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change

검색결과 797건 처리시간 0.026초

온라인 대형마트 배송기사의 일자리만족도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mong Delivery Drivers of Online Hypermarket)

  • 박선효;이영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665-676
    • /
    • 2022
  • 최근 유통업계에서 이커머스 시장이 확산되어 왔고, 코로나19 영향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시행되면서 온라인 대형마트의 거래량도 급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대형마트 배송기사들의 근로환경을 살펴보고, 최근 온라인 대형마트의 매출액 증가 추세로 증가한 배송물량을 감당하는 과정에서 인지한 근로환경 변화가 일자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총 324건의 응답내용에 대해 기술통계, 특성별 차이검증, 요인분석, 위계적회귀분석방법 등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온라인 대형마트 배송기사들의 일자리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장시간노동이 만연한 상황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근로환경 변화상황은 업무강도변화와 근로조건변화로 구분되었으며, 이는 모두 일자리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온라인 대형마트 배송기사들의 근로환경 개선 및 일자리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하여 장·단기적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 활동이 IT 전문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 (Do Not Just Talk, Show Me in Action: Investigating the Effect of OSSD Activities on Job Change of IT Professional)

  • 장문경;이새롬;백현미;정윤혁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3-65
    • /
    • 2021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IT 인력 채용 방식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다. 채용 담당자들은 이력서나 면접과 같은 전통적인 정보 이외에도 웹에서 구직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OSSD) 플랫폼은 개발자들이 자연스럽게 IT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곳이자, 채용 담당자들이 적합한 후보를 찾을 수 있는 장소가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취업 시 OSSD 플랫폼의 개발자 정보(구직 활동 여부, 개인정보 게시 정도, 학습 활동 정도, 지식공헌 활동 정도)가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웹 크롤러를 개발하여 대표적인 OSSD 플랫폼인 깃허브의 개발자 4,005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했다. 구직 기간이 짧다는 것은 취업의 성공적인 결과를 의미하기 때문에 구직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생존분석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구직 현황을 명시적으로 게시한 개발자가 그렇지 않은 개발자보다 구직 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정보 게시 정도, 학습 활동 및 지식공헌 활동 정도 또한 구직기간 단축과 긍정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채용 담당자의 성공적인 구인뿐만 아니라 개발자의 효과적인 구직을 위한 OSSD 플랫폼의 전략적인 활용 방안에 시사점을 제시해줄 것이다.

조직 구성원의 자아 일치성이 신규 정보기술 도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Organization Member's Self-Congruity on the Performance of the Acquisition of New Information Technology)

  • 배선진;서보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3권2호
    • /
    • pp.29-59
    • /
    • 2016
  • These days, the business environment such as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rapidly changing, and organizations are consistently trying to change themselves for the survival and success under the changing environment. In this situation, change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draws the change behaviors of organization members for the success of organizational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 members'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performance of the acquisition of new IT,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rganizational change.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the area of organizational change, organization members' resistance to change, self-congruity theory, change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research model is developed for validating the effect of organization members' self-congruity on the performance of the acquisition of new IT. Statistical analyses show that self-congru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activities. In particular, private self-congruity has more impact on the change activities than public self-congruity. In addition, self-leadership, rewards and recognitions, and the diffusion of change activiti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Self-leadershi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임상간호사의 성격특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inical nurse's personality 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윤숙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95-603
    • /
    • 200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clinical nurse's locus of control of personality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u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ethods : The subjects were 463 staff nurses, who were employed in four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Pusan and Kyungki-do.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4th to October 14th in 2000 by a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as analyzed by the S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s, test for reliability and correlations. The effect of variables were tested using the Lisrel 8.12(a) program. Results : With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the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ffects job stress directly. Also it affects job satisfaction directly and via job stress indirectly. But it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only via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directly. Direct effect of locus of control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not significant. Job stress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u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irectly. Finally, job satisfaction was direct predictor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 Therefore, nursing managers ought to develop social learning program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individual personality and job stress management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PDF

