음을 알 수 있다.

  • PDF

청수 포도의 양조특성에 미치는 세포벽분해효소와 침용시간의 영향 (Effect of cell wall degrading enzyme and skin contact time on the brewing characteristics of Cheongsoo grape)

  • 전진아;박서준;여수환;최지호;최한석;강지은;정석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46-85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청수 포도의 양조 특성에 미치는 세포벽분해효소와 침용 처리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착즙의 용이성은 세포벽분해효소 처리와 침용처리에서 우수하였으며, 착즙액의 방향은 5일간 침용처리 후 압착한 것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착즙수율도 대조구에 비하여 세포벽분해효소와 침용처리에서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H와 총산, 가용성고형물은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pH는 3.1-3.4, 총산은 0.5~0.6%, 가용성고형물은 $6.7{\sim}7.1^{\circ}Brix$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알코올 함량은 세포벽분해효소 처리구가 13.3%으로 가장 높았으며, 침용처리구는 상대적으로 알코올 함량이 낮은 특징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침용처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10일간 침용처리시 306.4 mg/L로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청수와인의 주요 유기산은 사과산과 주석산이었으며, 구연산, 호박산 및 젖산도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세포벽분해효소와 침용처리는 청수와인 제조에 있어서 착즙의 용이성을 더 좋게 하며, 착즙수율이나 휘발성성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음조위탕(太陰調胃湯)의 유탕억제효능(遺瘍抑制效能)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ulcerous inhibitory effects of Taeumchowetang)

  • 박동언;김달래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7-243
    • /
    • 1997
  • The experimental study used in this paper was done to examine the clinical effects of Taeumchowetang for the gastric ulcer and the function of gastrointestinal tract using rats and mice which were administered orally the water extraction from Taeumchowetang. Then, the counter-action of the water extraction on the isolated ileum and gastric fundus, the inhibitory effects of pylorus-ligated ulcer and indomethacin-induced ulcer, the associations with gastric juice secretion, total acidity, pepsin output, the transportability in the small and large intestine, were studied with administering acetylcholine chloride and barium chloride.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central nervous system related to pain control and sleeping time was influenced by Taeumchowetang.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1. As resulting from injection of acetylcholine chloride and barium chloride into the isolated ileum of rats and mice, Taeumchowetang led to have an inhibitory effect on the muscle contraction of the ileum. Then, acetylcholine chloride was measured as lower effect than barium chloride 2. For the inhibitory effect on contraction for the gastric fundus strip in rats by either acetylcholine chloride or barium chloride, the one showed low inhibitory effect, on the other hand the other showed density-dependent effect. 3. The water extraction was given on the pylorus ligated ulcer with using two different administration groups of 1,300mg/kg and 2,600mg/kg, each result was measured as 22.9% and 36.5% for an ulcerous inhibitory effect (p<0.05). 4. According to the two administration groups, the preventive effect was tabulated 18.1% and 29.3% for indomethacin-induced ulcer (p<0.05, P<0.01). 5. For associations with gastric juice secretion, total acidity, pepsin output in the administration group 2,600mg/kg, Taeumchowetang was recognized as having an inhibitory effects related to suppressive actions involving gastric juice secretion(p<0.05), and free acidity(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otal acidity and pepsin output. 6. To know the transportability in the intestine, BaSO4 solution was used. The transportability of the small intestine in the administration group 2,600mg/kg was 22.2%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large intestine's transportability(P<0.01). 7. In the administration group 1,300mg/kg and 2,600mg/kg, analgesic effect with against acetic acid was measured as being 16.8% and 24.4% which was shown as statistically siginificant(p<0.01). 8.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aeumchowetang and sleeping time was found in both 1,300mg/kg and 2,600mg/kg by administering phenobarbital-N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aeumchowetang has agreed with the effects of literature review. Further more in this study, Taeumchowetang also has preventive effects on pylorus-ligated ulcer. Hence, Teaumchowetang can be significant effect such as both anti ulcer agent and increasing gastric activity for the patients who suffer from gastric ulcer.

