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ice extraction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9초

유자과즙의 저장 및 착즙조건에 따른 품질변화 (Changes in Quality of Citron Juice by Storage and Extraction Conditions)

  • 박기재;정승원;김종훈;정진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2호
    • /
    • pp.141-146
    • /
    • 1995
  • 유자과즙제품의 개발시 기초자료로의 활용을 목적으로 유자를 마쇄식 및 밸트식으로 착즙조건을 달리하여 착즙한 유자과즙을 $5^{\circ}C$ 저온저장과 $-20^{\circ}C$로 동결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밸트식으로 착즙한 유자과즙은 마쇄식에 의해 착즙한 것에 비해 품온강하가 다소 빨랐으며 빙결점은 약 $0.8{\sim}0.9^{\circ}C$ 수준이었다. 저장 유자과즙의 pH 변화는 마쇄식으로 착즙한 과즙은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여 저장 6개월째에는 3.2로 증가하였으나 밸트식 착즙 과즙은 저온 및 동결저장 처리구에서 모두 2.6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가용성 고형분은 착즙방법에 관계없이 $5^{\circ}C$ 저장구에 비해 $-20^{\circ}C$ 동결저장구의 변화 폭이 적었으며, 산도는 마쇄식 착즙 과즙의 감소폭이 다소 높았다. 아미노태질소 및 비타민 C는 저장기간에 따른 감소경향이 뚜렷하여 각각의 잔존율이 전자는 저장초기의 $92{\sim}82%$, 후자는 $72{\sim}43%$ 수준이였으며, 색도의 변화 중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저장기간에 따라 전반적으로 미약하게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a와 b값은 처리조건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를 나타내어 냉동저장구에서는 a의 감소 폭이 컸고, 저온처리구중 마쇄 착즙 과즙의 경우는 a값이 역으로 미약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한편, 저장 6개월후의 아미노산 함량은 함량 감소와 더불어 뚜렷한 조성의 변화를 보였으며, 지방산은 리놀레인산과 리놀레닌산이 감소한 반면에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및 올레인산은 증가하였다.쥐 혈액에서의 AChE와 BuChE활성저해 결과는 PB 전처리가 phosalone의 저해 경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시험관 내 실험에서의 결과와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glycine betaine은 Y. enterocolitica ATCC 9610의 가장 주요한 osmolyte로 작용하며, proline, dimethyglyine 그리고 carnitine도 Y. enterocolitica ATCC 9610의 osmolyte로 작용하여 삼투압 스트레스를 받은 Y. enterocolitica ATCC 9610의 성장속도를 증가시켰다.자의 인권을 보호하고 좋은 임상시험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피험자동의서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의 바탕 위에 한국인들의 임상시험과 피험자 동의서에 대한 인식도의 기초 조사와 더불어 한국형 피험자 동의서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믿어진다. (120-185), 확장기 100mmHg(80-130)로 치료전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혈압의 하강은 4주째 수축기 혈압 145mmHg (120-180), 확장기 혈압 90mnHg (70-130), 치료 종료시 수축기 혈압 140mmHg (12-180), 확장기 혈압 90mmHg (70-130)로 치료전에 비해 유의한감소를 보였다(p<0.01). 혈압의 변화를 판정하였을 때 하강으로 판정된 환자는 31명 중 25명(80.6%)이었으며, 1명(3,2%)에서 하강 경향을 보였다. 치료에도 불구하고 혈압이 변하지 않은 환자는 4명(12,9%)이었으며, 1명은 혈압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약물투여후 환자들의 심박수는 치료전에 비해 유의한 상승이나 하강을 보이지 않았다. 약물투여 후 대상환자들의 중요검사소견을 비교해보았을 때 간기능, 신장기능,

  • PDF

밀감 쥬스 향기(香氣) 성분(成分)의 정량(定量)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Flavor Constituents of Korean Milgam (Citrus unshiu) Juice)

  • 김호;조도현;박연희;이춘영;이양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3권2호
    • /
    • pp.106-114
    • /
    • 1980
  • 제주산 밀감 juice의 향기성분을 질소 gas로 추출하여 gas liquid chromatography로 동정하였고 각 성분의 extrac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여 함량을 구하였다. 50여개의 peak중 26성분을 동정하였다. 향기성분중 ethanol이 140ppm이며 limonene이 120ppm으로 이 두 성분이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 밝혀졌다.

  • PDF

백년초의 첨가비율을 달리한 백년초떡의 품질 특성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Beaknyunchodduk with Various Percentages of Beaknyuncho)

  • 김기쁨;최수근;신민자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05-114
    • /
    • 2007
  • This study was aimed at evaluating a proper mixing ratio of making Beaknyuncho(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Sulgidduk with different types of extraction, a fruit and a stem of Beaknyuncho, and by different making methods. As a result, moisture content was the highest(43.22%) in FP1 and the lowest(38.55%) in SJ60. The low lightness and yellowness are increased with more powder and juice of both fruit and stem added.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hardness, adhesiveness and gumminess were increased as powder and juice were added. And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were decreased. The identification test showed that a sample containing stem juice was the most preferable for taste, chewiness, moistness and after-taste. The preference test showed that a sample containing stem juice was the most preferable for color, texture and overall quality and a sample containing stem powder was preferable for flavor and taste. Both SJ60 mixed with 60% Beaknyuncho stem juice and FP3 mixed with 3% fruit powder proved to be the most desirable in both sensory evaluation and texture characteristics.

