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creating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4초

앙트러프러너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취·창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코로나 19 사회적 이슈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Impacts of Entrepreneu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Employment and Startup Awareness : Mediating Effects of Corona 19 Social Issue)

  • 박철우;강경란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5호
    • /
    • pp.51-6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앙트러프러너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취·창업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검증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설정하였다. 또한, 지난 몇 개월간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사태를 계기로 팬데믹이라는 사회적 이슈가 대학생들의 개인특성과 취·창업 인식 간에 어떠한 영향관계를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앙트러프러너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높은 대학생들은 경제공황에 버금가는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사회적 이슈를 위기로 인식하고 움츠러들기보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에 적응하면서 새로운 취업의 기회나 창업의 기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택트 사회가 뉴노멀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앙트러프러십과 변혁적 리더십 함양을 통하여 새로운 취·창업 기회의 확보가 중요한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잠재적 창업가, 잠재적 고용가능성이 있는 대학생들에게 위기 속에서 기회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탐색'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비즈니스 모델 만들기 등 앙트러프러너십과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최고경영진의 인적 및 사회적 자본이 정부의 R&D 지원제도 활용과 초기 성과에 미치는 영향 (Top Management's Human and Social Capital Effect on Governmental R&D Support System Utilization and Success)

  • 김제금;황희중;송인암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6호
    • /
    • pp.71-78
    • /
    • 2015
  • Purpose -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whether or not there are characteristics among the top management of companies that promote corporate performance at venture companies. It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and social capital that are inherent in top management at a venture company and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f hypotheses examining if these characteristics will affect utilization of the governmental R&D support system as well as affect the firm's initial succes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together to accomplish the goal of the study. The pilot study researched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governmental R&D support system as the parameter; and, the initial success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empirical study carried out research on the model, establishment of hypotheses, and the statistical treatment.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p management of high-tech venture companies in Daedeok Innopolis;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22 were collected. Results - The human and social capital inherent in top management at venture companies in the early stages of their existence become good evaluation data for those who are invested in similar resources. If top management includes strong human and social capital, access to external resources will be easier; these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overnmental support systems; and, this proper support will als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itial success of the venture company.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it was found that when the educational level and functional background, (the top management human capital), are the output function, top management human capital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ection of governmental R&D support fund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ternal social capital and external social capital, (the top management social capital),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ection of governmental R&D support tasks. Third, it was found that selection of the governmental R&D support tasks at the start of the venture compan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such as sales, business profits, and the increase in workers; and,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nonfinancial performance such as market share, competitive position, product competitiveness, and the future product development. Conclusions - Selection of the governmental R&D support system is not recognized as part of the direct sales of a venture company in its early stages, but as it can reduce costs for technical development and helps significantly in creating test products and mass production, i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ompany's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s a result. Therefore, companies should take great efforts to frequently be selected as a candidate in the governmental R&D support system, as it can help facilitate R&D that requires extensive funds. As a result, companies can expect effects such as job creation and patent applications and they can advance future product sales.

해외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의 사업구조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Project Scheme of Property-led Regeneration: Focused on Cases of London and Tokyo)

  • 조승연;주관수;김옥연;김주진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4호
    • /
    • pp.281-290
    • /
    • 2014
  • 본 연구는 영국과 일본의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의 사업구조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은 1980년대의 신자유주의의 영향에 따라 등장한 사업수법으로 규제완화 및 공공지원과 민간주도의 거점 개발방식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효과를 도모하고자 하는 방식이다. 특히 2000년대에 진행되고 있는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으로 영국의 스트라트포드 및 킹스 크로스, 일본 오오테마치와 시노노메 지구의 사례를 통해 국내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사례별 도시재생사업의 추진체계, 참여 주체별 역할, 공공의 지원 등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사업방식 측면에서는 국가적 대원칙에 따른 '선택과 집중'을 통한 국가적 자원의 효율적 배분, 추진체계 측면에서 토지 소유자등 직접적인 이해당사자 외에도 공공개발기관, 민간개발업체, 지자체, 국가, 관계기관 등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거버넌스 체계의 구축, 기반시설 정비에 대한 공공의 지원이 공통적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의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에서 공공의 직접적인 사업시행은 감소하였으나 규제완화를 통한 민간자본 유치, 지역의 경제적 성장, 고용창출 등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수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공공시행자 및 지방정부의 역량강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보건교육사 제도정립의 방향 (Recommenda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for Developing the Korean Credentialing Policy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

