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lly strength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1초

아로니아 착즙액 첨가량을 달리한 컵젤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p jelly based on amounts of aronia juice)

  • 팽휘진;고은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31-23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0-20% 아로니아 착즙액을 첨가한 컵젤리의 품질특성과 관능 특성을 평가하였다. 아로니아 컵젤리의 수분함량은 시료 간의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가용성 고형분은 착즙액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증가하였으나 첨가량의 범위가 좁아 시료 간의 차이는 작았다. 착즙액은 진한 자주색을 띠고 있어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젤리의 명도는 감소하였지만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유기산으로 인해 첨가량이 많아 질수록 총 산도는 증가하고 pH와 젤 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착즙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은 증가하고, 자주색과 신맛의 특성이 강해졌으며 경도와 응집도는 12% 이상 첨가 시 감소하였고 떫은맛은 20% 첨가 시료에서만 높았다. 아로니아 착즙액의 첨가는 전반적인 기호도를 높였으며, 착즙액 16% 첨가 시료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의 기능적인 측면과 떫은맛 인지의 감소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 따르면 아로니아 컵젤리의 착즙액 첨가량은 16%가 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

애플망고 젤리의 제조 최적화를 위한 반응표면분석법의 적용 (Applicatio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r Optimization of Applemango Jelly Processing)

  • 오현빈;심현정;백채완;장현욱;황영;조용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73-480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optimal processing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pple-mango jelly for domestic suppliers, by analyzing the quality attributes of the jelly. According to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a total of 11 experimental points were designed including the content of apple-mango juice (X1), and the sugar content (X2). The responses were analyzed including the color values (CIE Lab and color difference), physicochemical properties (water activity, sweetness, pH, and total acidity), and textural properties (hardness and gel strength).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except for total acidity,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all the experimental points (p<0.05). Quadratic model was derived for all responses with an R square value ranging from 0.8590 to 0.9978. Based on regression model, the appropriate mixing ratio of apple-mango jelly was found to be 31.11% of apple mango juice and 14.65% of sugar. Through this study, the possibility for developing jelly product using apple-mango was confirmed, and it is expected that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agricultural industry.

곤약의 제조공정 및 최적 저장조건 확립 (Establishment of Konjac Manufacturing Process and Optimum Storage Conditions at Room Temperature)

  • 이난희;최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83-188
    • /
    • 2020
  • 곤약의 제조 공정은 크게 분말제조과정, 응고과정 및 제성과정으로 나눌 수 있었다. 곤약의 일반세균수는 응고제와 침지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뚜렷한 감소 경향을 나타낸 반면 용수의 온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곤약의 저장성 실험에서 응고제[Ca(OH)2] 농도를 1.0%로 유지할 경우 인장강도는 10개월까지 큰 변화 없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0.8% 이하로 유지할 경우 급격한 감소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세균수도 인장강도의 변화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응고제 농도를 1.0%로 고정한 후 침지액에 의한 영향을 확인한 결과 시험된 모든 침지액 농도(4×10-3-1.2×10-2 N)에서 인장강도와 일반세균수 모두 저장 10개월까지 큰 변화없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곤약의 저장시 응고제의 농도가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온에서 응고제의 농도를 1.0% 이상 유지할 경우 침지액의 농도에 상관없이 상온에서 10개월 동안 물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결 surimi의 품질과 어묵 젤리 강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Frozen Surimi and Jelly Strength of Kamaboko)

