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insecurity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7초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과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회복탄력성간의 융합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Emotional labor,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in Firefighters)

  • 김연정;김진현;심규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379-389
    • /
    • 2017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회복탄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 변수간의 융합적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소방공무원을 위한 정신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충청남도에서 근무하고 있는 소방공무원 391명으로 설문지를 통해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정신건강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은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회복탄력성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건강은 직무스트레스(직무불안정,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감정노동, 회복탄력성에 의해 56.3%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키기 위해 회복탄력성을 강화시키고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각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건축건설공사의 공종별 위험도와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Level and the Job Stress Level of Work Types in Architectural Work)

  • 김정민;이종빈;장성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3-78
    • /
    • 2017
  • In this study, the risk level of architectural works was calculated by applying work period and number of input workers based on accidents records from 2012 to 2014 and the architectural work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High-High, High-Low, Low-High, Low-Low) according to risk levels of fatal accidents and loss time accidents. And then questionnaire on the job stress level of workers was performed for 670 workers working in the architectural work using Korean Occupational Stress Questionnaire Form developed by KOSHA. An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level and job stress level of four groups was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1) risk levels of fatal and loss time accidents applied by work period and input workers were analyzed to be different with those of previous research based on the number of fatal and loss time accidents; 2) job stress level of workers has been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risk level of fatal and loss time accident; 3) specially, the average of job stress level of 'HH(High-High)'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4)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interpersonal conflict,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system and lack of reward were analyzed to be key factors to affect the risk level.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대한 인식 유형 연구 (Perceptions toward Job Changes due to 4th Industrial Revolution)

  • 김소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528-542
    • /
    • 2021
  • 이 연구는 기술진보에 따른 일자리 전환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첫째,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대해 구직자와 재직자들의 인식은 어떻게 구조화되며 인식유형별 특성은 무엇인지, 둘째,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대해 구직자와 재직자들의 인식 유형에 걸쳐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 보았다. 주관적인 태도에 대한 접근을 위해 객관화된 질적 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는 PC용 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출된 4가지 유형은 부정적 인식 유형, 중립적 인식 유형, 근무환경 개선 인식 유형, 고용 증가 인식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부정적 인식 유형은 일자리 규모 및 일자리의 질 관점에서 모두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컸으며, 특히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증가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는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립적 인식 유형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대해 중립적이면서 부정적인 영향을 수용하고 동시에 제도적·교육적 요구가 강하게 나타났다. 근무환경 개선 인식 유형은 4차 산업혁명에 따라 일자리가 증가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지만, 일자리의 질 측면에서는 향상될 것으로 보고 있었다. 고용증가 인식 유형은 전반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가운데, 특히 일자리 규모 증가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콜센터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all Center Employees)

  • 신혜영;김오우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5호
    • /
    • pp.91-96
    • /
    • 2016
  • Purpose - Although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tress of service employees, there are still lack of studies regarding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all center workers. Especially there are quite few studies on the job stress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This study focused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call center employe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and aim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seeking for the plans to reduce job stress and improve job satisfac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value were calculat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in order to find 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evel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Differences in job stress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were calculated by using one-way ANOVA.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150 material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to get statistics by using SPSS 20. Results - First, as for the job stress of call center workers, overall mean value was 2.54 in 4-point scales. Among the six sub-factors, job demands had the highest score, which was 2.67. Second, as for the job stress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others showed higher score than mean value followed by contract job and full-time job in that order, in terms of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system. In terms of inappropriate remuneration, contract job showed higher score than mean value followed by others and full-time job. Third, as for the satisfaction with job, the mean value was 2.37 in 4-point scale and "very much satisfied" was only 3.3%. Lastly, in terms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ll sub-factors except for job demand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The more job stress increased, the more job satisfaction decreased. Conclusions -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job stress according to the employment type of call center workers, job stress increased more when the employment type was not full-time.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self-rescue efforts should be followed for effective employment management of call center business where contract employment takes most part as well as efforts to transfer them to full-time job. Second, decrease in job satisfaction of call center workers may affect the performance of an organization as well as service quality of the company providing the service. Therefore, various supports are required to decrease job stress and increase job satisfaction for call center workers through the expansion of rest area or break time. Third, I could recognize that there were lack of academic research on call center business in the whole service industry. Therefore,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more actively in the future.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special significance in the aspect that there were few studies on the job stress of call center workers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타당도: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Validity of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in Occupational Therapists)

