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struction program

검색결과 744건 처리시간 0.022초

사면안정해석을 위한 사진측량을 이용한 사면변위계측시스템 (Displacement Measuring System for the Slope Stability Analysis Using the Softcopy Photogrammetry)

  • 한중근;송영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23-32
    • /
    • 2003
  • 사면지반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기존의 시스템은 고가의 장비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설치ㆍ유지가 힘들고 지반지표의 전반적 계측이 힘들며 계측시 위험을 항상 동반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사면의 변위량을 굴착초기부터 굴착단계별 및 유지관리단계까지 쉽게 미숙련자들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사진측량 장점을 활용한 소프트카피 사진측량(Softcopy Photogrammetry)의 매카니즘이 사면지반의 변위계측을 위해 적용되었으며 이는 접근하기 어려운 위험 사면의 3차원 지반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획득ㆍ분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의 지상사진측량결과 분석과는 다른 등고선 재생성과정을 광속조정프로그램인 DIMA (Digital IMage Analysis)를 개발 적용하여 적용성을 높였다. 사면파괴발생현장 사례를 통해 사면파괴 전후의 계측결과에 대한 사면안정체계 및 기존계측시스템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

생산적 반성의 관점에서 분석한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반성의 특징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in Terms of Productive Reflection)

  • 윤혜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03-71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학습이 일어날 수 있는 반성을 Davis(2006)의 '생산적 반성'으로 개념화하고 생산적 반성의 관점에서 초등 예비교사의 반성 저널 44개를 분석하였다. '생산적 반성'이란 한마디로 교사의 학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반성을 말하며 반대로 '비생산적인 반성'이란 수업의 여러 측면들을 단순히 기술하며 분석이 거의 없고, 여러 아이디어를 연관시키기보다는 나열만 하는 경우를 말한다. 생산적 반성이 일어나고 있는지의 여부는 수업의 제 측면('지도', '내용 지식', '학습자/학습', '평가')을 얼마나 연결지어 생각하는지(통합), 그리고 얼마나 분석적으로 생각하는지(분석)로 살펴볼 수 있다. 분석 결과 초등 예비교사는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에서 대부분 '지도', '내용 지식', '학습자/학습'의 세 측면을 포함하고 있지만(86.4%) '학습자/학습'이나 '내용 지식'의 측면을 강조하는 경우(각각 36.4%, 15.9%)보다는 '지도'측면을 강조하는 경우가 훨씬 많았다(86.4%). 이에 반해 '평가'측면은 반성 저널에서 언급된 경우가 거의 없으며 전혀 강조되고 있지도 않았다. 수업의 제 측면을 연관 지어 생각하거나 분석적으로 생각하는 생산적 반성의 수준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4점 만점에 1.8점). 반성 저널의 대부분은 '학습자/학습'과 '지도'두 가지 측면에서만 통합을 보였으며(72.7%) 전혀 통합이 없는 저널도 22.7%나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교사가 수업에서 일어난 일을 해석하고 수업의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평가 측면을 보다 주목하고 고려할 수 있도록 하고, 피드백이나 토론 등을 통하여 수업의 제 측면을 연관시키고 통합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과학 영재를 대상으로 한 명시적 과학의 본성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Explicit Instructions on Nature of Science for the Science-gifted)

  • 박은이;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9-26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영재를 대상으로 한 명시적 과학의 본성(NOS)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하는 것이다. 참가자들은 6개월 동안 8개의 명시적 NOS 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연구 분석 자료로는 20명의 과학영재 학생을 대상으로 활동지, 프로그램 전후로 수행된 개방형 질문지(VNOS), 인터뷰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명시적 NOS 프로그램은 과학의 잠정성, 과학에 대한 사회적 문화적 영향에 대한 인식 변화에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법칙과 이론의 구분, 과학의 경험적 측면에서는 과학영재들은 여전히 현대적 관점을 갖지 못했고 몇몇 영역에서는 모순되는 관점과 오개념을 드러냈다. 이 연구는 과학 영재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명시적 NOS 프로그램과 과학 탐구의 상보적 관계를 고려할 때 두 활동이 동시에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고 있다.

