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retation type of motif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1초

텍스타일 디자인 요소에 따른 감성 분석 (Sensibilities according to The Design Factors of Woven Textiles)

  • 나영주;한경미
    • 감성과학
    • /
    • 제5권3호
    • /
    • pp.29-34
    • /
    • 2002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sign factors of woven textiles on the consumer's sensibility and emotion. 60 textile design pictures and 18 adjectives were prepared to get responses from 512 adult subjects. Textiles designs were analyzed into 9 design factors, such as, motif source, motif-background ratio, motif interpretation, motif arrangement, motif variation, motif articulation, hue contrast, value contrast, and chroma contrast. The results are followings: 1) The design factors of textiles were connected to other design factors, for example, the type of motif interpretation determined the type of chroma contrast, motif source, the ratio, and chroma contrast significantly. 2) The correlational coefficients of the ratio, motif variation, chroma contrast, hue contrast, articulation, and value contrast were positively signed significantly. 3) Consumer's sensibility was changed in urban, natural, graceful, mannish, young, dynamic, new, modem and etc, as the textile designs were changed in motif source, arrangement, hue contrast and etc.

  • PDF

한국전통문양의 종류, 표현유형, 구성형식 및 적용대상에 따른 감성이미지 (Image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ccording to Category, Interpretation Type, Composition Type, and Application Object)

  • 장수경;김재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4-225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mage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The subjects consisted of 369 male and 356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The experimental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48 stimuli and questionnaires, composed of 7-point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of 23 bipolar adjectives. Twelve motifs selected from 3 groups of Korean patterns were used as motif stimuli. Twelve repeated patterns were constructed from them to be applied on a CAD-simulated dress. The data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Four dimensions were emerged accounting for the dimensional structure of the image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These dimensions were 'simplicity', 'quality', 'interest', and 'modernity' dimension. Among them, 'simplicity' and 'quality' were the major dimensions. 2. Category, interpretation type, composition type, and application object of motif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mages of above-mentioned dimensions. The application objec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implicity' and 'modernity' image, and the composition type on 'quality' and 'interest' image.

  • PDF

The Preference on Korean Traditional Motifs and It′s Relationship with Motif Images

  • Chang, Soo-Kyung;Kim, Jae-Sook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2권2호
    • /
    • pp.60-70
    • /
    • 199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preference and images of Korean traditional motif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subjects consisted of 369 male and 356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The experimental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48 stimuli and a questionnaire composed of 7-point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of 26 adjectives. Twelve motifs selected from 3 groups of Korean motifs were used as pattern design stimuli. Twelve repeated patterns were constructed from them to be applied on a CAD-simulated dress.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Category, composition type, and application objec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ference. Interpretation type has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eference independently, but it had interaction effects when combined with composition type, and category. Especially the composition type had a greater effect than the other variables on the preference. Cloud motif and its abstract and decorative type were found to be more related to the preference than the other category and interpretation type.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image charts and preference charts were developed. By combining information from the image chart and preference chart, motifs and images preferred by consumers may be selected and developed into new valuable designs. 2. The preference was affected mainly by 'quality'image followed by 'simplicity', 'interest', and 'modernity'image. The preference on pattern design was affected by 'quality', 'simplicity', 'interest', and 'interest', 'simplicity', and 'modernity'image in the or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and sensibility images has been represented by equations.

  • PDF

미국대학원이 인지하는 韓國傳統紋樣의 感性이미지 (Sensibility Images of Korean Traditional Motifs Cognized by American College Students)

  • 장수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3_4호
    • /
    • pp.402-411
    • /
    • 2002
  • 미국대학생이 인지하는 한국전통문양의 감성이미지와 그 구조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전통문양의 종류, 표현유형, 구성형식, 적용대상에 따른 감성이미지는 고급성, 단순성, 쾌할성, 현대성의 네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급성과 단순성 차원이 주요 차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전통문양에 대한 감성이미지는 독립변인인 문양의 종류, 표현유형, 구성형식, 적용대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고급성 차원의 이미지에는 문양의 표현유형이, 쾌활성 차원의 이미지에는 문양의 구성형식이, 현대성 차원의 이미지에는 문양의 적용대상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미국대학생의 한국전통문양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 및 감성이미지와의 관계 (Th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of American College Students on Korean Traditional Motif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ensibility)

