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probenfo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5초

몇가지 수중 환경요인에 의한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diazinon의 분해속도 (Decomposition rate of iprobenfos, isoprothiolane, and diazinon by some environmental factors in aqueous systems)

  • 박병준;최주현;이병무;임건재;김찬섭;박경훈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9-44
    • /
    • 1998
  •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수도용 농약중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diazinon의 수중 분해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중 농약분해의 주요 요인인 가수분해, 미생물분해 및 광분해에 대해서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Iprobenfos는 주로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되었는데 반감기는 $4.0{\sim}5.7$일이었고, 고온일수록 가수분해가, pH가 낮을수록 분분해가 촉진되었다. Isoprothiolane은 미생물과 광에 의해서 주로 분해되었는데 광영향이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분해는 pH 9.0에서 반감기가 91일인 반면 pH 4.0, 7.2에서는 각각 13, 16일로 pH가 낮을수록 분해가 신속하였다. Diazinon은 이 세가지 요인에 의해 분해가 일어났으며 pH가 낮을수록 가수분해가 매우 빠르게 일어났다. 농업환경에서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diazinon의 수중분해는 각각 미생물분해, 광분해, 가수분해가 주요인으로 판단되었다. 시험농약을 분해하는 미생물을 동정한 결과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diazinon은 각각 Pseudomonas putida, Alcaligenes xylosoxydans, Klebsiella planticola/ornithinllytica었고 유사도는 $54.8{\sim}86.2%$였다.

  • PDF

Sectors from Phyricularia grisea Isolates on Edifenphos and Iprobenfos-Amended Media

  • Kim, Yun-Sung;Baik, Jong-Min;Kim, Eui-Nam;Kim, Ki-De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244-246
    • /
    • 2004
  • Sectors of rice blast fungus, Pyricularia grisea, frequently appeared on potato dextrose agar amended with edifenphos and iprobenfos. Thus, we assessed the sector-forming frequency of isolates of P. grisea and compared the fungicide sensitivity between wild types and sectors against the fungicides. The 905 isolates of the fungus were obtained from rice-growing locations in Korea from 1997-1998. When the isolates were grown on potato dextrose agar amended with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edifenphos (20 ${\mu}$g a.i./ml)and iprobenfos (55 ${\mu}$g a.i./ml), they produced sectors that overcame the effect of the fungicides. Among the 905 isolates tested, 9.0% produced sectors against edifenphos and 5.6%, against iprobenfos. Different sector-forming frequencies were also observed among the 11 locations of Korea. Sectors obtained from the fungicide-amended media generally grew more than their counterpart wild types grown on the media with either edifenphos or iprobenfos, regardless of their origins. In this study, greater relative growth of sectors over wild types of tested isolates can support the resistant characteristic of the fungus to survive against the fungicides.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ctoring in rice blast fungus, P. grisea, may play a role in the occurrence of fungicide resistance.

Butachlor, ethoprophos,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procymidone의 토양흡착성에 따른 용탈 잠재성 평가 (Leaching potential of butachlor, ethoprophos, iprobenfos, isoprothiolane and procymidone in soils as affected by adsorption characteristics)

  • 김찬섭;이병무;임양빈;최주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09-319
    • /
    • 2002
  • 주요 농약 5종의 토양에 대한 흡착계수를 구하여 이동성을 구분하고, 흡착계수와 토양 반감기를 이용하여 토양 중에서의 농약의 용탈 잠재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비이온성 농약인 토양살충제 ethoprophos, 원예용 살균제 procymidone, 도열병약 iprobenfos와 isoprothiolane 및 수도용 제초제 butachlor를 대상농약으로 선정하였고 토지이용 형태에 따라 논, 밭 및 산림토양으로 구분, 3종의 토양을 대상으로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토양에 대한 Freundlich 흡착계수(K)는 ethoprophos $0.35{\sim}0.95$, iprobenfos $0.98{\sim}2.2$, procymidone $1.2{\sim}4.3$, isoprothiolane $1.5{\sim}3.5$, butachlor $7.9{\sim}19$ 범위이었고, Koc에 의한 이동성 분류체계에 의하면 ethoprophos는 mobile,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procymidone은 moderately mobile, 그리고 butachlor는 slightly mobile 등급에 속하였다. 또한 유기물에 대한 흡착계수(Koc)와 토양 중에서의 반감기를 기준으로 지수화한 Groundwater Ubiquity Score (GUS) index 방법과 Koc와 분해상수 및 토양환경조건의 영향을 고려하는 흡착/분해 표준지수 방법을 이용하여 용탈잠재성을 평가하였다. 두 평가방법에 의하여 isoprothiolane과 iprobenfos은 중간 정도의 용탈 가능성이 있고 ethoprophos가 약간의 용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utachlor와 procymidone은 용탈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대적으로 유기물 함량이 높은 양토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낮은 식양초에 비하여 농약의 용탈잠재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노약의 흡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토양 유기물이 용탈 잠재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농약의 품질관리를 위한 다성분 동시분석법 연구 (Studies on multi-pesticide analysis for quality control of pesticide formulations)