  • 김육용;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3-78
    • /
    • 1992
  • 현재, 동결 surimi의 품질 각정의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pH, 수분함량, 백도, 협잡물 및 젤리 강도를 연제품의 원료 단계인 surimi의 품질 판정지표로 사용하기에는 과학성이 결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부적당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연제품의 생명인 결착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결 surimi 단백질의 양부의 정도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과학적인 지푤글 모색하기 위하여, 등급별로 분류되어 있는 동결 surimi를 시료로 하여 단백질의 변성 정도를 나타내는 $Ca^{2+}-,\;Mg^{2+}-$ EDTA-APTase 활성, 용해도 및 점도 그리고 신선도의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K값과 현재 동결 surimi의 등급별 분류지표로서 사용되고 있는 젤리 강도를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a^|{2+}-$ATPase 생활과 동결 surimi의 젤리 강도는 깊은 상관 계수를 나타내었으며, 상관 계수(r)는 0.9584였다. 각등급의 생활값은 SA grade $1.184\pm0.12$, FA grade $0.956\pm0.14$, A grade $0.766\pm0.07$, RA grade $0.453\pm0.07$ 및 B grade $0.227\pm0.08({\mu}moles\;Pi/min/mg)$이었다. $Mg^{2+}-$ 및 EDTA-ATPase 활성과 젤리 강도와의 상관 관계는 상관계수(r)가 각각 0.8532, 0.7624로 $Ca^{2+}-$ATPase 생활과 젤리 강도와의 상관 계수에 비하여 낮은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용해도는 동결 surimi 각등급간의 젤리 강도와 밀접한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상관 계수(r)는 0.9849였다. SA grade에 $93.19\pm5\%$로 가장 높았고 FA grade $84.62\pm4\%,\;A\;grade\;70.63\pm5\%,\;RA\;grade\;41.21\pm4\%$이었고 B grade $32.82\pm4\%$로 각 등급별 품질의 차이를 잘 나타내었다. K-value는 상관 계수(r)가 0.9053으로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SA grade $15.67\pm1.4\%,\;FA\;grade\;14.94\pm3\%,\;A\;grade\;28.00\pm55\%,\;RA\;grade\;32.16\pm3\%,\;B\;grade\;48.78\pm5\%$로 등급이 낮을수록 K-value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현재까지의 동결 surimi의 등급별 분류 index로 사용되고 있는 jelly strength, 수분 함량, pH, 백도 및 협잡물에 대신할 원료 surimi 자체의 양부를 결정할 과학적인 지표로서 단백질 변성 정도를 나태는 $Ca^{2+}-$ATPase 활성 및 용해도가 사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고등어육 단백질 가열겔 물성에 대한 알카리 전해수세수 효과 (Effects of Electrolytic Alkali Water Washing on Mackerel (Scomber japonicus) Muscle Protein Heat Gel Rheology)

  • 이남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33-240
    • /
    • 2012
  • In this study, the alkiline water washing condition of mackerel(Scomber japonicus) dark meat was investigated to improve processing conditions of red muscle fish meat paste heating gel. Chemical alkaline water(CWM) and electrolytic alkiline water(EWM, pH 12) were used for washing the mackerel raw meat. Washed meats were minced with 2.5% salt and heated at $90^{\circ}C$/15 min to testing texture profile analysis. Moisture of CWM and EWM was increased with both washing times(p<0.05). Crude lipids and protiens were decreased with washing times. Lightness of chemical alkaline water washed mackerel heated paste gel(CWHPG) was higher than electrolytic alkaline water washed mackerel heated paste gel(EWHPG). Redness and yellowness were more decreased than control meats. Jelly strength of CWHPG and EWHPG was not increased more than 2 times wased meat and was increased with protein decrease. Texture profile analysis, max force1 of CWHPG and EWHPG was higher hardeness than the control meat except gel strains.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that electric alkialine water washing is also effective in advance the red meat paste heating gel process of kamaboko industry.

부원료(副原料)의 첨가량(添加量)이 어묵의 Texture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ubsidiary Materials on Texture of Steamed Alaska Pollack Jelly Products)

  • 권칠성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4권1호
    • /
    • pp.62-74
    • /
    • 1992
  • The effect of additional amounts of subsidiary materials on texture of fish meat paste were examined using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to obtain fundamental data for steamed Alaska pollack meat paste showing good quality. The hardness revealed the good correlation with jelly strength among the six kinds of parameters of Instron texturometer. Products with higher hardness showed a better quality, but those with hardness higher than 16kg showed decreasing quality with increasing hardness. Predicting the quality of steamed Alaska pollack meat paste with various additional amounts of subsidiary materials as a function of hardness, H, the equation could be deduced as follows: H=11.56+0.54Xcs, H=12.22-0.23Xsp and H=11.65-7.13Xpp. The reasonable equations for predicting the quality of steamed Alaska pollack meat paste with various additional amounts of mixed subsidiary material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H=11.57+0.53Xcs+0.44Xsp, H=11.97-1.83Xpp-0.17Xcs, and H=11.58+0.08Xpp-0.23Xsp.

  • PDF

마늘을 이용하여 제조한 젤리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elly Prepared with Garlic)

  • 정은영;이현순;오윤호;손흥수;서형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27-634
    • /
    • 2009
  • 마늘을 이용한 젤리류 개발하기 위해 건조 마늘 분말(0.5%, 1%, 1.5%, 2% 첨가), 생마늘 추출액(0.5%, 1%, 1.5%, 2% 첨가) 및 흑마늘 추출액(5%, 10%, 15%, 20% 첨가) 이용하여 마늘 젤리를 제조하였다. 첨가 재료에 대한 실험 결과, 마늘 추출물과 흑마늘 추출물은 총 폴리페롤, 총 플라보노이드 및 조단백질 함량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생마늘 추출액에 비해 흑마늘 추출액은 총 당함량이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흑마늘 추출액이 생마늘 추출액에 비해 DPPH와 ABTS 라디컬 소거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된 마늘 젤리의 조직감 및 색도 평가에서 마늘의 첨가되는 양이 많을수록 무첨가한 젤리와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마늘의 첨가는 젤리의 관능적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흑마늘의 첨가는 조직감의 기호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레토르트파우치 튀김어묵의 열처리조건에 관한 연구 1. 열처리조건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Thermal Treatment Conditions of Retort Pouched Fried Fish Meat Paste 1. Influence of Thermal Treatment Conditions on Quality)

