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junal resection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1초

식도협착으로 식도부분절제술과 위간치술 후 발생한 식도암에서 시행한 전인두후두식도위적출술 및 대장치환술 치험 1예 (A Case of Total Pharyngo-laryngo-esophagogastrectomy and Colon Transposition in a Patient with Esophageal Cancer following Partial Esophagectomy and Gastic Pull-up due to Esophageal Stricture)

  • 왕수건;손봉형;이병주;이형렬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9-73
    • /
    • 2003
  • Various flaps are using for reconstruction of esophageal defect. The choice of reconstruction is depended to the oncologic needs of the situation. If the entire esophagus or significant part of the thoracic esophagus is involved by tumor, then total esophagectomy and gastric pull-up or colon transposition is indicated. But for most hypopharyngeal tumors, laryngopharyngeal tumors, and cervical esophageal tumors, segmental resection of these area and replacement with a jejunal fee or forearm free flap has become the standard technique. The authors have experienced a case of total pharyngo-laryngo-esophago-gastrectomy and colon transposition in a patient of esophageal cancer following partial esophagectomy and gastic pull-up due to corrosive esophageal stricture. We report this case with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PDF

위전절제술 후 재건술식에 따른 환자의 영양상태와 삶의 질 비교 (Comparison of Reconstructive Techniques after Total Gastrectomy as Determined by Patient Quality of Life and Nutritional Status)

  • 서경수;이종명;김우영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4호
    • /
    • pp.219-227
    • /
    • 2007
  • 목적: 위전절제술 후 이용될 수 있는 재건 술식에 대해서는 많은 방법들이 보고되어 왔지만 지금까지도 이상적인 술식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고 장기간에 걸친 비교 연구는 더욱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본원에서 실시한 4가지 술식들인 Roux-en-Y 술식(R-Y), 공장간치술(JI), 공장낭간치술(JPI), Double-tract 재건술(DT)간의 경과 관찰을 통해 보다 나은 재건 술식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2000년 8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위암으로 근치적 위전절제수술을 받고 재발이 없고 추적이 가능한 환자 중 80세 이상과 병기 IV기를 제외하고 재건 술식에 따라 RY군(n=15), JI군(n=8), JPI군(n=8), DT군(n=10)으로 분류한 총 4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증상, 수술 후 1년, 3년째의 혈액 및 생화학적 검사의 변화, 체중 변화를 포함한 영양학적 변화 및 삶의 질을 평가하기위한 GSRS score를 분석하였다. 또한 내시경 소견을 통해 위식도 역류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검사실소견은 3년째 총단백과 알부민에서 DT군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고(P=0.006, P=0.033), 체중감소는 JI군이 1년, 3년째에서 수술 전 체중의 84.50%, 86.50%로 가장 많았다(P=0.013, P=0.011). GSRS score에서 JPI군이 수술 후 1년, 3년 모두에서 유의하게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P=0.028, P=0.003). 결론: 공장낭간치술은 위전절제술 후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재건 방식으로 생각된다.

  • PDF

Surgical Outcomes of Cervical Esophageal Cancer: A Single-Center Experience

  • Yoonseo Lee;Jeonghee Yun;Yeong Jeong Jeon;Junghee Lee;Seong Yong Park;Jong Ho Cho;Hong Kwan Kim;Yong Soo Choi;Young Mog Shi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1호
    • /
    • pp.62-69
    • /
    • 2024
  • Background: Cervical esophageal cancer is a rare malignancy that requires specialized care. While definitive chemoradiation is the standard treatment approach, surgery remains a valuable option for certain patients. This study examined the surgical outcomes of patients with cervical esophageal cancer. Methods: The study involved a retrospective review and analysis of 24 patients with cervical esophageal cancer. These patients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between September 1994 and December 2018.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1.0±10.2 years, and 22 (91.7%) of them were male. Furthermore, 21 patients (87.5%) had T3 or T4 tumors, and 11 (45.8%) exhibited lymph node metastasis. Gastric pull-up with esophagectomy was performed for 19 patients (79.2%), while 5 (20.8%) underwent free jejunal graft with cervical esophagectomy. The 30-day operative mortality rate was 8.3%. During the follow-up period, complications included leakage at the anastomotic site in 9 cases (37.5%) and graft necrosis of the gastric conduit in 1 case. Progression to oral feeding was achieved in 20 patients (83.3%). Fifteen patients (62.5%) displayed tumor recurrence. The median time from surgery to recurrence was 10.5 months, and the 1-year recurrence rate was 73.3%. The 1-year and 3-year survival rates were 75% and 33.3%, respectively, with a median survival period of 17 months. Conclusion: Patients with cervical esophageal cancer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faced unfavorable outcomes and relatively poor survival. The selection of cases and decision to proceed with surgery should be made cautiously, considering the risk of severe complications.