  • PDF

배추를 이용한 단세포단백질의 생산 (Single Cell Protein Production from Chinese Cabbage Juice)

  • 이남석;경규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46-648
    • /
    • 1991
  • 우리나라에서 풍부하게 생산될 수 있으면서 흔히 과잉생산되어 문제가 되는 배추를 이용한 단세포단백 생산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Saccharomyces cerevisiae와 Candida utilis 공히 배추즙액에 잘 번식하였으며 $30^{\circ}C$에서 20시간 이내에 번식이 완결되었다. 이들 효모의 최종 건조균체량은 동결시킨 후 해동된 배추를 이용하거나 동결 되지 않은 배추의 즙액을 이용하거나 차이가 없었는데 S. cerevisiae와 C. utilis는 각각 4.3g/l 및 5.1g/l의 건조균체를 생산하였다.

  • PDF

A Novel Endo-Polygalacturonase from Penicillium oxalicum: Gene Cloning, Heterologous Expression and Its Use in Acidic Fruit Juice Extraction

  • Lu, Bo;Xian, Liang;Zhu, Jing;Wei, Yunyi;Yang, Chengwei;Cheng, Zh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464-472
    • /
    • 2022
  • An endo-polygalacturonase (endo-PGase) exhibiting excellent performance during acidic fruit juice production would be highly attractive to the fruit juice industry. However, candidate endo-PGases for this purpose have rarely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expressed a gene from Penicillium oxalicum in Pichia pastoris. The recombinant enzyme PoxaEnPG28C had an optimal enzyme activity at pH 4.5 and 45℃ and was stable at pH 3.0-6.5 and < 45℃. The enzyme had a specific activity of 4,377.65 ± 55.37 U/mg towards polygalacturonic acid, and the Km and Vmax values of PoxaEnPG28C were calculated as 1.64 g/l and 6127.45 U/mg, respectively. PoxaEnPG28C increased the light transmittance of orange, lemon, strawberry and hawthorn juice by 13.9 ± 0.3%, 29.4 ± 3.8%, 95.7 ± 10.2% and 79.8 ± 1.7%, respectively; it reduced the viscosity of the same juices by 25.7 ± 1.6%, 52.0 ± 4.5%, 48.2 ± 0.7% and 80.5 ± 2.3%, respectively, and it increased the yield of the juices by 24.5 ± 0.7%, 12.7 ± 2.2%, 48.5 ± 4.2% and 104.5 ± 6.4%, respectively. Thus, PoxaEnPG28C could be considered an excellent candidate enzyme for acidic fruit juice production. Remarkably, fruit juice production using hawthorn as an material wa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유자 착즙액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itron(Citrus junos) Juices)

  • 이영철;김인환;정진웅;김현구;박무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52-556
    • /
    • 1994
  • 유자쥬스제조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착즙방법에 따른 유자 착즙액의 특성 및 향기성분을 조사하였다. 부위별 비율은 과육이 39.4%, 과피부분은 43.9%, 종자는 16.7%를 차지하였다. 유자의 중량에 따른 착즙액의 수율은 120g까지 증가하였으나 121g 이상에서는 증가하지 않았다. 원심분리식 착즙방법과 유자를 횡으로 1/2로 절단하여 압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착즙액의 특성중 산도와 투과도는 원심분리식보다 압착식이 높았으며, pH, Brix, 펄프, oil성부상물, 아미노태질소와 수율은 원심분리식이 압착식보다 높았다. 유자착즙액의 유리당은 포도당, 과당, 설탕으로 원심분리식 착즙액이 압착식 착즙액 보다 유리당 함량이 약 2배 높았다. 압착식 착즙액의 경우 총수중기 증류물중 주요향기성분은 dl-limonene, ${\gamma}-terpinene\;{\beta}-farnesene$, sabinene, linalool, ${\beta}-myrcene$, terpinolene이었고, 원심분리식 착즙액의 경우 dl-limonene, ${\gamma}-terpinene$, sabinene ${\beta}-myrcene,\;{\alpha}-pinene$, linalool, terpinolene이었다. 이중 dl-limonene과 ${\gamma}-terpinene$이 전체 향기성분의 $73{\sim}83%$를 차지하였다. dl-limonene은 원심분리식이 인착식보다 약 6% 정도 높았으나, ${\beta}-farnesene$은 원심분리식 착즙액에는 소량 존재하나 압착식 착즙액에는 약 7% 존재하였다. 따라서 착즙방법에 따라 유자의 화학성분 및 주요향기 성분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주정을 첨가한 양파식초 제조에서 Flavonoids의 함량변화 (Changes of the Flavonoids in Onion Vinegar Fermented with Onion Juice and Ethanol)