  • 하진환;이응호;김진수;지승길;구재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73-581
    • /
    • 1987
  • 어육연제품은 최근 그 생산량이 급증하고 있으나 AF-2 등 식품방부제의 사용이 전면 금지됨에 따라 재래식 방법으로 만든 어묵은 유통상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결정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영양적 및 관능적인 품질의 저하를 최소화하되 저장 수명이 길면서 상온유통이 가능한 제품생산을 위한 고온열처리조건을 밝히고자 하였다. 즉 열처리시간은 $F_o$-값 6을 기준으로 하고 레토르트파우치 튀김어묵의 크기와 열처리온도를 달리 하였을 때의 품질을 검토하였다. 젤리강도와 경도는 열처리온도가 높을수록 컸으며 보수력과 강성은 차이가 없었다. 젤리강도, 경도, 명도 및 in vitro 단백질소화율은 전 제품에서 모두 직경이 12mm인 것을 $124^{\circ}C$에서 ?처리한 것이 가장 좋았다. 그러나 관능검사 결과는 $124^{\circ}C$에서 열처리 16mm의 것이 12mm의 그것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저장 40일까지 전 제품의 젤리강도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70일 저장하였을 때는 직경이 12mm인 것만 증가하고 23mm 이상의 것들은 대체로 크게 감소하였다. 저장중 직경이 23mm 이상의 제품은 약간씩 그리고 직경이 16mm 이상인 것은 크게 그 경도가 증가하였다. 전 제품에서 16mm 이상인 것은 크게 그 경도가 증가하였다. 전 제품에서 보수력, 강성 그리고 색조는 전 저장기간을 통하여 큰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레토르트파우치 튀김어묵을 제조할 때 직경이 16mm 혹은 그 이상의 것은 고온단시간열처리로 품질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Effect of Washing and Additives on Gel Formation of Squid Surimi

  • LEE Nahm-Gull;CHO Young-Je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54-760
    • /
    • 1996
  • Effects of washing and additives on the texture of squid surimi gel which has been known to hard to gelation due to high protease activities and many water solubles were studied by SDS-PAGE, compression test, jelly strength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TEM). Myosin (205 kDa) heavy chain was the major protein in water soluble fractions. It was impossible to make a gel after washing of the minced squid mea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quid (Todarodes pacificus) minced meat does not need a washing for good jelly products. $3.0\%$ of bovine plasma protein (BPP) produced the hardest gel ($16\%$ harder than the control) among the additives including egg white (EW), potato extracts (PE) and transglutaminase-K (TG-K) by compression test (P>0.05). Microstructure of control, $2\%$ EW and $4\%$ TG-K treated gels showed a sponge-like structure with more vacant space. Gels containing $3\%$ BPP formed the most rigid and arranged networks. Those results indicates that poor gel-network formation Was due to the degradation of myofibrillar proteins by proteases contained in the minced meat, which result in non-interlinkage.

  • PDF

미역과 다시마를 이용한 해조묵제조 -3. 두유혼합묵과 분리대두단백질 혼합묵- (Preparation of Seaweed Jelly(Muk) with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and Sea Tangle(Laminaria japonica) -3. Muks Prepared with Soy milk or Soy Protein Isolate-)

  • 정용현;국중렬;장수현;김종배;김건배;최선남;강영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25-330
    • /
    • 1995
  • 해조류 중 생산량이 많고 건강식품 소재로 가능성이 높은 미역과 다시마를 이용하여 두유와 분리대두 단백질이 첨가된 혼합묵의 제조조건을 규명하였다 두유혼합 미역묵의 제조는 두유의 비율을 증가시킴에 따라 겔강도는 감소되었고, 농축한 두유를 혼합할수록 겔강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조체용해액에 대한 두유의 비율을 7 : 1로 혼합하여 $65^{\circ}C$에서 겔화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조체용해액에 분리대두단백질을 $5\%$(w/w)를 혼합하여 $65^{\circ}C$에서 겔화할때 조체묵이나 두유혼합묵에 비해 높은 겔강도$(900g/cm^2)$을 가지는 분리대두단백질 혼합묵제조가 가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