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nthinellum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09초

Penicillium janthinellum 균체를 이용한 생물흡착에 의한 염료의 제거 (Removal of Dyes by the Biosorption Using Biomass of Penicillium janthinellum)

  • 이제혁;전억한
    • KSBB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31-35
    • /
    • 1999
  • Penicillium janthinellum의 생균체와 변형 균체를 사용한 azo와 reactive계 염료의 생흡착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반응액의 pH가 초기 흡착율과 탈색에 영향을 주어, 최적 pH는 3.0이었으며, 최적 온도는 $40^{\circ}C$이었다. Reactive계 염료인 Apollocion Red 7EB와 Apollfix Red SF-3B와 Apollocion Red HE-3B는 각각 초기 흡착율이 0.06, 0.086, 0.07mg/g.mm이었다. Azo와 reactive 계 염료들을 함유한 혼합염료도Pen janthinellum 균체에 흡착되어 0.084mg/g.min의 초기 흡착율을 보였다. Detergent 첨가시 탈색 백분율과 초기 흡착율은 대조군의 경우보다 낮았다. 또한 이온의 첨가는 염료의 흡착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en janthinellum의 변형 균체도 염료의 흡착율을 보였고, Apollocion Red 7EB의 흡착에 있어 이온교환수지보다 월등한 흡착능을 보였다.

  • PDF

Distribution of Alcohol-tolerant Microfungi in Paddy Field Soils

  • Choi, Soon-Young
    • Mycobiology
    • /
    • 제31권4호
    • /
    • pp.191-195
    • /
    • 2003
  • Ethanol treatment method was attempted for the selective isolation of ethanol-tolerant fungi from two sites of rice paddy fields around Seoul area. The vertical and seasonal fluctuation of the fungal population were also investigated. The ethanol-tolerant fungi were Talaromyces stipitatus, T. flavus var. flavus, T. helicus var. major, Eupenicillium javanicum, Emericellopsis terricolor, Pseudourotium zonatum, Aspergillus flavus,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Penicillium frequentans, P. janthinellum, and P. verruculosum. The most dominant species isolated by this method was T. stipitatu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s of fungal species and colony forming units(CFUs) of ethanol-tolerant fungi were higher in Ascomycota than in Deuteromycota. A particular tendency appeared the highest CFUs in autumn, but lower in spring and winter. T. stipitatus was the dominant species of ethanol tolerant microfungi. This result would suggest that membrane lipid composition of ethanol-tolerant fungi isolated from the soils may play on important role in the ethanol tolerance.

Culturable Fungal Endophytes Isolated from the Roots of Coastal Plants Inhabiting Korean East Coast

  • Kim, Hyun;You, Young-Hyun;Yoon, Hyeokjun;Seo, Yeonggyo;Kim, Ye-Eun;Choo, Yeon-Sik;Lee, In-Jung;Shin, Jae-Ho;Kim, Jong-Guk
    • Mycobiology
    • /
    • 제42권2호
    • /
    • pp.100-108
    • /
    • 2014
  • Twelve plant species were collected from the east coast of Korea to identify culturable endophytes present in their roots. The fungal internal transcribe spacer (ITS) region (ITS1-5.8SrRNA-ITS2) was used as a DNA barcode for identification of fungi. A total of 194 fungal strains were identified and categorized into 31 genera. The genus Penicillium accounted for the largest number of strains, followed by the genus Aspergillus. Furthermore, using 5 statistical methods, the diversity indices of the fungi were calculated at the genus level. After comprehensive evaluation, the endophytic fungal group from Phragmites australis ranked highest in diversity analyses. Several strains responsible for plant growth and survival (Penicillium citrinum, P. funiculosum, P. janthinellum, P. restrictum, and P. simplicissimum), were also identified.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on the sheds light on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coastal plants and fungi.

한국산(韓國産) 왕대나무의 현존량(現存量)과 토양(土壤) 미세균류상(微細菌類相) (The Standing Crops and Soil-borne Microfungal Flora of Phyllostachys reticulata in Korea)

