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on transfer reaction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4초

Reactions of Thioxanthylium Ion with Organomercurials

  • Shin, Dong-Myung;Kim, Kyong-Ta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권3호
    • /
    • pp.114-121
    • /
    • 1981
  • Reactions of thioxanthylium ion with dimethyl-, dibenzyl-, diisopropyl-, and diphenylmercury in the air gave 9,9'-methylenedithioxanthene, 9-benzylthioxanthene, 9-acetonylthioxanthene, and 9-phenylthioxanthene, respectively, as a 9-substituted thioxanthene. In contrast with reactions with aromatics with an electron-donating group, large amount of thioxanthene and thioxanthone were obtained. However, only trace amounts of thioxanthene and thioxanthone were obtained from the reaction with dibenzylmercury under nitrogen atmosphere. In order to explain these reactions, one electron transfer between thioxanthylium ion and organomercurials was proposed.

The Catalytic Effect of Alkali Metal Ions on Reactions of 8-(5-Nitroquinolyl) 2-Furoate with Alkali Metal Ethoxides in Anhydrous Ethanol

  • 음익환;이성은;민지숙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2권7호
    • /
    • pp.669-672
    • /
    • 2001
  • Pseudo-first-order rate constants have been measured spectrophotometrically for the title reactions. The plot of kobs vs the concentration of alkali metal ethoxides is linear for the reactions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complexing age nt, 18-crown-6 ether, but curved upwardly for the corresponding reactions performed in the absence of the complexing agent, indicating that the alkali metal ions studied in this study behave as a catalyst. The catalytic effect was found to increase in the order Li+ << K+ ${\leq}$ Na+. Second-order rate constants were determined for the reactions with dissociated free ethoxide (kEtO-) and with ion paired alkali metal ethoxides (kEtO-M+ ) from ion pairing treatments. The magnitude of catalytic effect (kEtO-M+/kEtO-) was found to be 2.3, 9.5 and 8.7 for the reaction of 8-(5-nitroquinolyl) 2-furoate, while 1.4, 3.6 and 4.2 for that of 4-nitrophenyl 2-furoate, indicating that the catalytic effect is larger in the reaction of the former substrate than in that of the latter one. The larger catalytic effect was attributed to two possible complexing sites with alkali metal ions in the former substrate.

Interaction Metal Ions with NADH Model Compounds. Cupric Ion Oxidation of Dihydronicotinamides

  • Park, Joon-Woo;Yun, Sung-Hoe;Koh Park, Kwang-He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9권5호
    • /
    • pp.298-303
    • /
    • 1988
  • Kinetic studies on cupric ion ($Cu^{2+}$) oxidation of 1-benzyl- and 1-aryl-1,4-dihydronicotinamides (XNAH) in aqueous solution were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dioxygen ($O_2$), the reaction followed first order kinetics with respect to both XNAH and $Cu^{2+}$. The oxidation reaction was found to be independent and parallel to the acid-catalyzed hydration reaction of XNAH. The catalytic role of $Cu^{2+}$ for the oxidation of XNAH in the presence of $O_2$ was attributed to $Cu^{2+}/Cu^+$ redox cycle by the reactions with XNAH and $O_2$. The second order rate constants of the Cu2+ oxidation reaction kCu, and acid-catalyzed hydration reaction $k_H$ were strongly dependent on the nature of the substituents in 1-aryl moiety. The slopes of log $k_{Cu}$ vs log $K_H$ and log $k_{Cu}$ vs ${\sigma}_p$ of the substituents plots were 1.64 and -2.2, respectively. This revealed the greater sensitivity of the oxidation reaction rate to the electron density on the ring nitrogen than the hydration reaction rate. A concerted two-electron transfer route involving XNAH-$Cu^{2+}$ complex was proposed for mechanism of the oxidation reaction.