고용불안정에 관한 통합모형의 개발 (The Design of Integrated Model On Job Insecurity)

  • 우창열
    • 산학경영연구
    • /
    • 제21권2호
    • /
    • pp.17-41
    • /
    • 2008
  • 외환금융위기 이후 구조조정에 의한 고용불안이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90년대 후반부터 고용불안정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계속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내 연구들은 가설검증에 의한 개별적인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을 뿐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는 바, 이는 고용불안정 연구를 위한 통합모형이 개발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로부터 고용불안정에 관한 제 가설을 설정하고, 이들 가설에 대한 국내실증연구결과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고용불안정의 선행요인 및 결과에 관한 명제를 도출하고 통합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율무쌀이 흰쥐의 체지방과 조직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s Tear Diet on Change of Body Lipid and Tissue in Rat)

  • 신덕규;박찬현;이윤주;이용억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3-90
    • /
    • 1990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observe the effect of Job's tear diet on change of body weight and tissue in rat. The changes of body weight were higher in Job's tear non-diet group(A) and seemed to lower in Job's tear diet group(c) as expected. The weight of each organ appeared to heavy more C group than A,Bgroup in Brain, Spleen. Lungs and Kidney. Liver was heavier in Job's tear to diet one day among six day group(B) and ovary was lighter in C group, The levels of each organ TBA-value were higher in Brain, Liver of A group and showed to higher Spleen, Lungs, Ovary of C group TBA-value of Kidney was revealed to lower more C group than A,B group.

제조업 근로자의 건강행위와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 자각증상의 관련성 (Effects of Health Behaviors on Perceiv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Job Stress Among Korean Manufacturing Workers)

  • 박경옥;김인석;오영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5-211
    • /
    • 2004
  • Stress is a primary health promotion issue in worksite research because psychological distress is closely related not only to workers' health status but also to their job performance. This study identified the significant health behaviors affecting workers' job-related stress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with the national survey data conducted by the 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in 2003. A total of 7,818 factory workers in 1,562 manufacturing companies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wide occupational health survey and 3,390 workers answered that they had any stressors in their workplace among the 7,818 workers finally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the stratified proportional sampling process by manufacturing industry classification, company size, and company locations (8 metropolitan and 8 non-metropolitan regions) in Korea. Trained interviewers visited the target companies and interviewed the factory workers randomly selected in each company. Smoking, drinking, weight control, exercise, sleeping, break time at work, and perceived fatigue were included in the health behavior construct. Stress symptoms was consisted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with 8 items. All survey responses were anonymously coded into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testified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le workers were 73.5% and the 30s were 40.0% among the age groups. The married and the high school graduate were majority with 52.1% and 61.8% each. Current smokers were 44.7% and More than 50% of the participants drank alcohol sometimes. No exercise group was 59.3% and the participants who dissatisfied with their daily sleeping hours were 43.5%. In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the significant gener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job stress were young age (p<0.001), single marital status (p<0.001), and short working period at the present company (p<0.001). The health behaviors related to physical job stress were current smoking, weight change during the past one year (p<0.001), weight control effort (p<0.001), exercise (p<0.001), daily sleeping dissatisfaction (p<0.001), break time, and perceived fatigue (p<0.001). All 10 health behavior fact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job stress (p<0.05). Weight change, weight control effort, exercise, daily sleeping dissatisfaction, little break at work, and high perceived fatigue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Daily sleeping dissatisfaction, little break at work, little exercise, weight change for the past one year and young age were selected as the significant health behavior and general factors affecting physical job stress symptoms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ve factors explained 18.9% of the physical stress score variance. Six factors were selected as the significant health behaviors affecting psychological job stress: daily sleeping dissatisfaction, little exercise, frequent drinking alcohol, high perceived fatigue, little break at work, and little weight control effort. The six factors explained 10.6% of the psychological stress score variance.

