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ction window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4초

마이크로프로세서 전력소모 절감을 위한 명령어 큐 구조 (Instruction Queue Architecture for Low Power Microprocessors)

  • 최민;맹승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11호
    • /
    • pp.56-62
    • /
    • 2008
  • 현대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적정수준의 전력소모에 고성능의 애플리케이션성능을 요구한다. 전력소모와 성능향상의 상호보정 측면에서 볼때, 명령어 윈도우(Instruction window)는 특별히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이는 명령어 윈도우의 크기를 확장하면 성능향상을 가능하도록 하지만, 기존의 명령어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여 크기만 늘리는 것은 전력소모와 복잡도 측면에서 불리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력소모를 감소하기 위해서 직접 검색 테이블(Direct table lookup :DTL)을 사용하여 명령어 윈도우에서 발생하는 연관 검색을 최소화한다. 이를 위해 비트 벡터(bit-vector) 기반의 태그 변환 기법을 제안하여 데이터 종속성 및 자원 충돌 현상을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본 논문에서는 SPEC2000 벤치마크를 활용하여 성능평가를 수행하여 제안된 기법이 기존 방법 대비 24.45%의 전력소모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대형 윈도우에서 다중 분기 예측법을 이용하는 수퍼스칼라 프로세서의 프로화일링 성능 모델 (A Wide-Window Superscalar Microprocessor Profiling Performance Model Using Multiple Branch Prediction)

  • 이종복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8권7호
    • /
    • pp.1443-1449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 profiling model of a wide-window superscalar microprocessor using multiple branch prediction. The key idea is to apply statistical profiling technique to the superscalar microprocessor with a wide instruction window and a multiple branch predictor. The statistical profiling data are used to obtain a synthetical instruction trace, and the consecutive multiple branch prediction rates are utilized for running trace-driven simulation on the synthesized instruction trace. We describe our design and evaluate it with the SPEC 2000 integer benchmarks. Our performance model can achieve accuracy of 8.5 % on the average.

슈퍼스칼라 프로세서에서 명령 윈도우 크기에 따른 혼합형 값 예측기 (Hybrid Value Predictor in Wide-Issue Superscalar Processor)

  • 전병찬;최규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97-10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슈퍼스칼라에서 윈도우 크기에 따른 명령 페치율에 따라 혼합형 값 예측기의 성능을 평가한다. 일반적으로, 명령의 데이터 의존성은 명령의 페치수에 따라 증가된다. 그러므로, 명령 페치율이 증가할 때 값 예측기의 성능이 높다고 본다. 이러한 성능은 명령 페치 메카니즘인 컬랩싱 버퍼와 트레이스 캐쉬로 연구한다. 실험결과는 명령 윈도우 크기에 따른 명령 페치율 증가와 혼합형에서 non-tc 와 tc을 적용한 IPC와 예측률의 값 예측기의 성능 효과를 평가한다.

  • PDF

쇼윈도 디스플레이가 의류매장의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ow Window Display Affecting the Purchase of Clothing Stores)

  • 김태영;서유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96-105
    • /
    • 2012
  •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study is whether Show Window Display actually affect on purchase and if it does, how much Show Window Display have influence on the buyer's satisfaction. Show windows are most important at clothing stores. The show open types of domestic clothing stores are usually open-type and semi open-type. Show Window Display types of low and middle prices stores are generally opened, horizontal and storied type and the shape, height, opening type and use of ground floor are different by regional distinct features. Generally Show Window Display are consisted by lights, mannequins and directed props. In buying patterns, an impulse buying has more stronger effect than a scheduled buying, a substituted buying and non-buying. An impulse buying are strongly affected by Design and others are prices. The reason why Show Window Display affecting on purchase is the satisfaction of Design and the strong stimulus to purchase(impulse buying), and then Show window Display used by all components strongly has an effect on it. Factors of purchase desires were Design, price and quality in order and factors of purchase motivations were the motivation of clothing design and the motivation of impulse buying. Thus the effects of Show Window Display and factors of purchase motivations are same. As a result of this study, differentiated Show Window Display methods of clothing stores affect the value of goods, the stimulus of purchase and fostering sales effectiveness. Therefore the instruction of Show Window Display methods are indicated by this study.