  • PDF

냉동저장 및 추출방법에 의한 딸기의 생리활성 변화 (Change of Biological Activity of Strawberry by Frozen Storage and Extraction Method)

  • 윤선주;조준구;최웅규;권대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734-1738
    • /
    • 2007
  • 딸기의 가공방안을 높이고, 안정된 수급과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냉동저장과 추출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냉동저장기간(3, 6개월)에 따른 딸기의 총 phenol 함량은 딸기즙이 $2.342{\mu}g/ml$. 열수추출물은 $2.235{\mu}g/ml$로 나타났다. 반면, 총 flavonoid성 함량은 딸기즙은 $200.36{\mu}g/ml$로 나타났고, 열수추출물은 $201.07{\mu}g/ml$로 나타났고, 냉동저장기간 동안 총 phenol 함량과 총 flavonoid성 함량은 비교적 차이가 없었다. 딸기의 항산화 효과는 전자공여능이 딸기즙과 열수추출물이 각각 94.2%, 93.5%로 나타났고, ABTS는 각각 99.9%, 100%로 높게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의 저해활성의 경우 딸기즙이 93.0%, 열수 추출물은 99.9%로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고, 열수추출물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딸기즙과 열수추출물이 32.5%, 38.0%로 열수추출물이 비교적 높은 SOD유사활성을 나타내었고, 냉동기간에 의한 항산화 효과는 비교적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냉동 저장 시 항산화활성의 차이가 거의 없음으로 연중 원료의 안정적인 수급과 식품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수에서의 색소 추출과 저장 안정성 (Colorant Extracting and Its Storage Stability from Sorghum)

  • 배도규;이성은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8권
    • /
    • pp.9-1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수수피에 함유된 천연색소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추출방법에 따른 색소 추출 효율과 저장안정제 첨가에 따른 저장 안정성과 특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용액 추출 시 온도가 높을수록, 시간이 경과될수록 색소 추출 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pH 조건에서는 pH 4가 가장 효율적이었다. 2. 착액 추출 시, 단시간 전처리에서는 증류수가 pH 5에서보다 색소 추출량이 많았지만, 20시간 이상의 장시간 전처리에서는 오히려 pH 5에서 많게 나타났다. 3. 수수피 색소용액의 pH 변화에 따른 색도는, pH가 증가할수록 옅은 황색에서 짙은 황색을 거쳐 붉은색 톤으로 변화하였다. 4. 저장 안정제로 Methionine을 첨가한 결과에서는 첨가에 따른 수수피 색소의 안정화 효과에서 저장기간 18일까지는 변색 지연 효과를 보였으며, Methionine 10 mmol 첨가>20 mmol 첨가>무첨가 순으로 안정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PDF

검정동부 종피에서의 색소 추출과 추출색소의 저장 안정성 연구 (Research on the Colorants Extraction from Black Cowpea Seed Coats and their Storage Stability)

  • 정양숙;최경진;강항원;배도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99-50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검정 동부 종피에 함유된 천연색소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추출방법에 따른 색소 추출 효율과 저장안정제 첨가에 따른 저장 안정성과 특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용액 추출 시 온도가 높을수록, 시간이 경과될수록 색소 추출 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pH 조건에서는 pH 4가 가장 효율적이었다. 2) 착액 추출 시, 단시간 전처리에서는 pH 4가 pH 5에서보다 색소 추출량이 많았지만, 15시간 이상의 장시간 전처리에서는 오히려 pH 5에서 많게 나타났다. 3) 검정동부 색소용액의 pH 변화에 따른 색도는, orange-red색(pH 3.0), orange색(pH 4.0~6.0), blue색(pH 7.0) 그리고 greenish-blue색(pH 9.0~11.0)으로 Antocyanin과 유사한 거동을 보였다. 4) 저장 안정제로 Methionine을 첨가한 결과에서는 첨가에 따른 검정 동부 색소의 안정화 효과에서 저장 기간 18일까지는 변색 지연 효과를 보였으며, Methionine 10 mmol 첨가>20 mmol 첨가>무첨가 순으로 안정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5) 검정 동부 종피로부터 착액 추출한 색소 분말을 paper chromatography한 결과, 하나의 긴 띠 모양으로 전개되었으며 Rf 값은 각각 0.68(BAW), 0.53(30% acetic acid)으로 나타났다. 6) Chromatograph paper상에서 전개속도에 따라 3분획으로 구분하여 취한 색소의 spectrum 분석에서는 552 nm의 shoulder의 존재 유무를 근거로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색소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었다.