  • 김관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1-116
    • /
    • 1979
  • 본(本) 연구(硏究)는 예산지역(禮山地域)(A)과 광산지역(光山地域)(B)의 왕대나무(Phyllostachys reticulata)의 현존량(現存量)과 그 토양(土壤) 미세균류상(微細菌類相)을 조사(調査)한 것이다. 왕대나무의 죽림밀도(竹林密度)는 예산지역(禮山地域)이 17,250본(本)/ha이며 광산지역(光山地域)이 14,780본(本)/ha으로서 예산지역(禮山地域)이 16.1%가 많았다. 양지역(兩地域)의 환경요인(環境要因)은 B지역(地域)의 생장기간(生長期間)의 평균기온(平均氣溫)이 A지역(地域)보다 $1.5{\sim}2^{\circ}C$가 높았고 토양온도(土壤溫度)도 $1{\sim}2^{\circ}C$가 높았으며 토양내(土壤內)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전실소(全室素), 인산(燐酸) 및 유기물질량(有機物質量)도 약간(若干)많았다. 또 B지역(地域)에서는 낙엽량(落葉量)과 부식량(腐植量) 그리고 죽림내(竹林內)의 식생수량(植生數量)도 많았으며 죽림지(竹林地)에서 환원(還元)되는 각종(各種) 유기물(有機物) 분해(分解)에 관여(關與)하는 미세균류(微細菌類)도 Mortierella elongata, Mucor circinelloides, Aspergillus japonicus, Penicillium waksmani and Trichoderma lignorum등의 5종(種)이 더 많았다. 온도(溫度)는 죽림내부(竹林內部)로 들어 갈수록 낮았고 습도(濕度)는 높았다. 죽림내(竹林內)의 상대조도(相對照度)의 비율(比率)은 A지역(地域)이 4.19% B지역(地域)이 2.7%로서 하단분(下端部)에서는 모두 광합성작용(光合成作用)을 할 수 있는 능력(能力)이 상실(喪失)되었으나 조도(照度)가 약(弱)할수록 표토(表土)근처에서 서식(棲息)하는 미세균류(微細菌類)는 오히려 활동력(活動力)을 강(强)하게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생산구조도(生産構造圖)에서 B지역(地域)의 광합성부(光合成部)의 최대량(最大量)이 대나무 지상부(地上部)의 상단(上端)에 위치(位置)하고 있어서 높은 생산량(生産量)을 유지(維持)하는데 효과적(效果約)인 구조(構造)였다고 생각된다. A,B지역(地域) 죽림(竹林)에서 $D^2H$, $w_s,\;w_b$, 및 $w_l$ 상대생장식(相對生長式)을 유도(誘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지역(地域) $logw_s=0.5262\;logD^2H+1.9546$ $logw_b=0.6288\;logD^2H+1.5723$ $logw_l=0.5181\;logD^2H+1.8732$ B지역(地域) $logw_s=0.5433\;logD^2H+1.8610$ $logw_b=0.1630\;logD^2H+2.3475$ $logw_l=0.4509\;logD^2H+2.0041$ 상기(上記)한 식(式)을 적용(適用)하여 10a당 현존량(現存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A지역(地域) $w_s=1128.83kg,\;w_b=689.05kg,\;w_l=926.69kg$ 으로 $w_e=2744.57kg$이었고, B지역(地域) $w_s=1206.66kg,\;w_b=679.92kg,\;w_l=1112.51kg$으로 $w_t=2999kg$이였다. 따라서 A,B양지역간(兩地域間)에 있어서 $D^2H,\;w_s,\;w_b$, 및 $w_l$의 현존량(現存量)을 비교한 결과(結果)(t-test), $D^2H,\;w_s,\;w_b,\;w_l$에서는 유의차(有意差)가 인정되었으나 $w_b$는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토양생(土壤生) 미세균류(微細菌類)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158균주(菌株)를 분리(分離)하고 55종(種)을 동정(同定)하였다. 그 중 A지역(地域) 50종(種), B지역(地域) 55종(種)으로 양지역(兩地域)의 우점종(優占種)들은 다음과 같다. Trichoderma viride, Penicillium janthinellum, P. commune, Aspergillus oryzae, A. niger, A. gigantus, A. fumigatus, Mortierella ramaniana, var. anguliFPora, Mucor hiemalis와 Zygorhynchus moelleri.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 의(依)하면 토성(土性)이 좋고 토양양료(土壤養料) 및 토양생(土壤生) 미세균류(微細菌類)의 증가(增加) 그리고 생육기간(生育期間)의 온도(溫度)가 왕대나무의 생장(生長)이나 임상식물(林床植物)의 종(種)과 양(量)을 증가(增加)시킨 것으로 나타났고 왕대나무의 현존량(現存量)과 환경요인(環境要因)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이들의 모든 요인(要因)이 상호연관(相互連關)을 갖고 복잡(複雜)하게 작용(作用)한 것으로 보며 더욱 죽림밀도(竹林密度)가 중용(重要)한 인자(因子)로 작용(作用)한 것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