건설업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건설공사의 하자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Job-stress influenced to the construction defects)

  • 심민영;박해천;이경훈;조상훈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83-493
    • /
    • 2009
  • The global economic recession caused a great change of the labor environment such as restructurings and unstable employment. This facts brought about an increase in sense of rivalry, over workload, job uncertainty and lowering of self-confidence. Due to the fact that the work process and employing system in construction field is little differ from normal industries, especially, labors working in construction field are much exposed to the job stress. On this study, we survey construction-field labors and made an analysis of the gathered data through the statistic method to reveal what kind of job-stress factors influence on the defects of construction works. As the result, we investigated the truth of the induction factors which cause the job-stress in costruction field and proposed an alternative plan for an effective job-stress management which make the defect rate low.

  • PDF

기혼 직장여성의 코로나 19로 인한 가족생활 변화와 일상스트레스, 일-가정양립갈등 그리고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Family Life due to COVID-19, Daily Stress, Work-Family Balanc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 신효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251-260
    • /
    • 2022
  • 본 연구는 기혼 직장여성의 코로나 19로 인한 가족생활 변화, 일상스트레스, 일-가정양립갈등 그리고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코로나 19로 인한 스트레스 상황 속에서 이들의 일-가정양립 갈등 감소와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대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20년에 조사된 여성 가족 패널조사 8차 년도 데이터에서 기혼여성 임금노동자를 추출한 1,934명이 분석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해 Amos 20.0으로 경로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 19로 인한 가족생활 변화가 기혼 직장여성의 일-가정양립 갈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일상스트레스를 통해서 일-가정양립갈등 증가와 직무만족도 감소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일상스트레스가 일-가정양립갈등 증가와 직무만족도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일-가정양립갈등이 직무만족도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에 따라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불완전고용의 선행요인 및 불완전고용이 조직 적응에 미치는 영향 (Underemployment of the Reemployed: Antecedents and Effects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 노연희 ;김명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1호
    • /
    • pp.19-49
    • /
    • 2011
  •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불완전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고, 두 번째 목적은 불완전고용이 조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는 종단으로 설계되어 2회의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1차 조사 시점에서 미취업 상태에 있었으나 2차 조사 시점에서는 재취업한 153명으로부터 자료를 얻었다. 불완전고용의 측정치는 임금, 사회적 지위, 기술활용도 및 고용형태변화의 차원에서 여섯 개의 측정치-'임금변화비(현재 임금/실직 전 임금)', '지위변화비(현재 직업지위/실직 전 직업지위)', '학력격차비(요구학력/실제학력)',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고용형태가 변화했는지의 여부' 및 자기보고방식의 지각된 과잉자격 척도의 '성장가능성부재'와 '자격불일치' 요인-로 측정되었다. 먼저 불완전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선행요인으로 인구통계변인(성별, 연령, 학력 및 실업기간), 상황변인(경제적 곤란도와 부양가족 수), 개인특성변인(구직효능감, 우울·불안, 잠재적 기능)을 설정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연령이 높을수록 임금과 지위는 하향 변화하였고, 경제적 곤란도가 높을수록 자신의 학력보다 낮은 학력이 요구되는 직업에 재취업하였으며, 부양가족 수가 많을수록 직업지위가 하향 변화하였다. 개인특성변인 중 실업기간 동안 취업의 잠재적 기능을 유지할수록, 성장가능성부재로 측정된 불완전고용의 가능성을 낮추었고, 구직효능감이 높은 경우에도 마찬가지 결과를 보였다. 실업기간 동안 우울·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의 학력보다 낮은 학력이 요구되는 직업에 재취업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불완전고용이 직무-조직 적합도 지각,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로 측정된 조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력격차비 측면에서 불완전고용의 정도가 높을수록 개인-조직 적합도, 정서몰입 및 직무만족을 낮게 지각하였다. 또한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변화할수록 정서몰입과 직무만족을 낮게 지각하였다. 그리고 성장가능성부재와 자격불일치는 조직 적응 전반에 걸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