조생온주 밀감의 품종에 따른 Flavonoids 함량 분석에 관한 연구 (HPLC Analysis of Some Flavonoids in Citrus Fruits)

  • 이창환;강영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81-187
    • /
    • 1997
  • New HPLC method was developed for determination of some flavonoids such as naringin, hesperidin, neohesperidin, rutin, quercitrin, naringenin, hesperetin and apigenin and their contents in citrus juice and citrus peel from citrus varieties Brown in Cheju. Detection was at 280nm and reverse phase ${\mu}$-Bondapak C-18 column was used. Water/methanol/acetic acid as the mobile phase was better than water/acetonitrile/acetic acid. Flavonoids were more stable in 20% n,n-dimethylformamide in methanol(20% DMF) than methanol and pH 12 adjusted by 1N-sodium hydroxide solution. Standard flavonoid solutions were injected three times consecutively and the reproduciability was 0.236 to 3.550%,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calibration curve was 0.9946 to 0.9999. The exiraction efficiency of hesperidin from citrus peel was evaluated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 such as reflux, ultra-sonicating method, using three solvents (aqueous solutions with pH12 adjusted by 1N-sodium hydroxide, methanol and 20% DMF), respectively. The reflux for 4 hour in 20% DMF was the most efficient of the tested methods and solvents, and recovery percentage were 78.0∼130.0%. Flavonoids were determined in citrus juice. Naringin was 68.2mg/100$m\ell$ in Natsudaidai, Hesperidin were 85.6mg/100$m\ell$ in Sankyool and Neohesperidin was 25.3mg/100$m\ell$ in Dangyooja. Flavonoids were determined in citrus peel. Naringin was 110mg/g in Dangyooja, Hesperidin was 242mg/g in Hungjin and Neohesperidin was 87.9mg/g in Dangyooja.

  • PDF

한국산 감귤류의 가공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cessing Quality of Korean Citrus Fruits)

  • 이종욱;신두호;윤인화;한판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1호
    • /
    • pp.28-32
    • /
    • 1979
  • 증산되고 있는 한국산 온주계통 감귤의 품질향상을 도모하여 새로운 수요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제주산 감귤의 품종별 가공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1. 과실 맛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당도는 $9.0{\sim}10.0^{\circ}Bx$였고 산도는 $1.43{\sim}l.70%$로써 당산비는 $5.3{\sim}6.6$수준으로 비교적 낮은 품질 수준을 나타냈다. 2. 감귤 통조림의 백탁 현상의 원인이라고 알려진 과육의 hespeidin 함량은 조생종에 비하여 만생종으로 갈수록 낮아져 45mg%정도였다. 3. 외피율은 만생종이 될수록 높아져서 25%정도였고 착즙율은 50%이었다. 그러므로 저장에는 만생종이 유리하며 착즙율은 품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4. 착즙액의 비중은 평균 1.040정도였고 혼탁도는 만생종이 될수록 높은 흡광도를 보였다. vit. C 및 hesperidin 함량은 $25{\sim}30mg%$를 유지하였다.

  • PDF

천연과즙을 이용한 Aloe vera L.의 callus 배양과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효과 검정 (The Effect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n the Extracted Its Material and Aloe vera L. Callus Culture by the Natural Fruit Juice)

  • 이인순;배동녘;권오민;한구태;김대환;오명원;이지홍;문혜연
    • KSBB Journal
    • /
    • 제28권6호
    • /
    • pp.408-414
    • /
    • 2013
  • In order to obtain functional materials from aloe callus, we cultured Aloe vera L. leaf on MS medium added 0.2 mg/L IAA, 0.3 mg/L kinetin and 100 mg/L grape or/and apple juice for 30 days. While a callus differentiation during callus culture did not show, the cultured leaves were uniquely released extracellular material into the agar plate. After cultivation for 18 days, the cultured leaf and agar were harvested for extraction a functional material. The materials extracted were measured on the amount of total phenols, flavonoids and polysaccharides and determined on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 result, callus extracts of additive free (CT) and added apple juice (2T) had more amount of phenol compound ($659{\mu}g/mL$, $533{\mu}g/mL$) and flavonoid ($580{\mu}g/mL$, $501{\mu}g/mL$) than natural leaf (p: $525{\mu}g/mL$, f: $301{\mu}g/mL$). However, the extract of natural leaf had the better effect of lipid peroxidation and polysaccharide content than the culture extract. All samples extracted had same effect on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n the other hand, only 2T extract showed excellent 72% nitric oxide scavenging activity. The agar extract was also confirmed to contain polyphenol compound and polysaccharide content that had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par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