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stinal harmful bacteria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3초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fermentum PL9988 Isolated from Healthy Elderly Korean in a Longevity Village

  • Park, Jong-Su;Shin, Eunju;Hong, Hyunjin;Shin, Hyun-Jung;Cho, Young-Hoon;Ahn, Ki-Hyun;Paek, Kyungsoo;Lee, Yeon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9호
    • /
    • pp.1510-1518
    • /
    • 2015
  • In this work, we wanted to develop a probiotic from famous longevity villages in Korea. We visited eight longevity villages in Korea to collect fecal samples from healthy adults who were aged above 80 years and had regular bowel movements, and isolated lactic-acid-producing bacteria from the samples. Isolated colonies that appeared on MRS agar containing bromophenol blue were identified by means of 16S rRNA sequencing, and 102 of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lactic-acid-producing bacteria (18 species). Lactobacillus fermentum was the most frequently found species. Eight isolate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ir ability to inhibit the growth of six intestinal pathogens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Enteritidis, Enterococcus faecalis,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and their susceptibility to 15 antimicrobial agents. Among these eight isolates, four Lactobacillus fermentum isolates were found not to produce any harmful enzymes or metabolites. Among them, Lactobacillus fermentum isolate no. 24 showed the strongest binding to intestinal epithelial cells, the highest immune-enhancing activity, anti-inflammation activity, and anti-oxidation activity as well as the highest survival rates in the presence of artificial gastric juice and bile solution. This isolate, designated Lactobacillus fermentum PL9988, has all the characteristics for a good probiotic.

식이 뽕잎이 흰쥐의 장내균총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Mulberry leaf on the Composition of Intestinal Microflora in SD Rats)

  • 이희삼;전호정;이상덕;문재유;김애정;류강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2-255
    • /
    • 2001
  • 뽕잎 분말이 1, 10%가 되도록 사료에 첨가시켜 4주동안 SD 흰쥐에게 급여한 후 이들의 대장 내용물로부터 총균수와 주요장내미생물의 생균수를 배지를 이용하여 혐기배양한 후 측정한 결과 총균수는 뽕잎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유해균으로 분류할 수 있는 Clostridium은 대조군보다 뽕잎투여군에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고, E. coli와 Staphylococcus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뽕잎 메탄올 추출물과 분획물들의 미생물의 생장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헥산분획과 물분획물이 Clostridium perfringens에 대하여 억제효과를 보였다. 장내균총의 개선 측면에서 뽕잎은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valuation of Potato Varieties (Solanum tuberosum L.) on Fecal Microflora of Human Volunteers

  • Kim, Young-Mi;Lim, Mi-Youn;Lee, Hoi-Se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3호
    • /
    • pp.420-423
    • /
    • 2005
  • Effects of Dasom Valley and Bora Valley on fecal microflora, fecal moisture, and fecal pH of twelve healthy human volunteers were investigated. Numbers of Bifidobacterium, Clostridium perfringens, Escherichia coli, and Lactobacillus of control group were $9.24{\pm}0.63$, $4.44{\pm}1.21$, $7.75{\pm}0.38$, and $6.98{\pm}0.81$ (Log CFU/g wet feces), respectively. During administration of Dasom Valley, numbers of Bifidobacterium and Lactobacillus were $10.70{\pm}0.44$ and $8.84{\pm}0.77$, whereas those of C. perfringens and E. coli were $2.96{\pm}1.50$ and $6.69{\pm}0.29$, respectively. Administration of Dasom Valley significantly increased growth responses of beneficial bacteria, Bifidobacterium and Lactobacillus, whereas those of harmful bacteria, C. perfringens and E. coli, significantly decreased. Moisture content of feces increased and fecal pH decreased with intake of Dasom Valley. Intake of Bora Valley slightly increased numbers of Bifidbacterium and Lactobacillus and slightly decreased those of C. perfringens and E. coli. Results indicate Dasom Valley has greater intestinal-modulating effect than Bora Valley and Atlantic. Daily intake of Dasom Valley may normalize disturbed physiological functions, resulting in improvement of growth and composition of microbial community within intestinal tract.

A Case Study on the Brand Development of Odor-reducing Feed Additives

  • Gok Mi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3권1호
    • /
    • pp.194-200
    • /
    • 2024
  • In the past, antibiotics and antimicrobial substances have been used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growth of livestock or treating livestock, but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presence of livestock products or resistant bacteria have emerged. Recently, regulations on the use of antibiotics have been strengthened worldwide, and probiotic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Probiotic microorganisms have already been used for human use, such as intestinal abnormal fermentation, diarrhea, and indigestion. In livestock, beneficial microorganisms are increasing in us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productivity, such as promoting livestock development and preventing diarrhea. Therefore, it is advisable to understand livestock probiotics in deeper and think about effective uses. The role of probiotics in the livestock sector is made with microorganisms themselves, so it is a substance that promotes livestock growth and improves feed efficiency by settling in the intestines of livestock, suppressing the growth of other harmful microorganisms, helping digestion and absorption of ingested feed, and helping to synthesize other nutrients. There is a need for a probiotic that suppresses intestinal bacteria by supplying probiotics used as a means to minimize the effects of stress in livestock management, thereby suppressing disease outbreaks by maintaining beneficial microorganisms and suppressing pathogenic microorganism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brand of feed additive probiotics to improve health conditions due to increased feed intake, improve the efficiency of use of feed nutrients, inhibit the decomposition and production of toxic substances, increase immunity, reduce odor in livestock, and improve the environment.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feed additive probiotics already on the market, and developed the naming and logo of suitable feed additive probiotic brands in livestock. We hoped that the newly developed product will be used in the field and help solve problems in the livestock field.