  • PDF

한정된 연산유닛에서 명령어 종속성을 이용하는 수퍼스칼라 프로세서의 이론적 성능 모델 (A Theoretical Superscalar Microprocessor Performance Model with Limited Functional Units Using Instruction Dependencies)

  • 이종복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9권2호
    • /
    • pp.423-428
    • /
    • 2010
  • In the initial design phase of superscalar microprocessors, a performance model is necessary. A theoretic performance model is very useful since performance for various architecture parameters can be obtained by simply computing equations, without repeating simulations, Previous studies established theoretic performance models using the relation between the instruction window size and the issue width, with the penalties due to branch mispredictions and cache misses. However, the study was intended for unlimited number of functional units, which is insufficient for the real case application. This paper proposes a superscalar microprocessor theoretical performance model which also works for the limited functional units. To enhance the accuracy of our limited functional unit model, instruction dependency rates are employed. By using trace-driven data of SPEC 2000 integer programs as input, this paper shows that the theoretically computed performance of superscalar microprocessor with limited number of functional units is quite similar to the measured performance.

웹 기반 학습에 있어서 공간 지각력과 정보제공 창의 형태 간의 관계 분석 (A STUDY OF SPATIAL ABILITY AND WINDOW PRESENTATION STYLES IN WEB-BASED INSTRUCTION)

  • 임연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649-659
    • /
    • 2005
  • 공간적 표현에 대한 지식은 공간적 배열의 특징과 그 특징들 사이의 관계를 그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인지하는 방식과 연관이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교육에 있어서 두 가지의 정보제공 창의 형태(타일창, 단일창)를 학습자의 공간지각력과 연관지어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공간지각력과 정보제공 창의 형태에 대한 상호작용을 학생들의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를 통해 조사, 연구하기 위해 미국 펜실베니아 주의 Falk School에 재학 중인 71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공간지각력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두 실험 집단으로 나누어 과학내용에 관한 웹기반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사를 통해 학생들의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가 측정되었고 이는 다변량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한 바에 의하면, 공간 지각력은 사후 검사 점수에 명백하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주효과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전체표본과 부표본에서 모두 나타났다. 웹 기반 학습에서의 아동들의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는 그들의 공간지각력과 정(+)의 관계가 있으며, 공간지각력과 정보 제공 창의 형태 사이에 상호 작용의 패턴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웹 기반 학습에 있어서 공간지각력이 낮은 학생들은 타일창에서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공간지각력이 높은 학생들은 단일창에서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 PDF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에 있어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학습방법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for a Fundamental Nursing Course)

  • 유문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4-112
    • /
    • 2001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standardized patients managed instruction program for a fundamentals of nursing. The standardized patients managed instruction was evaluated by using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with two separate classes of sophomore students attending fundamentals of nursing classes at one baccaleureate nursing school in Korea. Control group was taught by traditional lecture/model instruction and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by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999 to July, 2000 using checklist developed by researcher on following areas; clinical nursing performance, communication skills, and learning motivation. There were 36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0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WINDOW.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Clinical nursing performances were evaluated by change position, back care and hot bag apply. The total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t=3.325, p=.000). Thus hypothesis 1 was supported. 2. Communication skill was evaluated by professional attitude and ability to explain to patie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4.232, p=.000). Thus hypothesis 2 was supported. 3. Learning motivation was evalua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t=3.024, p=.004). Thus hypothesis 3 was support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tandardized patients managed instruction i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to nursing students. By utilizing a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learning can proceed in a more relaxed environment and reduce the risks to patients because student inexperience are avoided.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more standardized patients cases for wider areas of nursing educational and evaluate the program with more students using logitudinal method.