난치성 식도협착에서의 인두-대장 문합술의 결과 (Results of Pharyngocolostomy in Intractable Caustic Pharyngeal Stricture)

  • 박충규;심영목;김진국;김관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6호
    • /
    • pp.561-566
    • /
    • 1999
  • 배경: 부식제를 삼킨후 발생하는 인두부위의 협착은 수술로 쉽지않고, 수술후 정상적인 음식물의 섭취까지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저자등은 이러한 환자들을 치험한 후 결과를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8월부터 1998년 3월까지 부식성 협착이 심하게 진행된 6례의 환자에서 식도재건술을 하였다. 부식제의 음용후 식도 재건술까지의 기간은 3개월에서 2년 4개월까지 였다. 6례에서 모두 좌측 대장을 사용하였고, 5례에서는 흉골하경로로, 1례에서는 식도열공경로로 위치시켰다. 경부 문합은, 3례에서는 갑상연골을 부분절제하여 좌측 양배꼴동에 문합하였고, 3례에서는 하인두수축근의 후외측에 실시하였다. 결과: 수술후 합병증은 연하곤란 3례, 좌측 성대마비 1례였다. 경부 문합부위협착은 없었다. 교정술기로는 식도확장과 유리 공장이식 1례, 성문위 반흔띠절제 1례, 대장 점막절제가 1례있었다. 연하곤란이 발견된 3례의 환자에서는 연하훈련이 필요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9일째부터 303일째까지에서 정상적인 연하기능의 회복이 관찰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인두부터 심하게 협착이 진행되어 있는 부식성협착에서 인두-대장 문합술이 식도 재건술로 유용함을 알수 있었고, 연하의 기능이 정상과 달라짐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장시간의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그리고, 위의 출구까지 손상되어 위의 저류기능을 유지할 수 없는 증례들에서, 인두-대장-공장 문합술이 식도재건술로써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부식성 하인두 협착시 식도재건술 (Esophageal Reconstruction for Hypopharyngeal Stricture After Severe Corrosive Injury)

  • 변정욱;구본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48-54
    • /
    • 1997
  • 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서울백병 원에서는 1986년 10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부식제 의 음용으로 하인두와 식도 입구부터 심한 협착이 발생한 1 1례의 환자에서 하인두의 양배꼴동에 대용식 도를 문합하는 식도재건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남자 7례, 여자 4례로 모두가 성인으로 연령은 21세 에서 47세까지로 평균 34세였다. 식도협착의 원인이 된 부식제는 산성이 6례: 알칼리성이 5례였다. 이들의 부식제 음용 동기는 자살 목적이 9례였 고, 사고로 인한 경우가 2례였다. 부식제의 음용후 최종적으로 식도재건술까지의 기간은 4개월에서 부 터 21년까지 였다. 식도재 건술시 이용한 대용식도는 9례에서는 우측 결장을 사용하였고, 2례는 이 전에 우측 결장을 이용한 식도재건술이 실패한 상태여서 좌측 결장을 사용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식도 절제술은 하지 않았고 결장은 흉골하로 거상하였다. 경부 문합은 환자의 머리를 똑바로 놓은 상태에서 경부에 J형태로 피부를 절개하고 흉골설골, 갑상설 골근을 절단하고 갑상연골의 연골막을 박리하여 감상연골을 역삼각형모양으로 부분절제하고 양배꼴동을 열고 결장과 단단문합하였다. 수술 직후 類觀隙\ulcorner환자는 음식물을 삼킬 때 연하곤란과 기도내로 음식물이 넘어가 고형 음식물로 삼키는 훈련이 필요하였다. 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은 대용식도의 괴사가 3례가 발생하여 유리공장을 이식하였다. 3례에서는 경부 문합부위에 협착이 있어 2례에서 상부문합부위를 확장하였고 1례에서는 유착띠제거술을 시행하였으며 모두 협착이 해소되었다. 수술 후 외래 추적관찰에서 10례에서는 정상적으 로 음식물을 삼킬 수 있었고 유리공장을 사용하여 2차수술을 시행한 1례는 유리공장의 괴사로 3차수술 을 기다리고 있다.