  • 천경선;강성국;강성구;정순택;박양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50-655
    • /
    • 2005
  • 양파의 냄새를 줄이고 기능성을 살린 식초의 제조를 위한 기초 연구의 일부로서 양파즙에 보당하여 알콜 발효하는 대신에 알콜 발효 없이 양파즙에 에탄올을 첨가한 양파식초의 제조에서 flavonoid 물질의 함량변화, flavonoids를 강화한 양파식초의 제조방법 및 이들 물질의 초산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양파즙의 식초발효에서 $80^{\circ}C$, 10분 열처리하여 착즙한 양파액에 $4\%$ 에탄올을 첨가한 양파식초에서 초산생성량이 높았다. Flavonoids의 함량은 생양파즙을 사용한 식초에서 가장 많았다. 양파껍질의 flavonoid성분 추출을 위해 $6\%$ 초산액에서 $20^{\circ}C$, 140 rpm으로 교반추출시에 90분 처리가 적절하였고, 이것을 양파식초에 첨가한 결과 quercetin monoglucoside와 quercetin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양파식초에서 flavonoids의 안정성은 quercetin diglucoside가 quercetin monoglucoside에 비해 안정하였고 quercetin 배당체마다 산에 의한 영향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착즙방법에 따른 유자과즙의 향기 성분에 관한 연구 (Flavor Components of Citron Juice as Affected by the Extraction Method)

  • 정진웅;이영철;정승원;이경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09-712
    • /
    • 1994
  • 유자과즙 이용성 확대 방안의 일환으로 착즙방식에 따른 유자과즙의 향기성분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회전식 마쇄착즙, 압착식 및 벨트식 착즙방법을 사용하여 유자과즙을 착즙하였으며 이들 시료를 GC/MS로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벨트식 착즙방법에서 보다 많은 향기성분 peak가 확인되었고, 향기성분에 대한 회수함량도 벨트식에서 가장 많아 회전식 마쇄 착즙방식의 약 1.36배, 압착식의 약 1.59배 정도로 나타났다. 그 조성은 주로 limonene이 76.87%로 가장 높고 그 외에 ${\gamma}-terpinene$${\alpha}-terpinene$과 같은 탄화수소류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linalool의 비율도 타 착즙방식에 비하여 벨트식 착즙방식이 높게 나타났다.

  • PDF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착즙박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on activity of residue after omija (Schisandra chinensis) juice extract)

  • 박보나;이진원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2호
    • /
    • pp.95-100
    • /
    • 2017
  • 오미자를 착즙하고 남은 착즙박을 이용하여 추출조건에 따른 이화학적 변화를 알아보았다. 즉, 착즙박을 열수, 50% 에탄올, 70% 에탄올 및 95%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였으며, 추출시간은 1시간에서 10시간까지 1시간 간격으로 $60^{\circ}C$에서 정치 추출하여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제조된 용매별 농축액을 분석시료로 이용하였다. 오미자에 함유된 유효성분 중 하나인 schizandrin 함량은 추출 용매에 따라서 열수: 0.52 g/100 g, 50% 에탄올: 1.79 g/100 g, 70% 에탄올: 2.01 g/100 g 및 95% 에탄올은 2.37 g/100을 나타내었으며, 열수를 이용하여 추출한 경우보다 에탄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schizandrin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50% 에탄올 용매 추출물에서 16.70 m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2-diphenyl-1-picrylhydrazyl 전자공여소거능에 대한 효과는 분석 시료의 200 mg/mL 농도에서 측정하였을 때, 50% 에탄올 용매 추출물에서 86.16%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또한, 안토시아닌 함량은 모든 용매 추출물이 추출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갈근(葛根)의 착즙 및 열수 추출에 따른 모유두 세포의 모발 성장 관련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tial effect of juice or water extract from Puerariae Radix on hair growth related-genes in dermal papilla cells)

  • 전해리;조남준;김기광;한효상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
    • /
    • 2018
  • Objectives : Puerariae Radix extracts are a rich source of isoflavones that affect the activity of hepatic antioxidant enzymes. However, the effect of these extracts on hair growth in human dermal papilla (DP) cells is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between juice and water extracts of Puerariae Radix on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hair growth-related genes in dermal papilla (DP) cells. Methods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juice and water extracts of Puerariae Radix was analyzed using an ABTS assay. The cytotoxicity was analyzed using the MTS assay in DP cells. mRNA expression levels of hair growth-related genes in dermal papilla (DP) cells were analyzed using quantitative RT-PCR analysis. Results : Juice and water extracts of Puerariae Radix show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The cytotoxicity was confirmed to be higher in the juice extract than the water extract, using the MTS assay on DP cells.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CTNNB1, FGF7, and BMP6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eatment with water extract, whereas the juice extract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 of hair growth-related genes. Conclusions : Our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water extract of Puerariae Radix is effective at inducing hair growth, by promoting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hair growth-related genes. Also in the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uerariae radix extracts on the various hair growth mechanisms of dermal papilla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