  • 장수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3호
    • /
    • pp.369-378
    • /
    • 200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on Korean traditional motif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reference, purchase intention, and sensibility. The subjects consisted of 217 male and 351 female US undergraduate students. The experimental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48 stimuli and a questionnaire, composed of 7-point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of 17 bi-polar adjectives.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gression, and t-test.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terpretation type and application objec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eference, while category and interpretation typ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urchase intension. The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otifs for pattern design was preferred to their application for clothing design. Decorative type was found to be more related to th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than the other interpretation types of realistic, stylized and abstract types. The purchase intention on crain motif was lower than the other categories of lotus and cloud motifs. Second, in overall, the preference on Korean traditional motifs was higher than purchase intention. Third, th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affected mainly by 'Quality' image, a component of sensibility, followed by 'Cheerfulness' image, but not affected by 'Simplicity' and 'Modernity' image.

  • PDF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도형의 표현 연구 - 원(${\bigcirc}$).방(${\square}$).각(${\triangle}$)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eometrical Figure in Contemporary Fashion - In the Case of Round(${\bigcirc}$), Square(${\square}$) and Triangle(${\triangle}$) -)

  • 권진;강숙녀
    • 복식
    • /
    • 제61권8호
    • /
    • pp.85-99
    • /
    • 2011
  • Geometrical figures have been used as artwork motifs from the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 The area of fashion, being a part of modern art, is also largely influenced by geometry and geometrical shapes are being used as a motif for fashion design now more than ever before. However, studies about geometry in the fashion field are not yet done enough and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his research will therefore investigate the usages of round, square and triangular design in contemporary fashion. The main scope of this research is to look at the type of expression and analyze the intrinsic meanings of these shapes in modern fashion. This research will look profoundly in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se geometrical figures and analyze the effects and uniqueness found in the world collection introduced since 2007. As a result from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round and square objects were perceived in such a straightforward and positive way and these designs, when worn, really completed the final look. On the other hand, the triangular design was used mainly for spatial expansion and was interpreted in a more metaphorical, indirect and abstract way. The intrinsic meaning of round, square and triangle figures in contemporary fashion consists of the informal features that really steps out of the formative clothing structure. The topological changes that is formed from the interactive functions and the wholism that creates a new system through integration of the human body and clothing contains the intrinsic meaning of these geometrical figur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method of express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day fashion's geometrical figures was able to be easily understood. This work provides the useful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and the extended interpretation of clothing structure.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자연문양디자인의 특성 - 2011 S/S ~2012 S/S 파리, 밀란, 뉴욕 컬렉션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Natural Prints Design in Fashion Collections - Paris, Milan & New York from 2011 SS to 2012 SS -)

  • 권혜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109
    • /
    • 2013
  •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latest trends of natural print design through the quantitative & qualitative analysis of fashion appeared in contemporary female collections. The research criteria was defined as 3 seasons from 2011 S/S to 2012 S/S. Data collection of 726 was done through review of 'pr$\hat{e}$t-$\grave{a}$-porter Collections' of three major fashion cities; Paris, Milan and NY. Statistical analysis of frequency with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Also qualitative interpretation of natural print design' characteristics was completed.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average occurrence rate of natural print design from 2011SS to 2012 SS in three collections were 6.4% in Milan 6.4%, 5.5% in Paris and 6.8% in N.Y. The five source types of natural prints in contemporary women's fashion collections were identified and the order of their appearance were as follows: flowers, plants, animals, insects & marine organisms and compound one. The plant prints were expressed by stylized or realistic touch. Flower patterns showed more variables than plants, however, there were no big difference in their image and major characteristics. The animal prints demonstrated two aspects. First one used typical animal print of fur or skin, but the other one draw the animal figure like paintings. The compound source type presented the most interesting and fresh pattern design ideas. In the insects & marine organisms, mainly butterfly and seashell & starfish, etc. appeared as real shapes or sometimes were stylized.