한국 가정생활 문화 관련 단원의 학습에서 ICT활용 수업이 가정교과에 대한 흥미, 전통문화의식, 학업성취 및 수행평가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CT Teaching Method on Interest in Home Economics, Consciousness on Traditional Culture, Achievement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in High School Borne Economics Instruction)

  • 하영희;유태명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35-150
    • /
    • 2003
  • This research was to verity the effects of ICT teaching method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s the ICT teaching method effective in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in home economics and consciousness on traditional culture in teaming the unit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of home life’? 2. Is the ICT teaching method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achievement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in teaming the unit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of home life’? This study is carried out with following procedure: developing the homepage and lesson plans for ICT teaching, constructing questionnaire, and testing its reliability, pre-testing, treatment for 8 weeks, and post-testing. Two groups were arranged for 8 weeks experiment from May 7,2001 through June 30,2001. Sixteen hours of ICT teaching and 8 hours of traditional lecture for experiment group whereas 8 hours of ICT teaching and 16 hours of traditional lecture for comparison group were input. SAS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atched pairs t-test were peformed for answering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1. Sixteen hours of ICT teaching and 8 hours of traditional lecture for experiment group was effective in increasing consciousness on traditional culture and performance assessment. 2. Eight hours of ICT teaching and 16 hours of traditional lecture for comparison group was not effective in learning home economics. This means that at least 2 hours of ICT teaching is demanding for effective learning. This study concluded that ICT teaching will be effectively applied in high school home economic with well developed ICT teaching materials. And home economics educators should continuously put effort in developing curricular,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to raise students' interest in home economics.

국내 대학도서관 연구지원서비스의 현단계 (A Study on the Present Stage of Research Support Services of Academic Library in Korea)

  • 이용재;이지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05-327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도서관이 교수 및 연구자를 위하여 제공하는 연구지원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대학도서관의 발전계획서를 수집하고 발전계획서에 나타난 연구 활동 지원 계획을 분석하고, 각 대학도서관의 홈페이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심층분석을 위하여 국내 대학도서관 연구지원서비스를 8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각 유형은 '주제가이드', '학술정보활용교육', '연구분석서비스', '연구상담지원', '연구윤리교육', '논문작성안내', '서지관리프로그램', '상호대차·원문복사'이다. 연구의 결과, 가장 많은 도서관들이 '맞춤형 이용자교육'을 중시하여 발전계획서에서 추진계획을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주제별 학술DB교육 확대', '맞춤형 연구지원 서비스 확대', '연구지원 서비스 체계 구축' 순으로 실행계획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연구 지원 강화 방안으로 '주제가이드 서비스 제공의 활성화', '연구지원을 위한 도서관 학술정보교육 확대', '연구성과분석 서비스 도입', '연구윤리 확립 지원'을 제시하였다.

전자출판(DTP) 편집의 Creativity에 관한 고찰-Tool 환경의 정성화 따른 아이디어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reativity of the editorial design through the DTP-Focus on the stagnation of idea according to the standardization of the tool environment-)

  • 김경만
    • 디자인학연구
    • /
    • 제21권
    • /
    • pp.29-38
    • /
    • 1997
  • 전자출판 편집은 컴퓨터의 발달, 인쇄 프로세서의 단축에서 오는 편리성과 경제성, 디자인에 대해 소비자의 다양한 변화욕구 등 사회적 환경변화에 부응한 출판기술의 혁신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편리성과 경제성으로 인해 컴퓨터 편집은 빠른 속도로 활용되고 있으나, 정형화된 작업 환경으로 인해 독창성이나 창조성을 크게 구속시키고 있다. 특히 편리한 툴 환경은 생각하는 디자인보다는 쉽게 디자인 적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사고로 일관되어 더더욱 창조적 영역을 제한시키고 있다. 연구의 결과 과거의 수 작업(手 作業)에 의한 편집디자인과의 비교에서 작업환경 및 진행과정은 빠른 속도로 진보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창조적인 독창성 면에서는 획일화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우연의 창조는 유희적 창조성이라는 일과성으로 반복될 수 있어 아이디어 발상(發想)의 폭을 더욱 좁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컴퓨터 활용 전 디자인의 발상 관 전개 계획이 아이디어 스케치에 의해 충분히 검토되어야 하며, 편집 디자인이 미적 조형원리를 근저로 한다고 볼 때 컴퓨터 조작 능력뿐만 아니라 편집 디자인 기초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 PDF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learning attitude in instruction utilizing STAD cooperative learning model)

  • 안종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147-17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수학교과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하여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구체적인 목적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학생들의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 유발을 위하여 STAD 협동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적용한다. 둘째,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한 수업이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학생들의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수학과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설계한다. 둘째,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한 수업이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본 연구에서 조사한다.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 할 수 있다.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한 수업을 한 집단과 전통적인 교과서 위주의 설명식 수업을 한 집단을 서로 비교 분석하여 본 결과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한 수업을 한 집단에서 수학적 성향과 학습태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밝혔다.

