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condylar width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과두간 폭경과 상악 제1대구치간 폭경 사이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inter-condylar width and inter-maxillary first molar width)

  • 오상천;공현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4호
    • /
    • pp.214-219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상악과 하악의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보철물로 상실된 치열궁 폭경 재건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과두간 폭경에 대한 상악 제1대구치간 폭경의 상관관계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콘빔형 전산화단층영상(Cone-beam CT)을 촬영한 환자 중, 본 연구의 기준에 부합하는 한국인 120명(남성 60명, 여성 60명)을 선택하였으며 Invivo 5.1을 이용해 Cone-beam CT scan을 분석하였다. 축의 방향설정 후, 상악 제1대구치의 근심 협측 교두정간 거리를 측정하였으며, 과두간 폭경은 각 과두의 중심점을 지정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0.0으로 분석하였고, Pearson의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과두간 폭경과 상악 제1대구치간 폭경의 상관관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한국인의 평균 과두간 폭경은 105.9 mm였으며, 남성이 108.3 mm 여성이 103.4 mm였다. 평균 상악 제1대구치간 폭경은 57.1 mm였으며, 남성이 57.9 mm 여성이 56.2 mm였다. 과두간 폭경과 상악 제1대구치간 폭경에 대한 Pearson의 상관분석 결과, 0.614의 Pearson 상관계수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과두간 폭경과 상악 제1대구치간 폭경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한국인의 과두간 폭경과 상악 제1대구치간폭경의 평균 비율은 1:0.54를 보였다. 본 제한된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상악과 하악의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과두간 폭경을 본래의 상악 치열궁 폭경 설정을 위한 가이드로서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하악골 운동시 과두의 이동범위에 관하여 (THE NORMAL RANGE OF CONDYLAR MOVEMENT)

  • 최한업
    • 치과방사선
    • /
    • 제8권1호
    • /
    • pp.43-47
    • /
    • 197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ormal range of condylar movement of normal adults. The author has observed roentgenographic images of four serial positions of condylar head taken by modified transcranail lateral oblique projection. The serial positions are centric occlusion, rest position, 1 inch open position and maximal open position.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 1. Inter-incisal distance was 46.85㎜ in maximal open position. 2. The length between the deepest point of glenoid fossa and summit of condylar head in rest position was wider than that in centric occlusion by 0.8㎜. 3. In 1 inch open position, condylar head moved forward from the standard line in 12.64㎜ of horizontal direction and moved downwards from the standard line in 1.84㎜ of vertical direction. 4. In maximal open position, condylar head moved forward from the standard line in 19.06㎜ of horizontal direction and moved downwards from thestanard line in 0.4㎜ of vertical direction. 5. In centric occlusion, the width between glenoid fossa and margin of condylar head was greater in the posterior portion than in the anterior portion by 0.4㎜. 6. Except for the estimated figures of 1 inch open position, all of the estimated figures was greater in male than in fema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