가축에 대한 보조사료 규산염제로서 포졸란의 in vitro 항균 효과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ozzolan as a dietary silicate minerals supplementation to animals)

  • 김창현;엄경환;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778-78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포졸란의 항생제 내성균과 장내 유해 미생물 억제에 관한 체외배양 항균 활성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대조군 (CON, 포졸란 무첨가 대조군)과 DP0.3 (증류수와 포졸란 분말 0.3%를 혼합하여 제조한 배지군), DP0.5 (증류수와 포졸란 분말 0.5%를 혼합하여 제조한 배지군), PE (포졸란 분말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배지군)으로 구분하였다. Lacctobacillus casei 균수는 CON과 비교할 때 DP0.3 처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P<0.05) 기타 처리구 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Clostridium butyricum, E. coli, Salmonella typhimurium 균수는 CON과 비교할 때 포졸란 처리구가 유의하게 낮았다 (P<0.05). Clostridium butyricum, Salmonella typhimurium 균수는 DP0.3, DP0.5와 PE 사이, E. coli 균수는 DP0.5와 PE 사이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MRSA와 VRE의 균수는 CON과 비교할 때 포졸란 처리구가 유의하게 낮았다 (P<0.05). MRSA 균수는 DP0.5와 DP0.3, PE 사이의 차이가 있었고, VRE 균수는 PE> DP0.3> DP0.5> CON 처리구 순서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포졸란의 항생제 내성균 및 장내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이 확인됨에 따라 가축용 천연항균제, 보조사료 규산염제로써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장내 세균의 생육과 요구르트의 발효특성에 대한 D-Tagatose의 영향 (Effects of D-Tagatose on the Growth of Intestinal Microflora and the Fermentation of Yogurt)

  • 강경명;박창수;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48-354
    • /
    • 2013
  • Tagatose가 장내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 실험을 하였다. 탄소원 이용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탄소원 이용능 검색 배지인 m-PYF medium에 탄소원으로 tagatose와 glucose를 각각 0.5%(w/v) 첨가한 후 여러 장내 세균을 각각 배양하였다. 장내 유해균인 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Typhimurium, Pseudomonas fluorescens는 성장이 저해되었지만, 장내 유익균인 Lactobacillus casei는 tagatose가 첨가된 배지에서 glucose가 첨가된 배지에서의 성장과 유사한 성장 곡선을 나타내었다. 이후 tagatose의 이용성 증진 및 다양한 기능적 가치를 부여한 유산균 발효유를 개발하기 위하여 tagatose를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Lactobacillus casei를 접종하여 tagatose를 첨가한 요구르트의 유산균 생육과 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 및 요구르트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Tagatose 첨가 요구르트의 pH는 발효기간 동안 감소하였으며, 적정산도는 pH의 변화 양상과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균수는 12시간까지 급격한 증가를 보이다가 그 이후 완만히 증가하여 발효 24시간에는 8.44~8.49 log CFU/mL 범위를 나타내었다. 점도는 대조군보다 tagatose 첨가군이 1,266 cps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관능검사 결과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glucose 첨가군과 유의적인 차이 없이 높게 평가되었다. 요구르트를 $4^{\circ}C$에서 15일간 저장하면서 요구르트의 품질변화를 측정한 결과 pH, 적정산도, 유산균수에는 거의 변화가 없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형 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혼합제제의 변비 개선 효과 (Efficacy of Mixture of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Bifidobacteria Supplement in the Management of Constipation; Demonstration of Functionality in Animal and Clinical Trials)

  • 김정래;이도경;백은혜;안향미;양환진;김미진;최경순;윤미은;정이정;오복자;정명준;하남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2-62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동물실험과 임상실험을 통해 변비 치료에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Pediococcus pentosaceus, 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를 포함한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LAB) 및 비피더스균 혼합제제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5마리의 ICR 마우스와 4명의 여성 변비 환자들은 2주 동안 유산균 및 비피더스균 혼합제제를 복용하였다. 복용 전과 후에 분변에서 유산균수와 유해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분변 중 유산균수가 증가하였고, 장내 미생물에 의한 유해 효소 활성은 일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61명의 피실험자들은 유산균 및 비피더스균 혼합제제와 lactose 중의 하나를 2주 동안 하루에 3번 복용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변비환자군에서 매일 유산균 및 비피더스균 혼합제제를 복용한 군(56.3%)은 lactose를 복용한 군(26.7%)보다 변비증상이 개선되었고, 단단한 변의 배변 횟수가 0.22에서 0.03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L. acidophilus와 P. pentosaceus, B. longum SPM1205를 포함한 유산균 및 비피더스균 혼합제제는 변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The Combination of Bacillus natto JLCC513 and Ginseng Soluble Dietary Fiber Attenuates Ulcerative Colitis by Modulating the LPS/TLR4/NF-κB Pathway and Gut Microbiota