  • PDF

매천별업(梅川別業) 퇴수정원림(退修亭園林)의 의미경관론적 해석 (Interpretation on the Theory of a Meaning Landscape in Maechun-Byulup Toesu-jeong Wonlim)

  • 이현우;김재식;신상섭;노재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32
    • /
    • 2011
  •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에 위치한 조선 후기 퇴관(退官) 선비의 장구지소(杖屨之所) 매천별업 퇴수정원림의 조영요소와 이곳에 투영된 작정의도 및 의미경관적 요소의 추적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퇴수정원림은 매천 박치기가 퇴관 후 은거를 위해 1870년 조영한 별서형 누정원림으로, 별업 경영의 면모를 기록한 '퇴수정기(退修亭記), 반선대기(伴仙臺記), 반선대10영(伴仙臺十詠), 퇴수정상량문(退修亭上樑文), 퇴수정원운병소서(退修亭原韻幷小序) 그리고 기타 현판과 주련 등의 기문에서는 조영자와 별업 조영의지 및 자연친화적 산수경영의 의도가 읽혀진다. 퇴수정원림의 공간구성 체계는 '퇴수정권역, 관선재권역, 계정권역' 등 세 권역으로 대별되며, 원림 주변에 새겨진 '매천별업(梅川別業) 반선대(伴仙臺) 심진암(尋眞巖) 야박담(夜泊潭)' 등의 암각서는 원림의 영역성을 규정하는 동시에 원림 작정과 관련한 다양한 의미경관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유상하며 곡수연회를 베푼 곡수유거(曲水流渠)의 조탁 흔적은 문화경관으로서의 별업의 의미를 한층 강화시켜 주고 있다. 더불어 '반선대기'와 '퇴수정원운'의 반선대10영 등의 시문에서는 공간의 의미부여 및 자연 관조를 통해 신선지향적 별업원림(別業園林)을 구축하고자 했던 매천 박치기의 조경가적 면모가 읽혀질 뿐 아니라 귀거래(歸去來)하여 퇴수(退修)하는 은사지소(隱士之所)이자 풍류지처(風流之處)로서의 현학적 의미경관 요소들이 추출된다. 퇴수정원림의 현존 식물상 및 주요 식생요소는 후원에 펼쳐진 송림을 비롯하여 느티나무, 산벚나무, 살구나무 그리고 물가 쪽으로 굽은 소나무 등이 파악되는데, 도입종인 미류나무와 퇴수정 전면으로의 경관 조망에 장애가 되는 일부 수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자연에 의탁하여 이루어진 천연적 경관 면모를 보여준다.

