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land biodiversity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9초

Inhibitory Effects of Eutigosides Isolated from Eurya emarginata on the Inflammatory Mediators in RAW264.7 Cells

  • Park Soo-Yeong;Lee Hye-Ja;Yoon Weon-Jong;Kang Gyoung-Jin;Moon Ji-Young;Lee Nam-Ho;Kim Se-Jae;Kang Hee-Kyoung;Yoo Eun-Soo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11호
    • /
    • pp.1244-1250
    • /
    • 2005
  •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urya emarginata (Thumb) Makino, of which leaves have been traditionally used to treat ulcers or diuretic in Jeju Island, has been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Through the phytochemical study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E. emaginiata, eutigosides Band C were isolated as the active components. Sseveral inflammatory markers including TNF-$\alpha$, IL-1$\beta$, IL-6, NO, iNOS, and COX-2 were examined. Eutigosides Band C potentially inhibite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and TNF-$\alpha$) in a dose-dependent manner. Additionally, the intracellular contents of iNOS protein were markedly decreased after treatment with eutigosides Band C. The inhibition of iNOS activity was correlated with the decrease in nitrite leve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utigoside Band C from E. emarginata may have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ugh the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alpha$ and IL-6), iNOS and COX-2.

Preliminary research for molecular markers of two invasive toxic weeds, Cenchrus L. (Poaceae) species, based on NGS technique

  • Hyun, JongYoung;Jung, Joonhyung;Do, Hoang Dang Khoa;Kim, Joo-Hwa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1-71
    • /
    • 2019
  • The genus Cenchrus (Poaceae), containing ca. 23 species, is distributed throughout Australia, Africa, Indian sub-continent, and America. In Korea, Cenchrus longispinus (Hack.) Fernald, especially introduced to Daecheong Island in 1999, is one of the most hazardous invasive plant which causes serious environmental threats, biodiversity damages and physically negative impact on humans and animals. Based on the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technology, we characterized the chloroplast (cp) genome sequences of C. longispinus which contains a large single copy (LSC; 80,223 bp), a small single copy (SSC; 12,449 bp), separated by a pair of inverted repeats (IRs; 22,236 bp). Additionally, we analyzed the cp genome sequences of Cenchrus echinatus L. which contains a large single copy (LSC; 80,220 bp), a small single copy (SSC; 12,439 bp), separated by a pair of inverted repeats (IRs; 22,236 bp). These cp genomes consist of 75 unique genes, 4 rRNA coding genes, 33 tRNA coding genes and 21 duplicated in the IR regions, of which the gene content and organization are similar to the other Poaceae cp genomes. We selected 40 potential regions in cp genomes of two Cenchrus species and one Korean Pennisetum species to develop new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markers for identifying C. longispinus based on amplification-refractory mutation system (ARMS) technique. The markers, inferred from SNP in matK and ndhF genes, show effectiveness to recognize C. longispinus from C. echinatus and Korean native species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 PDF

Unveiling mesophotic diversity in Hawai'i: two new species in the genera Halopeltis and Leptofauchea (Rhodymeniales, Rhodophyta)

  • Erika A., Alvarado;Feresa P., Cabrera;Monica O., Paiano;James T., Fumo;Heather L., Spalding;Celia M., Smith;Jason C., Leonard;Keolohilani H., Lopes Jr.;Randall K., Kosaki;Alison R., Sherwood
    • ALGAE
    • /
    • 제37권4호
    • /
    • pp.249-264
    • /
    • 2022
  • Two genera of the Rhodymeniales, Halopeltis and Leptofauchea, are h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Hawaiian Islands and represent the deepest records for both genera.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of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rbcL, and large subunit ribosomal DNA (LSU) sequences for Hawaiian specimens of Leptofauchea revealed one well-supported clade of Hawaiian specimens and three additional lineages. One of these clades is described here as Leptofauchea huawelau sp. nov., and is thus far known only from mesophotic depths at Penguin Bank in the Main Hawaiian Islands. L. huawelau sp. nov. is up to 21 cm, and is the largest known species. An additional lineage identified in the LSU and rbcL analyses corresponds to the recently described L. lucida from Western Australia, and is a new record for Hawai'i. Hawaiian Halopeltis formed a well-supported clade along with H. adnata from Korea, the recently described H. tanakae from mesophotic depths in Japan, and H. willisii from North Carolina, and is here described as Halopeltis nuahilihilia sp. nov. H. nuahilihilia sp. nov. has a distinctive morphology of narrow vegetative axes that harbor constrictions along their length. The current distribution of H. nuahilihilia includes mesophotic depths around W. Maui, W. Moloka'i, and the island of Hawai'i in the Main Hawaiian Islands. Few reproductive characters were observed because of the small number of specimens available; however, both species are distinct based on phylogeny and morphology. These descriptions further emphasize the Hawaiian mesophotic zone as a location harboring many undescribed species of marine macroalgae.