마이크로-액체/액체 계면에서의 이온 이동 반응을 이용한 전기화학 센서 개발 (Creating Electrochemical Sensors Utilizing Ion Transfer Reactions Across Micro-liquid/liquid Interfaces)

  • 김혜림;백승희;이혜진
    • 공업화학
    • /
    • 제24권5호
    • /
    • pp.443-455
    • /
    • 2013
  • 혼합되지 않는 두 용액 사이의 계면(interface between two immiscible electrolyte solutions, ITIES)에서의 전하 이동 반응에 대한 전기화학적 연구는 이온 검출용 센서, 바이오센서, 생체막 모델링, 약물 전달 반응, 상전이 촉매반응, 연료 생성, 태양에너지 전환 등을 포함한 다양한 연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크게 주목받고 있다. 특히 ITIES에서의 이온 전이 반응을 이용하여 이온물질 및 생물질 등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로 개발하기 위해 불안정한 ITIES의 한 쪽 액체층을 젤(gel)화하여 안정화하고, 마이크로 계면 형성을 통해 전압강하를 최소화 시키는 등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본 총설에서는 ITIES 계면에서의 이온 전이 반응을 이용하여 개발된 다양한 센서의 원리와 응용 및 발전 가능성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ITIES 계면을 (i) 보편적인 액체/액체 계면형, (ii) 마이크로피펫 팁형, (iii) 고분자 박막에 형성된 단일 마이크로홀 또는 마이크로홀 어래이형 및 (iv) 실리콘 기판에 제작된 마이크로홀 어래이형으로 분류하고, 이들 계면에서의 직접적인 이온 전이 반응과 보조 이온 전이 반응을 활용하여 수질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는 이온 및 농약 성분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이온 선택성 센서와 생물질을 분석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 개발 연구에 대해 초점을 두고 소개하려 한다.

초과산화이온 $(O_2^-)$ 에 의한 산소가교팔라듐착화합물의 합성 (Preparation of Dioxygen Bridged Palladium Complexes by Superoxide Ion $(O_2^-)$)

  • 정평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5-142
    • /
    • 1984
  • 초과산화이온$(O_2^-)$의 발생원으로서 $KNO_2$를 사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산착화합물가교팔라듐착화합물을 합성했다. 이 방법은 구핵치환과 전자 이동에 의한 반응으로서, 저원자가전이금속착화합물에 산소분자를 산화적으로 부가시켜 합성한 종전의 방법과는 완전히 다르다. $O_2^-$에 의하여 {\pi}$-알릴리간드를 갖는 새로운 형태의 5가지 산소가교팔라듐착화합물을 합성했다

  • PDF

Cr(VI)-6-Methylquinoline을 이용한 치환 벤질 알코올류의 산화반응과 속도론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Kinetics and Oxidation Reaction of Substituted Benzyl Alcohols Using Cr(VI)-6-Methylquinoline)

  • 박영조;김영식
    • 공업화학
    • /
    • 제26권3호
    • /
    • pp.372-376
    • /
    • 2015
  • 6M HCl 용매 하에서 6-메틸퀴놀린과 chromium(VI) trioxide의 반응을 통하여 6-MQCC(크롬(VI)-6-메틸퀴놀린) 착물을 합성하였다. 적외선분광광도법(IR), 유도결합 플라즈마(ICP) 등으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여러 가지 용매 하에서 6-MQCC을 이용하여 벤질 알코올의 산화반응을 측정한 결과, 용매의 유전상수 값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수율이 증가했다. 그 순서는 DMF > 아세톤 > 클로로포름 > 시클로헥센이었다. 산($H_2SO_4$) 촉매를 이용한 DMF 용매 하에서, 6-MQCC은 벤질 알코올(H)과 그의 유도체들($p-OCH_3$, $m-CH_3$, $m-OCH_3$, m-Cl, $m-NO_2$)을 효과적으로 산화시켰다. 전자받개 그룹들은 반응속도가 감소한 반면에 전자주개 치환체들은 반응속도를 증가시켰고, Hammett 반응상수(${\rho}$) 값은 -0.69 (308 K)이었다. 본 실험에서 알코올의 산화반응 과정은 속도결정단계에서 수소화 전이가 일어났다.

