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int attention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32초

어린이집에서 24-36개월 영아-교사 간 공동주의와 영아의 어휘력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Toddler-teacher Joint Attention and Toddlers' Vocabularies)

  • 김명순;이가현
    • 아동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55-165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toddler-teacher joint attention and toddlers' vocabularies. Toddlers' vocabularies were assessed by the MacArthur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Korean (MCDI-K) modified by Kim (2006); joint attention episodes were observed by classification categories for engagement condition (Bakeman & Adamson, 1984). Data were analyzed by means,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s. Results were that : (1) receptive vocabulary of toddlers was about 1.1 times as high as their expressive vocabulary. (2) Coordinated joint attention was observed most frequently, followed by supported joint attention; coordinated joint attention was closely related to support joint attention. (3) The relationship between toddler-teacher joint attention and toddlers' vocabularies were significant in a positive direction.

  • PDF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함께 주의하기와 언어발달 (Joint Atten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in Inf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박영신
    • 아동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35-50
    • /
    • 2010
  • Joint attention,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ere compared in infants from multi-cultural and Korean families. Joint attention was observed in both the Early Social Communication Scale (ESCS) and in infant-mother free play. Language development was evaluated by means of the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Korean. There were no group differences in initiating and 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in ESCS. However, in infant-mother free play, joint attention episodes were less and shorter in duration with inf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an in Korean infants. The size of both the expressive and receptive vocabulary was also smaller in inf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an in Korean infants. In terms of Korean infants, mean duration of joint attention episodes in free pla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ize of the expressive vocabulary and initiating joint attention in ESCS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ize of receptive vocabulary. However, none of the measures of joint attention indicat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ize of either expressive or receptive vocabulary in inf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TC Ratio Scheduling을 이용한 Joint CTC/Attention 한국어 음성인식 (Joint CTC/Attention Korean ASR with CTC Ratio Scheduling)

  • 문영기;조용래;조원익;조근식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0년도 제32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7-4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Joint CTC/Attention 모델에 CTC ratio scheduling을 이용한 end-to-end 한국어 음성인식을 연구하였다. Joint CTC/Attention은 CTC와 attention의 장점을 결합한 모델로서 attention, CTC 단일 모델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주지만, 학습이 진행될수록 CTC가 attention의 학습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 진행에 따라 CTC의 비율(ratio)를 줄여나가는 CTC ratio scheduling 방법을 제안한다. CTC ratio scheduling를 이용하여 학습한 결과물은 기존 Joint CTC/Attention, 단일 attention 모델 대비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영아의 공동주의와 초기 언어발달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Joint Atten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in Infancy)

  • 이혜련;이귀옥;이영주
    • 아동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97-307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engagement in joint attention and the early language development in infancy. Subjects were 12 infants and their mothers. At 20 and 25 months of age, each child's spontaneous natural speech during interaction with his/her caregiver was videotaped for about 30 minutes. The EJA(Episodes of joint attention) focus between mother and child were identified and coded by Tomasello and Todd's(1983) and Bakeman and Adamson's(1984) including person engagement, object engagement, looking engagement, passive joint attention, coordinated joint attention. Results show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between within and outside EJA at 20 and 25 months of age; that is, during periods of EJA children talked more inside than outside EJA.

  • PDF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공동주의 기술 향상을 위한 단계적 상호 주의 중재효과: 음악 조건과 비음악 조건 비교 (A Comparison Between Music and Non-music Conditions in Reciprocal Attention Intervention for Improving Joint Attention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정필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4권2호
    • /
    • pp.19-43
    • /
    • 2017
  • 본 연구는 만 4-5세의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음악 조건과 비음악 조건의 단계적 상호 주의 중재를 교대로 실시하여 공동주의 기술 향상에 미치는 중재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단일대상연구의 한 가지 방법인 교대중재설계를 사용하였고, 음악 조건과 비음악 조건의 중재를 사전에 결정된 무작위 순서에 따라 회기 내 교대로 실시하였다. 총 23회기의 전체 프로그램은 기초선(3회기), 중재(15회기), 유지(5회기)의 절차로 이루어졌다. 음악 조건에서는 구조화된 공동 악기 연주, 음악적 신호(cue)에 따른 주의전환, 상호적 악기연주가 이루어졌고, 비음악 조건에서는 조립장난감을 이용한 공동 놀이, 언어적 신호에 따른 주의전환, 장난감 주고받기가 이루어졌다. 중재 내 나타난 공동주의 행동 변화는 공동주의 반응행동과 얼굴 쳐다보기, 공동 활동에 참여하기의 발생 빈도로 측정되었고, 중재 사전 사후에는 초기 사회-의사소통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두가지 조건 모두에서 공동주의 행동이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으나, 음악 조건이 비음악 조건에 비해 증가하는 폭이 크고 더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구조화된 음악적 환경 안에서, 음악을 통해 사회적 정보를 처리하고 주의를 조절하는 중재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공동주의 행동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로봇활용 공동 주의 훈련자극에 대한 사용자 반응상태를 추정하는 프로세스 (The process of estimating user response to training stimuli of joint attention using a robot)