  • Mingyue Ma;Yueqiao Li;Yuguang He;Da Li;Honghong Niu;Mubai Sun;Xinyu Miao;Ying Su;Hua Zhang;Mei Hua;Jinghui W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1287-1298
    • /
    • 2024
  • Ulcerative colitis (UC) is an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that is currently difficult to treat effectively. Both Bacillus natto (BN) and ginseng-soluble dietary fiber (GSDF) are anti-inflammatory and helps sustain the intestinal barrier. In this study, the protective effects and mechanism of the combination of B. natto JLCC513 and ginseng-soluble dietary fiber (BG) in DSS-induced UC mice were investigated. Intervention with BG worked better than taking BN or GSDF separately, as evidenced by improved disease activity index, colon length, and colon injury and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s of oxidative and inflammatory factors (LPS, ILs, and TNF-α) in UC mice. Further mechanistic study revealed that BG protected the intestinal barrier integrity by maintaining the tight junction proteins (Occludin and Claudin1) and inhibited the LPS/TLR4/NF-κB pathway in UC mice. In addition, BG increased the abundance of beneficial bacteria such as Bacteroides and Turicibacter and reduced the abundance of harmful bacteria such as Allobaculum in the gut microbiota of UC mice. BG also significantly upregulated genes related to linoleic acid metabolism in the gut microbiota. These BG-induced changes in the gut microbiota of mice with UC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pathological indices.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BG exerts protective effect against UC by regulating the LPS/TLR4/NF-κB pathway and the structure and metabolic function of gut microbiota. Thus, BG can be potentially used in intestinal health foods to treat UC.

리시안셔스 유래 에센셜 오일의 항세균 및 항진균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Lisianthus (Eustoma grandiflorum) Essential Oil)

  • 지근호;김동광;김영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30-434
    • /
    • 2017
  • 에센셜 오일은 자연에서 성장하거나 유기농법으로 재배된 방향성 식물의 잎, 줄기, 껍질, 꽃잎, 뿌리 등에서 추출한 방향유를 말하며, 천연 물질로써 항균, 항진균 등의 효과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리시안셔스(Eustoma grandiflorum (Raf.) Shinn.)를 이용하여 에센셜 오일을 추출하여 생활 속에 흔하게 존재하는 3종의 진균 Penicillium pinophilum, Chaetomium globosum, Aspergillus niger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리시안셔스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A. niger에 대해 높은 항진균 활성을 보였으며, 최소 억제 농도(MIC)의 결과는 A. niger에서 0.005 mg/ml로 나타났다. 추출된 에센셜 오일은 대표적인 10종의 병원균(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Klebsiella pneumonia,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Pseudomonas aeruginosa, Bacillus subtilis, Enterococcus faecalis, Vibrio paragaemolyticus)에 대한 항세균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리시안셔스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병원균 B. subtilis, L. monocytogenes, V. paragaemolyticus에서 강력한 항균 작용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리시안셔스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이 장내 병원균에 대한 항생제로 사용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리시안셔스 추출물이 의약품 및 화장품을 개발하는데 있어 잠재적인 항진균제 및 항세균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eta}-Glucuronidase$ 생산 인체장내 Clostridium sp.의 분리 .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eta}-Glucuronidase$ producing Clostridium sp. from Fecal Microflora)

  • 박종현;신지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57-1362
    • /
    • 1999
  • 한국인의 장내세균중의 유해효소생성 균주를 분리하여 장내환경 개선연구에 활용하고자 ${\beta}-glucuronidase$$7{\alpha}-dehydroxylase$의 유해효소를 분비하는 장내세균으로 알려진 Clostridium속 균주를 분리하였다. 동일인의 장내세균을 2회에 걸쳐서 검색한 후 최다 우점종이외의 장내세균은 동일인이라도 식이등 외부환경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음을 알았다. 이어서 Neomycin-Nagler 선택배지를 사용하여 Clostridium spp.를 14종 분리하여 이들 균주가 유해효소를 생산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일차 선발균주중 Clostridium sp. Isolate-11은 ${\beta}-glucuronidase$를 강력히 생성하여 0.021 unit/mg protein의 활성을 보여주었으나 이들 분리 균주중에서 $7{\alpha}-dehydroxylase$의 역가를 TLC상에서 검출할 수 있는 균주는 발견하지 못했다. Isolate-11를 배양생리학적으로 동정한 결과 이 균은 Clostridium scatologenes인 것으로 잠정동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