  • 김효경;박승순;오병렬;임건재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11-315
    • /
    • 2005
  • 농약 제품의 제조기업에서는 여러 가지 제품을 연속적으로 생산하고 있으므로 품질관리를 위한 동시 또는 연속적인 제품분석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생산현장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제품의 품질관리를 위하여 일정한 분석기기 조건에서 각각의 성분을 혼합하여 한번주입으로 여러 성분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다성분 동시분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농약은 iprobenfos 17%GR, isoprothiolane 12%GR, tebufenozide 20%SC를 선정하여 GLC와 HPLC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GLC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iprobenfos와 isoprothiolane 등 2성분이 동시분석 가능하였으나, tebufenozide는 검출이 되지 않아 분석이 불가능하였다. HPLC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iprobenfos, isoprothiolane, tebufenozide 등 3성분 모두 동시분석이 가능하였다.

Butachlor, ethoprophos,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procymidone의 토양 중 용탈과 이동성 예측 (Leaching and mobility prediction of butachlor, ethoprophos, iprobenfos, isoprothiolane and procymidone in soils)

  • 김찬섭;박경훈;김진배;최주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00-308
    • /
    • 2002
  • 토주용탈실험으로 농약별 이동 양상을 파악하고, 흡착계수와 토양관련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대류 이동성 모형(Convective mobility test model)으로 예측한 용탈 속도와 비교 평가하였다. 토양살충제 ethoprophos, 원예용 살균제 procymidone, 도열병약 iprobenfos와 isoprothiolane 및 수도용 제초제 butachlor를 대상농약으로 선정하고 토지이용 형태를 기준으로 논, 밭 및 산림토양으로 구분한 3종의 토양에 대하여 토주용탈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농약을 $50{\mu}g/cm^2$ 수준으로 토주 상단에 처리하였을 때 토심 30 cm 이동 후 용탈되는 농약별 peak 농도는 ethoprophos $0.74{\sim}3.61mg/mL$, iprobenfos $0.35{\sim}1.67mg/L$, procymidone $0.16{\sim}0.84mg/L$, isoprothiolane $0.16{\sim}0.67mg/L$, butachlor 0.15 mg/L이하 수준이었고, peak 농도 출현까지 소요된 용탈수량은 ethoprophos $2{\sim}4$ pore volume (PV), iprobenfos $3{\sim}10PV$, procymidone $5{\sim}13PV$, isoprothiolane $4{\sim}14PV$, butachlor $19{\sim}61PV$ 수준이었다. 대류 이동성 모형에 의한 예측 결과, 이동소요시간은 표준조건에서 ethoprophos $9{\sim}18$일, iprobenfos $17{\sim}35$일, isoprothiolane $24{\sim}54$일, procymidone $21{\sim}65$일 및 butachlor $105{\sim}279$일로 나타나 대류 이동성 모형 분류에 따르면 ethoprophos는 mobile${\sim}$most mobile,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procymidone은 moderately mobile${\sim}$mobile 그리고 butachlor는 slightly mobile 등급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주용탈실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대류 이동성 모형에 의하여 이동소요시간을 예측한 결과는 대부분의 토양-농약 조합에서 잘 일치하여 이동소요시간의 예측에 대류 이동성 모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Gene Expression Profile in Iprobenfos Exposed Medaka Fish by Microarray Analysis

  • Woo, Seon-Ock;Son, Sung-Hee;Ryu, Jae-Chun;Yum, Seung-Shic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4권2호
    • /
    • pp.132-137
    • /
    • 2008
  •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profiling was carried out in the hepatic tissue of medaka fish, Oryzias latipes, after exposure to an organophosphorus pesticide (OPP), Iprobenfos (IBP), a widely used pesticide in agri- and fish-culture, using a medaka cDNA micro array. Twenty six kinds of differentially expressed candidate genes, with 15 and 11 induced and repressed in their gene expressions, respectively, were associated with cytoskeleton (3.8%), development (7.7%), immune (7.7%), metabolism (30.8%), nucleic acid/protein binding (42.3%) and reproduction (7.7%). Of these genes, changes at the transcription level of five were re-evaluated by real-time quantitative PCR (qRT-PCR). Considering the known function of authentic genes, the effects of IBP on the biological activity and pathological aspects in medaka fish were discussed. The identified genes could be used as molecular biomarkers for biological responses to OPPs contamination in an aquatic environment.