  • 김다영;윤상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427-1434
    • /
    • 2021
  • 본 연구는 사회성 상호작용 훈련자극에 반응하는 아동의 행동 및 정서적 긴장상태를 연산하는 심리반응 상태 추정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행동 중재에 필요한 훈련자극으로는 공동 주의(Joint attention) 사회성 훈련을 채택하고, 훈련프로토콜은 불연속 개별시도 훈련(DTT: Discrete trial training)기법이 적용된다. 공동 주의 훈련에서 사용자의 집중과 긴장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3가지 훈련자극용 콘텐츠를 구성한 후, 캐릭터 형태의 탁상 로봇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훈련자극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 다음, 비전 기반 헤드 포즈 인식기와 기하학 연산모델로 사용자 응시반응을 추정하고, PPG와 GSR의 생체신호를 심박변이도와 히스토그램 기법으로 신경계 반응을 분석한다. 로봇을 활용한 실험에서 공동 주의에 대한 각 콘텐츠 별 훈련에 사용자의 심리반응을 정량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Difference in Gait Characteristics During Attention-Demanding Tasks in Young and Elderly Adults

  • In Hee Cho;Seo Yoon Park;Sang Seok Yeo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5권3호
    • /
    • pp.64-70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ttention-demanding tasks on gait and measured differences in the temporal, spatial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between young healthy adults and elderly healthy adults. Methods: We recruited 16 healthy young adults and 15 healthy elderly adults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performed two cognitive tasks: a subtraction dual-task (SDT) and working memory dual-task (WMDT) during gait plus one normal gait. Using the LEGSys+ system, knee and hip-joint kinematic data during stance and swing phase and spatiotemporal parameter data were assessed in this study. Results: In the elderly adult group, attention-demanding tasks with gai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hip-joint motion during the stance phase, compared to the normal gait. Step length, stride length and stride velocity of the elderly adult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WMDT gait compared to normal gait (p<0.05). In the young adult group, kinematic data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stride velocity and cadence during SDT and WMDT gai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normal gait (p<0.05). Conclusion: We determined that attention-demanding tasks during gait in elderly adults can induce decreased hip-joint motion during stance phase and decreased gait speed and stride length to maintain balance and prevent risk of falling. We believe that understanding the changes during gait in older ages, particularly during attention-demanding tasks, would be helpful for intervention strategies and improved risk assessment.

가정문해활동, 어머니의 언어적 행동 및 영아-어머니 간 공동주의와 영아의 언어·인지 발달간의 관계 (The Home Literacy Activities, Mothers' Verbal Behavior, and Toddler-mother Joint Attention : The Relationship to the Language-cognitive Development of Toddlers)

  • 김명순;한찬희;유지영
    • 아동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9-213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me literacy activities, mothers' verbal behavior, toddler-mother joint attention and the language-cognitive development of toddlers. The language-cognitive development of toddlers was assessed by means of the Mental Scale from the Korean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II (K-BSID-II). The home literacy activities were measur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 used by You (2009), which was partly modified from Shapiro (1979). Lee & Kim (2004)'s categories was used to observe the mothers' verbal behaviors during shared book reading; joint attention episodes were observed by classification categories for engagement condition (Bakeman & Adamson, 1984). One of the more important conclusions of this study is our suggestion that mothers' verbal behaviors and the toddler-mother coordinated joint atten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anguage-cognitive development of toddlers as it takes place within low-income families.

주의 단서 수준에 따른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공동주의집중 반응 연구 (Differential Response to Joint Atten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pending on the Level of Attentional Cues)

  • 유가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1권1호
    • /
    • pp.21-37
    • /
    • 2014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은 초기 사회-의사소통 기술 중 하나인 공동주의집중에 있어 심각한 장애를 보인다. 이로 인해 언어 및 인지, 사회성 발달에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공동주의집중을 평가하거나 향상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적 단서를 포함해 주의를 유도하는 단서 수준에 따라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공동주의집중에 반응하기(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RJA) 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고자 하였다. 평균 연령이 65.3개월인 총 9명의 아동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1회로 진행된 평가 세션 동안에는 주의를 유도하는 총 8개의 단서가 사용되었다.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량에 따라 네 가지 수준의 단서가 구성되었고, 각각의 단서는 언어적 및 음악적으로 제시되었다. 자폐 아동들은 음악적 단서가 제시되었을 때, 언어적 단서가 제시된 시도에 비해 이전 표적 자극에서 주의를 철회해 새로운 자극으로 전환시키는 시도가 증가하고, 공동주의집중에 반응하기 행동의 정확도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서 유형에 따른 비교에 있어서는, 아동의 이름을 부른 후 주의를 유도하는 단서가 손가락으로 가리키기와 함께 음악적으로 제시되었을 때 주의 전환 시도 및 공동주의집중 행동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적 요소가 포함된 주의 단서가 주의 전환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전달되는 정보의 정확한 처리를 촉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는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공동주의집중을 목표로 하는 조기 중재 시 음악의 효과적인 사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회 학습 기제로서 IJA와 RJA의 비교: 인간-아바타 머리/손 상호작용을 이용한 연구 (Comparing Initiating and Responding Joint Attention as a Social Learning Mechanism: A Study Using Human-Avatar Head/Hand Interaction)

  • 김민규;김소연;김광욱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6호
    • /
    • pp.645-652
    • /
    • 2016
  • 사회학습기제(Social learning mechanisms) 가운데 공동주의(Joint Attention; JA)는 인간의 학습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기존 인간 대 인간 상호작용 연구 방법론으로는 JA 요소 별 상호작용(예: 손 또는 머리)에 대한 연구가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아바타 상호작용(Human-Avatar Interaction)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방법론을 시험적으로 적용하여 JA 요소 별 상호작용을 연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이를 활용하여 정상군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2회에 걸친 실험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상호작용 방법론(손 또는 머리)에 상관없이 능동적 JA(Initiating JA: IJA)가 반응적 JA (Responding JA: RJA)보다 정보처리를 촉진시켰으며, 손을 이용한 상호작용이 머리를 이용한 상호작용 보다 상대적으로 정보처리에 영향을 많이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잠재적 해석과 연구로써의 한계에 대하여 본 논문에서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