Mitochondrial COI sequence-based population genetic analysis of the grasshopper, Patanga japonica Bolívar, 1898 (Acrididae: Orthoptera), which is a climate-sensitive indicator species in South Korea

  • Jee-Young Pyo;Jeong Sun Park;Seung Hyun Lee;Sung-Soo Kim;Heon Cheon Jeong;Iksoo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7권2호
    • /
    • pp.99-114
    • /
    • 2023
  • Patanga japonica Bolívar, 1898 (Orthoptera: Acrididae) is listed as a climate-sensitive indicator species in South Korea and is called southern group of insects in that the main distributional range is southern region of South Korea and Asian continent. In South Korea, thus, the species was distributed mainly in southern region of South Korea including southward a remote Jeju Island, but recently the species has often been detected in mid to northern region of South Korea, implying northward range expans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in genetic diversity during range expans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could be a found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future biodiversity. Thu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hanging pattern of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P. japonica in newly expanded regions. For the purpose of study, we collected 125 individuals from seven localities throughout South Korea including two newly distributed regions (Pyeongtaek and Yeongwol at ~37° N). These were sequenced for a segment of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and analyzed for genetic diversity, haplotype frequency, and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among populations. Interestingly, northward range expansion accompanied only haplotypes, which are most abundant in the core populations, providing a significant reduction in haplotype diversity, compared to other populations. Moreover, genetic diversity was still lower in the expanded regions, but no genetic isolation was detec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further longer time would take to reach to the comparable genetic diversity of preexisting populations in the expanded regions. Probably, availability of qualified habitats at the newly expanded region could be pivotal for successful northward range expans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Effects of Sasa borealis silage on proximate composition, amino acid and fatty ac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fresh meat of Korean native goat fed with total mixed ration

  • Young-Jin Choi;Sang Uk Chung;Na Yeon Kim;Mirae Oh;Se Young Jang;Young Sik Yun;Sang Ho Moon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27
    • /
    • 2023
  • Jeju Sasa borealis (S. borealis) is indigenous to the Halla Mountain area of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However, its dominance has retarded the development of other plant species and lowered biodiversity in this reg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S. borealis silage (SS) supplementation affects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in the fresh meat of Korean native goats (Capra hircus coreana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12 Korean native goats at the finisher stage. The feeding groups were the Control (total mixed ration, TMR) and the Treatment (80% TMR + 20% SS). The animals were adapted for two weeks and then subjected to a six-month breeding experiment. Meat samples were excised from the neck, loin, rib, front leg, and hind leg of the slaughtered animals. The meat derived from the treatment group contained more taurine and anserine than that derived from the control group. Both group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terms of ω-6/ω-3 fatty acid ratio. The loin and front leg of the treatment group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vitamin E levels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DPPH, ABTS, and FRAP analyses disclosed that the loin and front leg had significantly higher antioxidant activity (p<0.05) than the other parts. Moreover, the loin and front leg cuts of the treatment group ha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S. borealis supplementation could effectively improve Korean native goat meat quality.

Landsat 영상비교와 문헌연구를 통한 제주도 산림경관변화와 팔색조 서식고도 차이에 관한 연구 (Causes of the Difference of Inhabited Altitudes above Sea Level of Fairy Pitta(Pitta nympha) on Jeju Island Followed by Forest Landscape Through the Comparison of Landsat Images and the Literature Review)

