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active education

검색결과 649건 처리시간 0.065초

스마트러닝에 대한 원격대학 학습자의 인식 (Students' Perception of Smart Learning in Distance Higher Education)

  • 최효선;우영희;정효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584-593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자를 위한 스마트러닝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 원격대학의 성인학습자가 스마트러닝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격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950명이 응답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스마트러닝을 현재의 원격학습에 비해 '몰입이 가능'하고, '쌍방향적'이며, '협력적'이라고 인식하였으며, '경험의 결합'을 주요 특성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40 50대의 학습자가 20 30대에 비해 스마트러닝을 '맞춤형', '인간적', '쌍방향적', '편안한', '안정적', '익숙한', '피로하지 않은', '실제적'인 것으로 인식하였고, '경험의 결합'이 스마트러닝의 특성이라 인식하는 경향이 더욱 컸다. 이는 스마트러닝에서의 학습 목적이 연령별로 다르기 때문이라 유추할 수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성인학습자의 연령과 특성에 따른 스마트러닝 목적과 학습유형, 전략의 논의가 필요함을 암시한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 관점에서 스마트러닝의 개념과 특성을 재조직화하고 이에 대한 논의의 초석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단위 차시 수업 분석 및 교사 면담을 통한 초등학교 실시간 원격수업 개선 방향 모색 (Researching for Improvement Directions for Elementary school Real-time Remote Learning Through Unit Class Analysis and Teacher Interviews)

  • 김동진;구덕회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355-360
    • /
    • 2021
  • 코로나19는 학교 교육에 커다란 변화를 가지고 왔다. 원격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고자 하였으나 대면수업에 비해 원격수업이 가지는 제한점은 뚜렷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격수업이라는 방식은 분리된 시공간을 고려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개별적이고 자율적인 학습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학습 방법임에는 틀림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단계에서 실시간 원격수업 사례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교사 면담을 통하여 초등학교 실시간 원격수업에서의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사례를 통해 살펴본 초등학교 단위차시 실시간 원격수업에서의 문제점은 첫째, 원격수업이라는 낯선 환경의 불안감으로 인해 교사 활동 비중이 높은 수업이 된다는 점, 둘째, 실시간 쌍방향 수업임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개별 활동 점검이나 원활한 피드백 제공이 불가능하다는 점이었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는 기본적인 수업의 단계(도입-전개-정리)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과 적절한 소통과 피드백 제공을 위한 수업 도구의 활용을 제시하였다.

  • PDF

학습자 주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원격 교육시스템 (A Distance Education System for Supporting Learners' Interaction)

  • 장시웅;전원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657-660
    • /
    • 2007
  • 정보화의 진전에 따라 교육은 동일한 지식의 일방적 전달인 전통적인 교육에서 시 공간을 초월하여 학습자-내용간, 학습자-교수자간, 학습자-학습자간 다차원적으로 학습자 스스로가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하는 양방향 교육 및 수요자 중심의 평생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조류에 맞추어 학습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방법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 주도의 상호 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WBI를 활용한 실시간 원격교육 시스템을 제안한다.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을 설계하고 계획하여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개별학습과 학습자들의 건전한 토론과 대화의 장을 마련하여 모둠원들 간의 집단별 프로젝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가상현실 기법의 활용이 지식 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눈의 구조와 기능 내용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Biology Educational Material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on the Knowledge Achievemen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Eye-)

  • 심규철;류수정;김현섭;김희수;박영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8
    • /
    • 2003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teaching-learning materials based virtual reality technology(VRT),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it on the knowledge achievement of biology. Authoring tool of virtual reality(VR) was 3D Webmaster made in Superscape Ltd., United Kingdom. Educational materials was developed fo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eye of life field in the 10th science. It was learner-directed and interactive educational material using the Web-based and desktop VR. The result showed a meaningful improvement on the achievement. Using 3D VR shows the potential of available education media in the next generation as science teaching-aided materials, which especially was efficient in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abstract or difficult to direct experience learning contents.

스마트 교실에서 디지털교과서와 디바이스 호환성, 사용성 분석 (An Analysis of Compatibility and Usability of Digital Textbook and Device in The Smart Classroom)

  • 최상현;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8-341
    • /
    • 2016
  • 스마트 시대와 더불어 스마트 교육이 시행되었지만, 활성화되지 못하고 현재는 잠정적으로 중단된 상태이다. 스마트 교육에 필수인 디지털 콘텐츠가 부족하고 질이 낮으며, 교육 기자재도 가격이 비싸고 도입 예산에 비해 효과가 적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 교육에 필수적인 디지털교과서와 교육 기자재의 도입에 중점적으로 고려해야할 호환성과 사용성을 분석한다. 본 논문을 통해 제한된 예산을 사용하는데 최적의 교육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여 침체된 스마트 교육 확산을 다시 활성화하고, 스마트 교육의 종주국으로서 위상을 제고하며, 교육의 질을 높여 국가의 미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공교육시설의 스마트 교육환경 수요조사 (Feasibility Analysis of ICT for Public Educational Environment)