공업교원양성교육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초임 교사의 인식 (The Novice Teacher's Perception of Good College Instructional Practice in the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 함승연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72-79
    • /
    • 2010
  • 공업에 관한 전문교과 이론뿐만 아니라 실습 교육을 담당하는 공업계 교사를 양성하는 공업교원양성교육은 보통교과 교원양성교육과는 차별화된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공업교원양성교육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대학에서 공업교육양성교육의 기억이 비교적 뚜렷하고 현직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로서 교직 경험이 3년 이내인 초임 교사를 대상으로 면접법을 실시하였다. 공업교원양성교육은 사범대학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거나 부전공 및 복수전공을 통하여 교원자격을 취득하거나, 공과대학 등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거나, 교육대학원 등에서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세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공업교원양성교육에서 좋은 수업을 세 가지 경우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사범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은 공업계교사가 되어서 학교 현장에 많은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실습수업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과대학의 교직과정 이수에서의 좋은 수업은 소수의 교직이수자를 배려한 공학 전공 수업, 교과목에 타당한 교직과목 수업,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실습교육 등이 좋은 수업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대학원에서의 좋은 수업이란 학부 전공이 다른 학생들의 전공을 고려한 수업, 교원임용고사에 도움이 되며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실질적인 실습 위주의 수업 등으로 나타났다.

  • PDF

진로 교육 자료의 중학교 가정과 수업에의 적용 연구 (A Study n the Application of Career Education Materials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Instruction)

  • 강인애;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3-120
    • /
    • 1993
  • This study in order to seek for a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 I am to propose a measure that the career education material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 program produced already could be applicable on the class and to understand the efficiency by examining practically it to the student. The research method was to make up a questionnaire and gaze two kinds of educational effect. The procedure was that, after surveying the general features in order to help them known their consciousness on the career education Researcher practiced common theorectical teaching on comparative class and moduling teaching on comparative class through making a guiding data. Then Researcher analysed the changing o consciousness on career, knowledge on kinds and numbers of jobs, and the results and rate of interest in the teaching with persentage and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on the consciousness on career, both group showed little change on their wishful job between before and after teaching. On the purpose to get a job, consciousness on work and job, and fixed idea of job on gender, there were some changes, but both groups had few defferences in the changing rate. Second on the consciousness on work and job experimental group recognized the variety of job more than comparative group and wrote more hind of job. Third on the evaluating result, the record of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Fourth, on the rate of interesting in learning the rate of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As observed the class applied by the module of female career education is effective, sinc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consciousness on work and job, evaluation of record after teaching and the rat of interesting in learning, thr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nsciousness of the career.

  • PDF

개념 학습에서 변칙 사례의 역할 (The Role of Anomalous Data in Concept Learning)

  • 노태희;정은희;강석진;한재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86-594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끓는점 학습에서 인지 갈등, 상태 흥미, 개념 변화 사이의 관계를 조사했다. 또한, 이들 관계에서 성에 따른 차이도 조사했다. 중학교 1학년 학생 370명이 본 연구에 참여했다. 먼저, 학습된 오개념을 지닌 학생을 선별하기 위해 선개념 검사를 실시했다. 변칙 사례를 제시한 후, 변칙 사례에 대한 반응 검사와 상태 흥미 검사를 실시했다. CAI 프로그램으로 수업 처치를 한 후, 직후 개념 검사를 실시했다. 4주 후에 동일한 검사지로 개념 파지 검사를 실시했다. 인지 갈등과 상태 흥미 검사 점수는 모두 직후 개념 검사 및 개념 파지 검사 점수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중다 회귀 분석 결과, 상태 흥미가 인지 갈등 보다 개념 변화 및 개념 파지 정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에는 상태 흥미만이 개념 변화 및 개념 파지에 대해 유의미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으나, 여학생의 경우에는 인지 갈등만이 유의미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