  • 김은미;권진오;강창완;천정화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79-90
    • /
    • 2013
  • 제주도에서 팔색조가 서식하는 해발고도는 1960년대와 현재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게 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Landsat 위성영상의 시계열 자료 비교와 문헌을 중심으로 한 서식지 환경, 산림분포 및 산림경관 변화 측면에서 두 시기의 차이에 관해 살펴보았다. 현재의 팔색조 주 서식고도인 600m 이하지역 경관은 상당면적이 산림으로 구성된 반면, 1960년대에는 거의 초지대였으며, 계곡 주변으로 상록수림이 있었으나 이차림으로서 숲의 규모가 작고 구조 또한 서식에 불리하였다. 해발 700m 주변의 숲들도 역시 약 3m 정도의 수고를 가진 임목들로 구성된 이차림이었으며, 800m에서 1,300m 지역의 숲들 또한 지역주민들의 버섯재배 등으로 교란을 받은 이차림이었다. 해발 1,300m 이상 지역은 꽝꽝나무, 진달래 등의 작은 관목림으로 구성되어 팔색조의 서식지로서는 숲의 규모나 구조가 적합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1960년대에는 1,000m부터 1,300m 사이의 숲이 팔색조의 최적 서식처가 될 수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현재의 서식처인 해발 100m부터 800m 사이의 숲들과 비교하였을 때, 현재보다 제한된 면적에서 적은 수의 팔색조가 서식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1960년대 이후 산림경관의 긍정적 변화로 인해 현재 팔색조의 개체수가 증가되고 있는 시점에서, 향후 제주도에서 팔색조와 같은 깃대종과 그 서식처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생물종다양성을 유지 증진시킬 수 있는 숲의 식생 구성과 임분 구조를 염두에 둔 지속적인 산림관리가 요구된다.

생태복원용 식물종 선정을 위한 지표의 중요도·우선순위 (Importance and Priority of Indicators for Selection of Plant Speci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 성정원;신현탁;유승봉;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27-337
    • /
    • 2022
  • 생태복원은 생태계의 건강성과 지속성에 있어 생물다양성의 손실을 막을 수 있는 좋은 수단으로 인식되어 있으나 식물종 선정에 관한 환경, 생리·생태요인, 복원목표 설정 등 종합이고 객관적인 기준점이 없어 실행에 옮기는데 애로사항이 있다. 이에 전문가 그룹의 의견을 종합하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생태복원용 식물종을 선정하는데 필요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생태복원 등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2회에 걸쳐 38부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복원 대상지를 내륙과 도서 지역으로 나눠 평가지표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했다. 중요도 분석 결과, '자생식물'이라는 평가지표가 내륙과 도서 지역에서 모두 평균 4.9로 가장 높았다. 다음 '종자확보', '증식', 활착률' 순으로 높았다. 내륙의 지표우선순위는 '자생식물', '출현빈도', '활착율', '분포범위', '종자확보'로 도서 지역은 '자생식물', '활착율', '출현빈도', '분포범위', '내성'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우선순위 분석을 수행한 결과 '내륙의 중요도 평균값은 4.1, 우선순위 2.9로 도서지역은 중요도 평균값은 4.2, 우선순위 2.9로 기준을 설정하였다. 생태복원용 식물종 선정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는 '자생식물'이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종자확보', '활착율', '지형', '증식', '내성', '토양조건', '생육특성', '천이초기', '분포범위', '출현빈도', '발아율'이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낮은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가장 낮은 지표는 '천이 최종단계', '천이장기', '천이중기', '뿌리', '번식', '토양', '성상', '기술', '경관', '기후', '발아율'로 구분되었다. 이에, 생태복원용 식물종 선정을 위해 객관적 검증을 통한 생태복원용 자생식물 종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로 복원사업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서부 DMZ일원 퇴모·혈구산(인천광역시 강화군)의 식물상 및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ra and Its Naturalized Plants of Mt. Teomo·Hyeolgu(Incheon, Ganghwa-gun) in the Western Part of DMZ, Korea)