  • 김승제;김우영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3-50
    • /
    • 2011
  • There are emerging issues to updat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chools in term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order to provide customized programs to students as well as all participants relating to learning and teaching. The past year has been turbulent as the education facilities has changed and new procurement processes such as BTL have emerged.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analysis of ICT for the public educational environment is to analyse the current primary schools by means of collecting parent's opinion. In the web-site questionnaires, it was designed with 70 items such as teaching method, class organization, aptitude drill and educational community. As results, the statistical analysis is to propose the list of priority and orientation covering social agenda in the issue of ICT for education, the benefits schools can achieve by smart environment is to have the advanced learning services and solutions that represents parental engagement with identical local aims of interactive interface between their students and qualified teachers at a school. Both the national curriculum as well as the after-school program initiative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ay reduce negativ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so that the program has to be carefully developed for balanced education society revitalizing mutual communication within regional learning participants such as students, teachers and educational experts.

  • PDF

게임제작 실습 교과목에서 활용할 수 있는 비대면 교육방법 연구 (A Study on Non-face-to-face Educational Methods which can be used in Practical Subject of Game Production)

  • 박선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25-133
    • /
    • 2021
  • Due to Covid-19, the un-contact culture has affected society as a whole, and the methods of education conducted offline has been greatly affected. In the private education of preparing for university entrance, the public official examinations and certification acquisition, the method of online education has been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s. While private class and school class which have offered in off-line to cope with rapid changes caused various problems such as decline in quality for educ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design class, practical training is important. As interactive feedback between students and educators is more important than one-way of delivering knowledge while class is conducted in online, educators have a challenge when they prepare for class. This study handles the methods of online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practical education methods in university nowadays, Especially, the non-face-to-face education methods for game animation production. Based on this study, I propose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with non-face-to-face class that allows students to be satisfied and increases their knowledge, beyond face-to-face class.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 과정에서 학생-학생 상호작용 양상 분석 (Analysis of Student-Student Interaction in Interactive Science Inquiry Experiment)

  • 이현영;장상실;성숙경;이상권;강성주;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660-670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을 실시하여 학생-학생 상호작용의 유형을 분류하고, 인지수준에 따른 모둠별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지수준이 이질적인 모둠과 동질적인 모둠을 각각 2모둠씩 선정하여 활동지를 해결하는 과정을 녹음, 녹화하였다. 학생들의 상호작용 유형을 크게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으로 나누어 인지적 측면은 "질문", "응답", "의견제시", "의견 받기"로 구분하여 각 범주를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에 따라 세분하였다. 정의적인 측면은 "활동참여도", "분위기관련", "의견에 대한 반응"으로 나누었다. 동질, 이질 모둠의 인지적, 정의적 상호작용의 빈돌르 비교하여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 인지적 측면에서는 동질 모둠이 이질 모둠에 비해 상호작용의 빈도가 더 높았고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의적 측면에서는 교사 의존도나 모둠에 대한 불만 등 동질 모둠에서 부정적인 태도를 더 많이 보였으나, 동료의 의견에 '수용'과 '반대'를 표현하는 빈도는 동질 모둠이 더 많아 자신의 의견을 말할 수 었는 토론분위기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기초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매핑기법의 활용 방법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Research on the Method for Applying Mapping Technique to Basic Design Education)

  • 박응범;홍정표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국제감성 심포지엄
    • /
    • pp.67-69
    • /
    • 2007
  • Customary way of thinking may be the most major stumbling block to creative thinking in basic design education in the information and network era. The basic design education was used to be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or subjective ideas, but these days, the role of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thinking which provide the basis of creative techniques has been closely examined. Going beyond a divergent thinking and directly starting a convergent thinking means bypassing the design process of the existing basic design education. Though preceding studies considered various creative techniques apart from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thinking, this study presumed that complementing the most typical methods of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thinking may result in the same basic design education effect. So, what approach must be used to the design? The way of thinking needs to change. For that, we try to apply the mapping to basic design education. It must encompass interactive thinking which includes immaterial elements and communication. Divergent thinking can begin with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current state, and the created current state resolves the design process that needs to be a certain t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method for applying the mapping techniques to basic design education based on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which provides the basis of creative ideas.

  • PDF

이동 에이전트를 활용한 웹기반 교수-학습시스템 (Web-Based Teaching-Learning System of Mobile Agent)

  • 고주연;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216-229
    • /
    • 2001
  • 수요자 중심의 원격 교육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 보다 활발한 상호작용적 교수-학습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교수-학습을 제공하는 적응적이고, 능동적인 교수-학습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분산환경에서 협력하여 과제를 처리하는 이동 에이전트의 개념을 도입하여 효율성을 높였으며, 또한 다양한 학습자 특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에이전트 기반 학습자 관리 요소를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획일적인 웹 기반 교수-학습에서 벗어나 학습목표에 적절한 자료를 학습자의 능력에 맞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높은 학습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