입지와 장소 특성으로 본 암각바둑판의 의미와 문화재적 가치 (A Study on the Meaning and Cultural Properties Value of Rock-Go-Board from the Viewpoint of Site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 박주성;노재현;심우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4호
    • /
    • pp.172-205
    • /
    • 2011
  • 본 연구는 종합적인 현황 조사 분석을 통해 국내 돌바둑판의 위치 및 형태 그리고 입지 유형을 파악하는 한편 주변 경물과 각자 그리고 인근의 전래지명과의 관련성 분석과 해석을 통해 암각바둑판의 본질적 특성 및 장소적 의미 그리고 문화재로서의 가치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바둑판에 나타난 '네모난 바둑판과 둥근 바둑돌'의 천원지방적(天圓地方的) 형상, 흑백 바둑돌로 표상되는 음양조화 그리고 하늘 회전을 표현한 361로 등은 '우주적 질서가 투사(投射)된 상징체'이다. 또한 영원성을 바탕으로 바둑 삼매경에 빠진 '귤중지락(橘中之樂)'과 '상산사호(商山四皓)' 그리고 '난가(爛柯)' 모티프는 속세를 벗어난 망우청락(忘憂淸樂)의 '위기선미(圍棋仙味)'를 통해 '인생과 자연'의 관계를 시공간적으로 일치하고자 했던 천인합일의 표상이자 우미와 소요를 추구한 고아한 풍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돌바둑판은 총본 연구는 종합적인 현황 조사 분석을 통해 국내 돌바둑판의 위치 및 형태 그리고 입지 유형을 파악하는 한편 주변 경물과 각자 그리고 인근의 전래지명과의 관련성 분석과 해석을 통해 암각바둑판의 본질적 특성 및 장소적 의미 그리고 문화재로서의 가치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바둑판에 나타난 '네모난 바둑판과 둥근 바둑돌'의 천원지방적(天圓地方的) 형상, 흑백 바둑돌로 표상되는 음양조화 그리고 하늘 회전을 표현한 361로 등은 '우주적 질서가 투사(投射)된 상징체'이다. 또한 영원성을 바탕으로 바둑 삼매경에 빠진 '귤중지락(橘中之樂)'과 '상산사호(商山四皓)' 그리고 '난가(爛柯)' 모티프는 속세를 벗어난 망우청락(忘憂淸樂)의 '위기선미(圍棋仙味)'를 통해 '인생과 자연'의 관계를 시공간적으로 일치하고자 했던 천인합일의 표상이자 우미와 소요를 추구한 고아한 풍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돌바둑판은 총 18개로 이중 강진 월남사지 돌바둑판, 양산 소한정 돌바둑판, 반룡대 돌바둑판 등 3개소(16.1%)는 이동이 가능한 석국으로 분류된 반면 방학동 돌바둑판을 비롯한 15개소(83.9%)는 자연 암반에 새긴, 원래 장소를 이탈하지 않은 암각바둑판으로 밝혀졌다. 돌바둑판의 입지조건을 유형화한 결과, 계류형 15개소(83.9%), 암봉형 3개소(16.1%)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것은 소백산 신선봉 암각바둑판(1,389m)이었다. 총 15개 돌바둑판은 모두 500m 이하의 저산지에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바둑판이 새겨진 입지는 속세와 멀지 않은 생활권의 일부였으며 모두 경관성이 탁월한 계곡 및 산봉에 입지하였다. 돌바둑판은 옛 선비들의 풍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찰되는바 특히 암각바둑판은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조화를 추구하며 명산대천(名山大川)을 찾아 함께 노니는 풍류도의 정신을 전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즉 궁극적으로 바둑의 전통적인 상징성인 '은일의 매개체이자 자연귀의의 도에 다다를 수 있는 선비문화의 정수'인 동시에 유선적 취향의 도구로서 자리매김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징적으로 암각바둑판이 새겨진 단양 소백산 신선봉을 비롯하여 괴산 선국암, 무주 사선암, 장수 신선바위 등은 신선과 관련된 지명의 일체감이 매우 높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신선' 바위와 암각바둑판이야말로 선계에 대한 숭배와 동경의 소통방식이 가장 함축적으로 표현된 경관대상이자 조망처로 판단된다. 한편 암각바둑판이 입지하는 장소의 입지유형 등 물리적 환경과 팔경 및 동천구곡의 설정 여부, 유학자 등의 관련 여부를 중심으로 한 '인간활동' 그리고 '상산사호' 모티프 및 '난가고사' 상징의미 등 3가지를 '장소정체성 판단을 위한 해석 틀'을 기준으로 하여 고찰한 결과, 암각바둑판 주변에 각자 되어있는 동천, 동문 등의 모티프는 주자학적 '구곡팔경'의 개념 보다는 선취적 '선유동천' 개념의 공간성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계류형 암각바둑판이 조성된 공간은 유가의 은둔지향적 공간이나 선도적 은일지향적 공간으로 시대추이에 따라 습합되어 온 것으로 판단되며 산봉형의 암각바둑판은 별도로 신선 강림의 숭엄지향성이 장소정체성 지배의 중요 요인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암각바둑판이 조성된 곳을 포함하여 그 주변은 동천구곡이나 팔경의 일부로 널리 알려진 승경의 요처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선비 및 사대부 계층이 주체인 주변 각자들 중에도 신선 관련 표현어가 다수 발견됨에 따라 바둑판 조영의식의 이면에는 신선경 동경을 바탕으로 한 선도적 취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총합할 때 암각바둑판은 조선조 선비들의 은일과 운둔을 통한 자연경영의 문화 현상이 집약적으로 함축된 유산이자 전래 승경의 요처로, 명승과 같은 자연문화재로서의 가치가 탁월한 대상임이 확인되었다. 