  • 최유임;김은주;박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25-233
    • /
    • 2011
  • 이 연구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작업치료사 214명을 대상으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작업치료사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개발 당시에 제시되었던 7개 하위요인보다는 직장문화, 조직체계, 직무자율성결여, 보상부적절, 직무요구, 관계갈등, 직무능력, 직무불안정의 8개 요인으로 적용하는 것이 작업치료사에게 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측정도구의 Cronbach' ${\alpha}$는 0.84로 작업치료사 대상의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문항내적합치도의 경우 좋은 신뢰도라 판단할 수 있으며, 평가도구 내 문항수도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연구를 위해 필수적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내부마케팅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Internal Marke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Dental Hygienists)

  • 이병호;김정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79-87
    • /
    • 2016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내부마케팅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산, 울산, 경남지역 소재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191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의 하부요인 중 직무요구, 조직체계, 직무불안정, 관계갈등의 순으로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321).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있어서 내부마케팅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있어서 내부마케팅의 하부요인 중 권한위임과 보상시스템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가 치과의료기관의 인적자원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도움이 되리라 본다.

운영방식과 고용형태에 따른 공공도서관 사서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소재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ublic Librarians' Job Satisfaction by Management and Employment Styles: 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 김수진;김유승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61-282
    • /
    • 2012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소재 공공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고 이를 운영방식과 고용형태에 따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 공공도서관의 운영방식과 직무만족의 개념 및 변인을 논하고, 이를 바탕으로 직무만족도 측정을 위한 직무자체, 동료, 상사, 업무, 임금, 복지, 고용 등 7가지 직무만족 변인을 선정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응답자 전체 평균으로 나타난 만족도를 보았을 때, 직무자체, 동료, 상사, 업무 등 4가지 변인에서 긍정적인 만족감을 표한 반면, 임금, 복지, 고용의 3가지 변인에서는 낮은 만족감을 나타냈다. 운영방식에 따른 직무만족 분석에서 주목할 것은 지자체 위탁도서관과 타 직영도서관 간의 차이였다. 지자체 위탁도서관은 고용불안감에 대한 체감 정도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거의 동일한 수치를 보였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이라는 고용형태에 따른 분석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업무결정 참여도와 업무 재량권 측면이었고, 이들 간 차이는 임금, 복지, 고용 측면에서 더욱 확연히 드러났다.

한국 직장인의 문제성 음주와 관련된 직무 스트레스 요인 (Job Stress Associated with Problematic Alcohol Drinking in Korean Employees)

  • 이다은;임세원;신동원;오강섭;신영철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9-45
    • /
    • 2017
  • Objective : Korean employees tend to release their stress by alcohol drinking.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roblematic drinking in Korean employees. Methods : The study participants were 72,119 employees who attended health screenings and responded to the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Korea (AUDIT-K),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y-Depression (CES-D), Beck Anxiety Inventory (BAI) and questionnaire on suicidal ideation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 investigated the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atic drinking group ($AUIDT-K{\geq}12$) and used binary logistic regression to determine the impact of job stress on problematic drinking. Results : Age, gender, marital status, education year, sleep duration, obesity, smoking,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and anxie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oblematic drinking group and normal group. Among the various kinds of job stresses, job insecurity and lack of reward were associated with problematic drinking.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certain kinds of job stress might be associated with problematic drinking in Korean employees.

공상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Occupational Stress for the Injured Firefighter: Focusing on Gyeongbuk Province)

  • 방창훈;홍외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79-85
    • /
    • 2010
  • 본 연구는 공상 소방공무원에 관한 직무스트레스에 관하여 조사 연구하여 소방공무원의 안전보건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상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는 일반 소방공무원에 비하여 상당히 높으며, 각 세부항목에서는 보상부적절, 조직체계, 직장 문화, 직무불안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스트레스를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남자평균에 비하여는 물리적환경, 직장문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상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한국판 사건충격척도(IES-R-K)로 측정한 결과 조사대상의 75%(30명)가 장애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시설관리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ask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of Fire Protection Management Workers)

  • 임경연;공하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5호
    • /
    • pp.130-139
    • /
    • 2019
  • 이 연구는 소방시설관리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과제를 제안하였다. 첫째, 배경원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연령, 직급, 월 급여, 총 경력, 자격증, 담당업무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력에서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의 하위 변수 중 물리환경, 직무요구,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는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친 반면에 관계갈등, 직무불안정은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업무 과부하의 실증적 원인 규명 연구와 소방시설관리업 조직차원의 스트레스 경감대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