  • 김광기;김건엽;김영복;김혜경;박경옥;박천만;이무식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3-89
    • /
    • 2008
  • Objectiv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uggest a recommendation for the Korean credentialing policy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 as the primary human resource in community health promotion activities from the special group perspective of the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Method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the professional focus group discussion and descriptive literature review on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Results: This draft recommendation for Korean credentialing system development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 was based on the four background reasons for modifying health promotion related acts, for developing better policy of health education credentialing, for keeping the public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as the competitive professional society, and for improving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 Kore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four reasons was Ottawa Charter. We classified three credentialing levels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 based on health education own competencies, coordiating competencies with environmental factors, and research competencies. Furthermore, we developed 10 major roles and categorized 53 sub-roles based on these competencies above. We recommended 10 classes required to take to become Health Education Specialist. These 10 class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redentialing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ese 10 classes were about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methods and strategies not health intervention topics. We also built the draft plan for continuing education to keep KCHES based on the NCHEC in the United States. Conclusion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build better health education specialist credentialing systems modifing current communtiy-based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 terms of modifying public regulation, developing KCHEC examination system, protecting job security both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creating professionalism in KCHEC.

웹툰작가의 인적자원개발 모델링 연구 : 창의인재동반사업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modeling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webtoon authors)

  • 강은원;이승진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6호
    • /
    • pp.129-150
    • /
    • 2017
  • 만화창작 교육환경의 변화와 웹툰 플랫폼의 다양화에 의해 웹툰작가의 등용방법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웹툰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한국만화영상진흥원과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창작자에게 직 간접적인 지원을 시행하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콘텐츠창의인재 동반사업은 콘텐츠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중점과제로 멘토와 멘티(창의교육생)간 밀착식 숙련과정을 통해 창작능력개발과 일자리 창출, 창의 창작활동 지원체제 구축과 프로젝트 과정을 통한 상업화 지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모집, 선발의 과정을 거쳐 주관하는 기관이 제공하는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교육훈련개발 되었으며 일정기간 동안 창작활동에 대한 보상도 이루어진 모델이다. 그러나 사업기간이 1년 이하로 인적자원관리로 배출된 웹툰인재들의 지속적 유지, 관리가 시행되고 있지 못한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콘텐츠창작자 개발사업인 창의인재 동반사업 중 웹툰인재 양성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 모델인 창의인재동반사업을 인적자원론으로 분석하였으며, 웹툰작가의 인적자원모델 개발의 특성을 기반으로 전략적 인적자원모델을 제시하였다.

사회적기업의 사회적·경제적 성과 실증분석 - 서울지역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 (Empirical Analysis of Socio-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Focusing on social enterprise in Seoul)

  • 윤정혜;나관식;유연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213-22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회적기업 중 서울소재 사회적기업 107개사를 대상으로 인증특성(인증유형, 인증연도)이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기업의 인증특성 중 인증유형이 사회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인증특성 중 인증연도가 경제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증특성 중 인증 받은 연차가 높을수록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경제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일자리제공형의 사회적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앞으로 이러한 유형의 인증비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획일적인 지원정책만으로는 사회적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자립에 미흡하므로, 인증연차별로 지원정책을 다양화하여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경제적 성과를 극대화화 함으로써 지속가능성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복지계획의 기반조성을 위한 지역사회응집력과 지역사회참여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Cohesion and Community Participation for the Foundation of Community Welfare Planning)

  • 강대선;류기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1호
    • /
    • pp.27-53
    • /
    • 2007
  •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법적 행정적 제도화 중심에서 벗어나 지역사회문화 중심의 지역사회참여 증진 전략을 도출하고자, 지역사회정신이자 문화인 지역사회응집력의 세 가지 영역 즉 지역사회 네트워크, 지역사회연대감, 장소 애착감과 지역사회참여와의 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사회응집력의 세 가지 영역은 모두 지역사회참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이 중 주민특성을 고려할 때 지역사회연대감과의 관계를 통한 지역사회 참여 증진 전략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은 참여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노인의 지역사회지식 활용과 나눔 전략, 주민의 장기거주 및 최종정착 유도 전략, 저소득계층의 소득증진 및 창출 전략, 종교조직과 구성원의 지역사회책임성 증진 전략, 여성참여의 의도적 확대 및 적합성 전략을 지역사회참여 증진 전략으로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지역사회 주민-문화적 자산중심의(residents-cultural asset driven) 통합적 지역사회복지계획 산출의 기반 조성에 기여하는 데 있다.