  • PDF

Siewert 분류에 의한 협의의 분문부 위암(type II)과 분문하 위암(type III)의 검토 (Analysis of Clinocopathologic Difference between Type II and Type III Cancers in Siewert Classification for Adenocarcinomas of the Cardia)

  • 김형주;권성준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4권3호
    • /
    • pp.143-148
    • /
    • 2004
  • Purpose: To determine the clinical value of the Siewert classification for gastic-cancer patients in Korea, we evaluated and compared the clinicopathologic factors of type II and type III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89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rgery for an adenocarcinoma of the gastroesophageal junction (GEJ)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Hanyang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un. 1992 and Dec. 2003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re were one patient with type I, 12 pateints with type II and 77 patients with type III. During the same period, 1,341 patients underwent surgery for a gastric carcinoma, so proportion of GEJ cancer being $6.6\%$.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31 months (range: $2\∼135$ months), and the follow-up rate was $100\%$. Between type II and type III canc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opathologic variables including age, sex, gross appearance, histologic type, depth of invasion, and pathologic stage. The longest diameter of the tumor was larger in type III ($6.1\pm2.1$ cm) than in type II ($3.9\pm1.1$ cm)(P=0.001). A total gastrectomy with Roux-en-Y esophagojejunostomy was done most frequently, while jejunal interposition was done in 3 cases of type II and 2 cases of type III. More than a D2 lymphadenectomy was done all cases. The numbers of dissected lymph nodes and metastatic lymph nodes in type II were 43.8 and 5.8 respectively, while they were 49.8 and 8.1 in type III,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an length of the proximal resection margin was $15\pm5$ mm in type II and $21\pm13$ mm in type III,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ct. The time to recurrence after operation was 19.3 months in type II and 16.9 months in type III. The five-year survival rates of type II and III were $68.8\%\;and\;52.7\%$ respectively, but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opathologic variables, including survival rate, between type II and type III cancers in Korean patients According to these findings, it appears to be reasonable to classify type III cancer as a cardia cancer in a broad sense.

  • PDF

선천성 장 폐쇄증의 임상적 분석 (A Clinical Analysis of the Intestinal Atresia)

  • 박진영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0권2호
    • /
    • pp.99-106
    • /
    • 2004
  • 1994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실에서 경험한 선천성 장폐쇄증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재태기간과 출생시 체중, 산전진단 및 출생장소, 임상소견, 수술전 검사, 동반기형, 수술방법, 형태학적 분류, 합병증 및 사망률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총 36예의 환자중에서 십이지장 폐쇄증 17예, 공장 폐쇄증 11예, 회장 폐쇄증 8예 있었다. 남녀비는 십이지장 폐쇄증은 1.4:1, 공장 폐쇄증 2.7:1, 회장 폐쇄증의 경우는 7:1 이었다. 형태학적 분류에서 십이지장 폐쇄증은 3형이 7예로 가장 많았으며, 공장 및 회장 폐쇄증은 1형이 10예로 가장 많았으며, 3a형이 7예 있었다. 임상 소견은 담즙성 구토와 복부 팽만이 가장 흔한 증상이었다. 수술 전 검사는 십이지장 페쇄증은 전예에서 단순복부촬영만으로 정확하게 진단이 가능하였다. 동반 병변은 십이지장 폐쇄증 환자 중선천성 심기형 6예, 다운증후군이 3예 있었고, 공장 및 회장 폐쇄증에서는 3예에서 태변성 복막염이 동반되었다. 수술방법은 부분절제술을 시행한 경우가 13예로 가장 많았다. 술 후 합병증은 문합부 유출 3예, 장 폐색증 3예, 창상 감염이 3예 있었으며, 십이지장 폐쇄증 환자 2예 9사망률:11.8 %)에서 동반된 선천성 심 기형으로 사망하였으며, 공장 폐쇄증 환아 2예(사망률: 18 %)는 폐혈증과 3b 형에서 장 절제 후 단장 증후군으로 각각 사망하였다.

  • PDF

경부식도암에 대한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for Cervical Esophageal Cancer)

  • 김대현;백희종;이해원;박종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253-259
    • /
    • 2008
  • 배경: 경부식도암은 흉부식도암에 비해 발생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방사선치료나 항암 약물치료의 역할이 흉부식도암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경부식도암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역할이 흉부식도암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저자들은 경부식도암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경부식도암(경흉부식도 암 포함 )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43명의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추적이 가능하였으며, 최종 추적일은 2004년 2월 28일이었다. 결과: 대상 환자의 평균 나이는 60세$(43{\sim}77)$였고, 남녀 비는 40:3이었다. 조직학적으로 편평상피세포암이 42명, 악성 흑색종이 1명이었다. 식도 재건 방법은 gastric pull-up 32명, 유리 공장 이식 7명, colon interposition 4명이었다. 전체 43명 중 31명(72%)의 환자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수술 사망자는 7명(16%)이었다. 수술 후 최종 병기는 I 3명, IIa 14 명, IIb 1명, III 19명, IVa 6명이었다. 수술 사망자를 제외한 36 명 중 16명(44%)에서 종양이 재발하였고, 수술 후 3년, 5년 생존율은 29.3% 와 20.9%이었다. 결론: 경부식도암에 대한 수술은 수술 사망률, 합병증 발생률, 재발률이 높고, 장기 생존율이 낮지만, 방사선치료나 항암약물치료 만으로는 연하곤란의 완전한 해소 및 종양의 완치가 어려우므로 수술이 포함되는 다방법 병합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