벼 담수직파재배시 Iprobenfos-metconazole(IPM) 처리에 따른 생육과 도복경감효과 (Growth, Lodging Reduction as Affected by Iprobenfos-metconazole(IPM) in Direct-seeded Rice on Flooded Paddy Field)

  • 이계환;최봉수;박종현;우선희;이철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93-398
    • /
    • 2013
  • 본 연구는 벼 담수직파재배에서 식물생장억제제인 IPM(Iprobenfos-metconazole)을 벼의 출수기 전에 처리함으로 써 벼의 생육과 도복경감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 출수기에 간장은 식물생장억제제를 처리한 구에서 무처리구보다 간장이 단축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출수전 30일에 처리하였을 때 가장 단축효과가 컸고, 하위 4절간의 단축율이 가장 높았다. 2. 출수후 20일에 지엽의 엽색도를 조사한 결과 IPM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높았고, 엽중 질소 농도는 IPM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낮았으나 규산 함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높았고, 규산/질소 비율이 증가하였다. 3. 하위 절간(3~4)의 좌절중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IPM 처리구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도복지수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포장도복도 크게 경감되었다. 4.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를 조사한 결과 IPM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도복이 되지 않아서 등숙률과 천립중이 높아짐으로서 수량 증수 효과가 있었다.

간질(肝蛭)의 중간숙주(中間宿主)인 애기물달팽이에 대한 몇가지 농약(農藥)의 독성시험(毒性試驗) (Toxicity of agricultural chemicals on Lymnaea viridis the intermediate host of Fasciola hepatica)

  • 김상기;이정길;이채용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55-460
    • /
    • 1993
  •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4 agricultural chemicals commonly used in this conuntry were experimentally assessed on Lymnaea viridis the intermediate host of Fasciola hepatica, which in non-target organism of these chemicals. The major habitat of the snail is rice paddies in Korea and many agricultural chemicals are used for weed, fungi or insect control in rice paddies and there is a general concern that certain levels of these chemicals could reach the aquatic ecosystem and possible alter the snail life. Agricultural chemical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two herbicides, an insecticide and a fungicide. The tenth generation of laboratory reared snails were selected and exposed to the varying concentrations(0-100 ppm) of these chemicals. As concentrations and time of exposure increase, the per cent mortality increases(p<0.01). $LC_{50}$(lethal concentration for 50% mortality) values of these chemicals on snail after 96-hour exposure were variable; iprobenfos showed the highest acute toxicity(12.6 ppm), while carbofuran showed the lowest acute toxicity(74.5ppm). Sublethal concentrations of chemicals after 96-hour exposure were also variable ; bentazone showed the highest chronic toxicity(0.81ppm), while carbofuran showed the lowest chronic toxicity(5.04 ppm).

  • PDF

농약의 노출 평가를 위한 수계예측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Water Model for the Evaluation of Pesticide Exposure)

  • 손경애;김찬섭;길근환;김택겸;권혜영;김진배;임건재;임양빈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36-246
    • /
    • 2014
  • 농약은 작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농약의 물리화학적 특성, 독성 자료 및 환경행적 자료를 통해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여 안전하게 관리가 가능하다면 등록이 결정된다. 환경중 행적을 예측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기상자료, 작물 재배력 및 토양통을 이용하여 butachlor, iprobenfos, carbofuran, tebuconazole을 대상으로 수계 중 잔류농도를 추정하였다. 예측모형으로 과수용 농약은 PA5를, 벼재배용 농약은 RICEWQ와 SCI-GROW를 이용하였다. 수계모니터링에서 butachlor와 iprobenfos의 최대값은 예측모형의 peak 농도보다 낮았고 최소값은 예측모형의 연평균농도보다 낮아 RICEWQ를 벼 재배환경 중 잔류농약의 농도 추정에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토양흡착계수가 낮은 carbofuran은 RICEWQ와 SCI-GROW에 적용시 지표수계보다 지하수로의 이동량이 훨씬 많은 것으로 산출되어 RICEWQ는 지하수로의 수계노출농도를 예측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였다. 수계 모니터링에서 과수용 농약인 tebuconazole이 검출되지 않아 예측모형으로 산출한 값과 비교하기 어려웠으나 수계를 통한 잔류농약의 추정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