  • PDF

출연(연)의 기술사업화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소기업을 중심으로- (The Factors Affecting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The Case of Research Institute Spin-offs)

  • 정혜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74-82
    • /
    • 2016
  • 연구소기업은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을 직접 사업화하기 위해 연구개발 특구 내에 설립된 기업으로서, 정부 R&D 투자의 결과물이 연구소기업을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에 체화되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도록 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일반 창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생존율과 고용창출의 효과를 보이는 연구소기업은 지금까지 특허와 기술이전에만 초점을 두어 온 공공연구기관의 사업화에 비해 공공 연구투자의 경제적 성과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연구소기업의 긍정적인 기여도에 비해 연구소기업 자체에 대한 연구 뿐 만 아니라, 연구소기업의 설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기술사업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조직, 연구역량, 기술, 지역적 요인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네 가지 요인들이 2006부터 2015년까지 각 출연연구기관의 연구소 기업의 설립여부와 연구소기업의 숫자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 로짓과 음이항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06년 연구소 기업 제도 실시 이후 과학기술계 출연(연) 기관 중 연구인력과 특허 출원이 많은 기관일수록, 대전 연구개발특구내에 위치하는 기관일수록 연구소기업의 설립확률과 기업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출연(연) 기관의 기술요소와 기술사업화 담당 인력규모를 통제할 경우, 최근 5년간 정부 출연 기관의 인력 규모와 개발단계 기술에 집중도가 높을수록 연구소기업을 설립할 가능성과 기업 수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사회적기업과 취약계층의 평생교육 연계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Linkage of Lifelong Education between Social Enterprises and the Vulnerable)

  • 이효영;한상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93-30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과 취약계층 평생교육 연계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취약계층의 평생교육과 사회적기업 연계에 대한 실제적 사례연구로 사회적기업 2곳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면담한 결과와 관련 정보를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기업의 유형 범주에 따른 취약계층 평생교육을 고찰을 통해 취약계층 평생교육과 사회적기업의 다양한 인증유형과의 연계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회적 기업인 '민들레누비', '은빛둥지' 2곳의 인터뷰를 통해 취약계층의 평생교육의 장으로써 사회적기업의 긍정적 운영과 평생교육을 통한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과 삶의 만족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취약계층 평생교육이 요구되는 현 사회에서 사회적기업의 연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사회적기업과 취약계층의 평생교육 연계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 유형에 따른 지역연계형 사회적기업의 비중이 확되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국가정부의 취약계층 사회적기업에 대한 행 재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셋째, 취약계층의 사회적기업 진입과 정착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과 체계적 지원이 요구된다. 넷째, 사회적기업가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이다. 다섯째, 사회적기업 내 찾아가는 평생교육 프로그램과 교육시설, 공간을 확보하여 취약계층 밀착형 평생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 사회구성원 전체가 책임의식을 가지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평생교육과 사회적기업 연계에 실제적인 자료의 제공과 평생교육 발전에 많은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개인의 동적 역량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 국내 화학기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dividual Dynamic Capabiliti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 Focused on Domestic Chemical Companies)

  • 원석호;박광호
    • 한국경영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9-72
    • /
    • 2018
  • Before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in Korea, many industrial sectors across the country have achieved remarkable economic growth since the 1970s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equipment industries such as civil engineering, steel, construction and chemical industries. However,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e economic growth rate has slowed down. Also, the global recession and the rise of China in the global business environment have led to a long-term recession in the national industry as a whole. In current economic environment, it is not easy for the companies even having excellent resources to continue its competitive advantage. Moreover, the chemical industry, which has an influence as a basic industry of other industries, misses the point of transformation into a high value-added industry, as shown in previous research. In order to meet the rapidly changing global business environment, Korean chemical companies should have a dynamic capabilities which to rapidly reallocate and consolidate the resources and capabilities they possess. The dynamic capabilities to convert, rearrange and develop the resources possessed by the company in the direction of creating high added value and to promptly search for, absorb, transform and fuse newly required capabilities and resources should be continuously applied to Korean chemical companies. It is the core competence to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In order to secure the dynamic capabilities of the company, the dynamic capabilities of individual employees should be strengthened and employees should be able to demonstrate their own leadership so that they can proactively work and self-manage in a positive direction.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mainly on the dynamic capabilities of firms. However, the competence of the human resources that make up the enterprise leads to the capabilities of the enterprise, and the human resources themselves are also important corporate resources. This paper focuses on the dynamic capabilities of individuals and strives to cla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capabilities,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have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management outcome. The reasons for choosing the chemical industry are based on the fact that a domestic chemical companies are in a long-term recession, and they lacks a innovation and value creation capabilities. Also, chemical industry has a large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