현재 남한내 17개의 돌바둑판 중에서 소백산 신선봉 암각바둑판을 비롯하여 방학동 암각바둑판, 충주 사로암 암각바둑판, 무주 사선암 암각바둑판, 양산 어곡동 반룡대 석국 등은 세월의 풍파와 사람들의 접촉으로 마모되면서 바위가 깨어지거나 바둑판 줄이 희미해지고 있다. 또한 언양 반구대 집청정 암각바둑판은 토사 매몰로 그 형체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암각바둑판은 자연과 바람의 흐름을 그대로 투영한 예술적, 문화재적 가치가 탁월한 조형물이자 선인들의 자연 사랑의 마음과 선계동경의 문화가 만나 이루어진 문화유적으로, 이에 대한 국내 분포 현황에 대한 체계적인 정밀조사와 보존관리가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18개로 이중 강진 월남사지 돌바둑판, 양산 소한정 돌바둑판, 반룡대 돌바둑판 등 3개소(16.1%)는 이동이 가능한 석국으로 분류된 반면 방학동 돌바둑판을 비롯한 15개소(83.9%)는 자연 암반에 새긴, 원래 장소를 이탈하지 않은 암각바둑판으로 밝혀졌다. 돌바둑판의 입지조건을 유형화한 결과, 계류형 15개소(83.9%), 암봉형 3개소(16.1%)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것은 소백산 신선봉 암각바둑판(1,389m)이었다. 총 15개 돌바둑판은 모두 500m 이하의 저산지에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바둑판이 새겨진 입지는 속세와 멀지 않은 생활권의 일부였으며 모두 경관성이 탁월한 계곡 및 산봉에 입지하였다. 돌바둑판은 옛 선비들의 풍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찰되는바 특히 암각바둑판은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조화를 추구하며 명산대천(名山大川)을 찾아 함께 노니는 풍류도의 정신을 전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즉 궁극적으로 바둑의 전통적인 상징성인 '은일의 매개체이자 자연귀의의 도에 다다를 수 있는 선비문화의 정수'인 동시에 유선적 취향의 도구로서 자리매김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징적으로 암각바둑판이 새겨진 단양 소백산 신선봉을 비롯하여 괴산 선국암, 무주 사선암, 장수 신선바위 등은 신선과 관련된 지명의 일체감이 매우 높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신선' 바위와 암각바둑판이야말로 선계에 대한 숭배와 동경의 소통방식이 가장 함축적으로 표현된 경관대상이자 조망처로 판단된다. 한편 암각바둑판이 입지하는 장소의 입지유형 등 물리적 환경과 팔경 및 동천구곡의 설정 여부, 유학자 등의 관련 여부를 중심으로 한 '인간활동' 그리고 '상산사호' 모티프 및 '난가고사' 상징의미 등 3가지를 '장소정체성 판단을 위한 해석 틀'을 기준으로 하여 고찰한 결과, 암각바둑판 주변에 각자 되어있는 동천, 동문 등의 모티프는 주자학적 '구곡팔경'의 개념 보다는 선취적 '선유동천' 개념의 공간성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계류형 암각바둑판이 조성된 공간은 유가의 은둔지향적 공간이나 선도적 은일지향적 공간으로 시대추이에 따라 습합되어 온 것으로 판단되며 산봉형의 암각바둑판은 별도로 신선 강림의 숭엄지향성이 장소정체성 지배의 중요 요인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암각바둑판이 조성된 곳을 포함하여 그 주변은 동천구곡이나 팔경의 일부로 널리 알려진 승경의 요처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선비 및 사대부 계층이 주체인 주변 각자들 중에도 신선 관련 표현어가 다수 발견됨에 따라 바둑판 조영의식의 이면에는 신선경 동경을 바탕으로 한 선도적 취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총합할 때 암각바둑판은 조선조 선비들의 은일과 운둔을 통한 자연경영의 문화 현상이 집약적으로 함축된 유산이자 전래 승경의 요처로, 명승과 같은 자연문화재로서의 가치가 탁월한 대상임이 확인되었다. 현재 남한내 17개의 돌바둑판 중에서 소백산 신선봉 암각바둑판을 비롯하여 방학동 암각바둑판, 충주 사로암 암각바둑판, 무주 사선암 암각바둑판, 양산 어곡동 반룡대 석국 등은 세월의 풍파와 사람들의 접촉으로 마모되면서 바위가 깨어지거나 바둑판 줄이 희미해지고 있다. 또한 언양 반구대 집청정 암각바둑판은 토사 매몰로 그 형체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암각바둑판은 자연과 바람의 흐름을 그대로 투영한 예술적, 문화재적 가치가 탁월한 조형물이자 선인들의 자연 사랑의 마음과 선계동경의 문화가 만나 이루어진 문화유적으로, 이에 대한 국내 분포 현황에 대한 체계적인 정밀조사와 보존관리가 시급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