  • PDF

고속 정적 RAM 명령어 캐시를 위한 방사선 소프트오류 검출 기법 (Radiation-Induced Soft Error Detection Method for High Speed SRAM Instruction Cache)

  • 권순규;최현석;박종강;김종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6B호
    • /
    • pp.948-95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슈퍼스칼라 구조를 가진 시스템의 명령어 캐시에서 효율적으로 소프트오류를 검출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명령어 캐시로 주로 사용되는 고속 정적 RAM(Random Access Memory)에 적용할 수 있으며 1D 패리티와 인터리빙을 통해 기존 기법들과 비교하여 더 적은 메모리 오버헤드로 연집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정적 RAM에서는 소프트오류의 발생만을 확인하고 검출된 소프트오류의 정정은 명령어 캐시의 캐시 미스와 같이 처리하여 하위 메모리로부터 명령어들을 다시 인출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명령어 캐시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연집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할 수 있으며 최대 4$\times$4의 윈도우 내에서 발생된 연집오류를 검출 할 수 있다. 제안된 방식을 이용하면 256비트 $\times$ 256비트 크기의 메모리에서 기존의 4-way 인터리빙 기법에서 검출에 필요한 패리티 크기의 25%만으로도 동일한 4비트의 연집오류를 검출 할 수 있다.

테니스동호인이 인지하는 지도자의 코칭행동이 참여자의 강습만족 및 지도자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structors' Coaching Behaviors Recognized by Tennis Club Members on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Lesson and Preference for Instructors)

  • 황영성;유현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3호
    • /
    • pp.791-803
    • /
    • 2015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ennis instructors' coaching behaviors on the satisfaction with lessons and preference for instructors. In order to achieve this study objective, by using the quota sampling out of nonprobability sampling for tennis club members who are now(2015) actively involved in tennis courts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cheongnam-do, and also receiving tennis lesson for more than six months or used to take lessons before, the 325 effective sampl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Using the SPSS Ver. 21.0 Window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nt through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like below. Regarding differences of coaching behaviors depending on sex,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like explanatory instruction, positive feedback and negative feedback. In case of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age, every fact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gard of differences depending on academic backgrou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 of negative feedback while the factor of positive feedback showe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experience of lesson. In case of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athletic performanc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like explanatory instruction, questioning instruction and negative feedback. Second, the positive feedback, one of the sub-factors of coaching behaviors had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lesson while the explanatory instruction, one of the sub-factors of coaching behaviors had positive influence on preference for instructors. Lastly, the satisfaction with lesson had positive influence on preference for instructors.

공업계열 전문계고등학교 '디지털 논리 회로' 수업에서 PSpice를 이용한 수업의 효과 (The Effect of the Instruction Using PSpice Simulation in 'Digital Logic Circuit' Subject at Industrial High School)

  • 최승우;우상호;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49-168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열 전문계고등학교의 디지털 논리 회로 과목에서 '조합 논리 회로'단원에 시뮬레이션 수업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디지털 논리회로에 대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경상북도에 소재한 공업계열 전문계고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선정하였고, 3개의 영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실험 설계는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총 6차시에 걸쳐 이루어 졌으며, 실험 집단에는 PSpice 시뮬레이션 수업을 적용한 후 브레드보드를 이용한 실습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는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적용한 후 브레드보드를 이용한 실습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WIN (ver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두 집단의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해 유의수준 .05로 설정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뮬레이션 수업은 집단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 전체 영역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수업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러나 심동적 영역에서는 학업 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시뮬레이션 수업은 학업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 전체 영역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수업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러나 인지적 영역과 심동적 영역에서는 중 하위 집단에, 정의적 영역에서는 하위 집단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시뮬레이션 수업은 실습 소요 시간의 단축에 효과적인 수업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러나 하위 집단의 실습 소요 시간의 단축에는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시뮬레이션 수업은 주로 심동적 영역에서 효과적이었고, 상위 집단보다는 하위 집단으로 갈수록 학업 성취에 있어서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