  • 이종원;윤호근;김동학;송진헌;김상준;길희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9
    • /
    • 2022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치한 퇴모·혈구산의 관속식물상과 강화도 및 주변 지역의 외래식물 등을 파악하여, 조사된 식물들의 체계적인 관리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9년 3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퇴모·혈구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은 총 101과 321속 517종 13아종 38변종 5품종 573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총 4,641분류군의 약 12.35%로 나타났다. 퇴모·혈구산에서 확인된 한반도 북방계식물은 청나래고사리 등 68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은 늦둥굴레 등 10분류군, IUCN 지정 희귀식물은 께묵 등 총 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69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IV등급은 뚝사초 등 3분류군, III등급은 종덩굴 등 1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연구 대상지에서 출현한 귀화식물은 개망초, 돼지풀, 망초 등 6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개망초, 돼지풀, 망초 3종은 강화도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인 석모도, 교동도 김포 등에도 전방위적으로 확산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가시상추, 가시박, 애기수영 등 생태계교란식물이 퇴모·혈구산에 처음으로 보고되어 퇴모·혈구산 내 특기할만한 식물 등 자생식물에 대해 중장기적인 보전 대책을 수립하고 정기적으로 물리적인 제거 등의 관리방안 대책을 조기에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제주도 일대 습지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분포 특성 (Spatial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Assemblages in Wetlands of Jeju Island, Korea)

  • 전영철;천승필;강미숙;박재흥;이창수;권순직
    • 생태와환경
    • /
    • 제57권1호
    • /
    • pp.1-16
    • /
    • 2024
  • 습지는 생태적 중요성과 경제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과도한 이용으로 인하여 교란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수생태계인 하천에 비하여 습지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다. 본 연구는 아열대 기후의 제주도에 분포하는 중·소형 습지 50개소를 대상으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특성과 주요 종의 분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21년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는 국립생태원의 "내륙습지 조사지침(2020)"에 따라 수행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3문 5강 19목 53과 133종이었다. 습지별 출현종수는 4~31종의 범위였으며 평균 17.5종이 출현하였다. 포식성 곤충인 잠자리목과 노린재목, 딱정벌레목의 세 분류군은 출현종수와 개체밀도가 각각 전체의 67.7%와 68.2%를 차지하였는데, 특히 딱정벌레목의 구성비가 가장 높았다. 한편, 국가습지 유형분류체계에 따른 습지 유형별 출현종수와 개체밀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기수갈고둥과 물장군, 물방개의 총 3종이 확인되었으며 큰무늬왕잠자리를 비롯하여 제주도 내에만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다수의 종이 기록되었다. 전체 대상 습지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유사성에 따라 5개의 그룹으로 세분되었으며 각 그룹은 습지면적과 세립질 입자의 구성비, 습지 장축 길이, 수생식물 구성비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지표종분석(ISA) 결과에서 총 19종의 지표종이 선정되었는데, 노란실잠자리는 지표값이 63%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자색물방개와 깔따구류의 순이었다. 습지 환경과 생물 자료를 지속적으로 축적한다면 지표종의 환경변화에 따른 반응을 보다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습지생태계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한 생물학적 지표 개발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중·소형 습지에 대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과 서식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습지 보전과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제주남부해역 사질대 유용생물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Exploitable Macrobenthic Invertebrates of Beach Sediment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 of Jeju Island)

  • 고준철;고혁준;김보연;차형기;장대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7-213
    • /
    • 2012
  • 제주도 남부연안 사질대 해역에서 2011년 7월부터 11월까지 16개 정점에 대해 해양환경특성 및 저서 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균 수온과 염분은 각각 $20.2-22.7^{\circ}C$, 33.7-34.9 psu로써 비교적 안정된 수괴를 형성하고 있었다. 식물플랑크톤의 Chlorophyll a 분포는 0.71-1.71 mg/L (평균 1.11 mg/L)의 범위로써 9월과 11월에 비해 7월에 높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중 총 37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으며, 연체동물이 29종 (78.4%) 이였으며, 이 중 이매패류가 17종 (45.9%)로 가장 우점 하였고, 극피동물 5종 (13.5%), 절지동물 3종(8.1%) 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해역의 개체밀도와 생물량은 각각 550 개체/$m^2$, 20,951.8 gwwt/$m^2$로 연체동물 중 이매패류 (481 ind./$m^2$, 16,647.6 gwwt/$m^2$) 가 개체수와 생체량에서 우점 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소쿠리조개, 흰바탕무늬조개, 흰점분홍무늬조개, 갈색점줄떡조개, 밭고랑행달조개, 해가리비, 속갈색조개, 구멍연잎성게로 주로 이매패류에서 높은 우점율을 나타냈다. 정점별 종다양도 (H'), 균등도 (E') 및 풍부도 (R) 지수의 범위는 각각 1.56-2.50, 0.49-0.80, 4.12-4.67 로 9월에 가장 낮고, 11월에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