크롬(VI)-피라진 착물을 이용한 알코올류의 산화반응과 메카니즘 (Mechanism for the Oxidation Reaction of Alcohols Using Cr(VI)-Pyrazine Complex)

  • 박영조;김영식
    • 공업화학
    • /
    • 제27권1호
    • /
    • pp.110-114
    • /
    • 2016
  • 6M HCl 용매 하에서 피라진과 chromium (VI) trioxide의 반응을 통하여 PZCC (크롬 (VI)-피라진 착물)을 합성하였다. 적외선분광광도법(IR), 유도결합 플라즈마(ICP) 등으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여러 가지 용매 하에서 PZCC을 이용하여 벤질알코올의 산화반응을 측정한 결과, 용매의 유전상수 값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수율이 증가했다. 그 순서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 아세톤 > 클로로포름 > 시클로헥센이었다. 산($H_2SO_4$) 촉매를 이용한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 하에서, PZCC은 벤질알코올(H)과 그의 유도체들($p-OCH_3$, $m-CH_3$, $m-OCH_3$, m-Cl, $m-NO_2$)을 효과적으로 산화시켰다. 전자받개 그룹들은 반응속도가 감소한 반면에 전자주개 치환체들은 반응속도를 증가시켰고, Hammett 반응상수(${\rho}$)값은 -0.70 (308 K)이었다. 본 실험에서 알코올의 산화반응 과정은 속도결정단계에서 수소화 전이가 일어났다.

Cr(VI)-헤테로고리 착물[Cr(VI)-2-methylpyrazine]를 이용한 치환 벤질 알코올류의 산화반응과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Mechanism and Oxidation Reaction of Substituted Benzyl Alcohols using Cr(VI)-Heterocyclic Complex[Cr(VI)-2-methylpyrazine])

  • 김영식;박영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6039-6046
    • /
    • 2013
  • Cr(VI)-헤테로고리 착물[Cr(VI)-2-methylpyrazine]를 합성하여, 적외선 분광광도법(IR), 유도결합 플라즈마(ICP)등으로 구조를 확인하였고, 여러 가지 용매 하에서 Cr(VI)-2-methylpyrazine를 이용하여 벤질 알코올의 산화반응을 측정한 결과, 유전상수(${\varepsilon}$) 값이 큰 용매 순서인 시클로헥센 < 클로로포름 < 아세톤 <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 하에서 높은 산화반응성을 보였다. 산 촉매(HCl)를 이용한 DMF 용매 하에서 Cr(VI)-2-methylpyrazine은 벤질 알코올(H)과 그의 유도체들(p-$CH_3$, m-Br, m-$NO_2$)을 효과적으로 산화시켰다. 전자받개 그룹들은 반응 속도가 감소한 반면에 전자주개 치환체들은 반응속도를 증가시켰고, Hammett 반응상수(${\rho}$) 값은 Cr(VI)-2-methylpyrazine= -0.65(308K) 이였다. 본 실험에서 알코올의 산화반응 과정은 먼저 크로메이트 에스테르 형성과정을 거친 후, 속도결정단계에서 수소화 전이가 일어나는 메카니즘임을 알 수 있었다.

크롬(VI)-헤테로고리 착물(2,2'-Bipyridinium Dichromate)에 의한 치환 벤질 알코올류의 산화반응에 대한 속도론적 연구 (Kinetic Study on the Oxidation Reaction of Substituted Benzyl Alcohols by Cr(VI)-Heterocyclic Complex (2,2'-Bipyridinium Dichromate))

  • 김영식;박영조
    • 공업화학
    • /
    • 제23권2호
    • /
    • pp.241-246
    • /
    • 2012
  • 크롬(VI)-헤테로고리 착물(2,2'-bipyridinium dichromate)를 합성하여, 적외선분광광도법(IR), 유도결합 플라즈마(ICP) 등으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여러 가지 용매 하에서 2,2'-bipyridinium dichromate를 이용하여 벤질 알코올의 산화반응을 측정한 결과 유전상수(${\epsilon}$) 값이 큰 용매 순서인 시클로헥센 < 클로로포름 < 아세톤 <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 하에서 높은 산화반응성을 보였다. 산 촉매($H_2SO_4$)를 이용한 DMF 용매 하에서 2,2'-bipyridinium dichromate는 벤질 알코올과 그의 유도체들($p-OCH_3$, $m-CH_3$, H, $m-OCH_3$, m-Cl, $m-NO_2$)을 효과적으로 산화시켰다. 그리고 전자받개 그룹들은 반응 속도가 감소한 반면에 전자주개 치환체들은 반응속도를 증가시켰다. 또한 Hammett 반응상수$({\rho})$ 값은 -0.66 (303 K)이였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 알코올의 산화반응 과정은 속도결정단계에서 수소화 전이가 일어나는 메카니즘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