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abilities

검색결과 512건 처리시간 0.034초

Long-Term Science Goals with In Situ Observations at the Sun-Earth Lagrange Point L4

  • Dae-Young Lee;Rok-Soon Kim;Kyung-Eun Choi;Jungjoon Seough;Junga Hwang;Dooyoung Choi;Ji-Hyeon Yoo;Seunguk Lee;Sung Jun Noh;Jongho Seon;Kyung-Suk Cho;Kwangsun Ryu;Khan-Hyuk Kim;Jong-Dae Sohn;Jae-Young Kwak;Peter H. Yoo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41권1호
    • /
    • pp.1-15
    • /
    • 2024
  • The Korean heliospheric community, led by the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is currently assessing the viability of deploying a spacecraft at the Sun-Earth Lagrange Point L4 in collaboration with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The aim of this mission is to utilize a combination of remote sensing and in situ instruments for comprehensive observations, complementing the capabilities of the L1 and L5 observatories. The paper outlines longterm scientific objectives, underscoring the significance of multi-point in-situ observations to better understand critical heliospheric phenomena. These include coronal mass ejections, magnetic flux ropes, heliospheric current sheets, kinetic waves and instabilities, suprathermal electrons and solar energetic particle events, as well as remote detection of solar radiation phenomena. Furthermore, the mission's significance in advancing space weather prediction and space radiation exposure assessment models through the integration of L4 observations is discussed. This article is concluded with an emphasis on the potential of L4 observations to propel advancements in heliospheric science.

Latarjet operation carries three times the risk of failure in seizure versus non-seizure recurrent anterior dislocation of the shoulder joint: outcome of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 Alok Rai;Dushyant Chouhan;Sandeep Kumar Nema;Arkesh Madegowda;Rudra Narayan;Bikram K. Kar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7권2호
    • /
    • pp.160-168
    • /
    • 2024
  • Background: Recurrent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RASD) in cases of seizure disorders (SDs) total 50%-80% of all SD-associated shoulder instabilities. Based on the extent of bone loss, treatment options include bony and soft-tissue reconstructions, arthroplasty, and arthrodesi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aper was to review the treatment options for RASD in SDs. Methods: Several bibliographic databases were searched for RASD treatment options in SD patients. The demographic outcome measures, the failure rate (defined as the relative risk of recurrence of dislocation postoperation), and the postoperative seizure recurrence rate were recorded. Results: We pooled 171 cases (187 shoulders) from 11 studies. Of these, one, five, two, two, and one reports studied Bankart's operation with remplissage (27 cases/29 shoulders), the Latarjet procedure (106/118), bone block operation (21/23), arthroplasty (11/11), and arthrodesis (6/6), respectively, in treating SD-associated RASD. The relative risk of failure between SD and non-SD patients was 3.76 (1.36-10.38) after the Latarjet operation. The failure rates were 17% and 13% for Bankart's operation with remplissage and the Latarjet procedure in SD patients, respectively, but 0% each for bone block operation, arthroplasty, and arthrodesis. The total rate of seizure recurrence after operation was 33% of the pooled cases. Conclusions: SD recurrence in the postoperative period, the size of the bone block, and the muscular attachments to a small coracoid autograft are the determinants of failure among various reconstructive operations in SD-associated RASD.

사지구제술에서 언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이 유용한가? (When do we use the Recycling Autograft in Limb Salvage Surgery?)

  • 김재도;장재호;조율;김지연;정소학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5-105
    • /
    • 2008
  • 목적: 악성 근골격계 종양의 치료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을 이용하는 사지구제술에서 종양의 절제 및 재건 방법과 자가골의 재활용 처치 방법에 따라 그 유용성과 임상적 적용에 대하여 후향적 조사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는 1995년 12월에서 2006년 2월까지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한 58례의 악성 근골격계 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이는 평균 36.5세(5~74세)였고, 성별은 남자가 34례, 여자가 24례였다. 58례 중 47례는 체외 방사선 조사(extracorporeal irradiation)를 시행하였고 11례는 저온 열처리(pasteurization)를 하였다. 재활용 자가골의 절제 및 재건 방법은 조각삽입(fragmentary) 3례, 분절삽입(intercalary) 8례, 골연골 삽입(osteoarticular) 18례,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recycling-autograft-prosthesis composite) 23례, 전 관절(total joint) 5례,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1례였다. 결과는 절제 및 재건 방법과 자가골의 재활용 처치 방법에 따라 방사선학적 유합과 기능적인 평가(Musculoskeletal Tumor Society)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고 각각의 합병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접합부의 유합은 체외 방사선 조사에서 15.0개월, 저온 열처리에서 12.6개월로 관찰되었다. 절제 방법에 따라 분절삽입 12.8개월, 조각삽입 6.0개월,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 10.0개월, 골연골 삽입 23.3개월, 전 관절 15.6개월로 관찰되었다. 기능적 결과 점수는 체외 방사선 조사에서 59.6%, 저온 열처리에서 63.5%였고 절제 방법에 따라 분절삽입 60.8%, 조각삽입 65.5%,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골반제외) 62.8%, 골연골 삽입 66.0%, 전 관절 이식 66.6%였다. 저온 열처리에서 합병증은 2례(18.1%)로 감염 1례, 비구 돌출 1례가 관찰되었고 체외 방사선 조사에서 22례(46.8%)의 합병증(심부 감염 3례, 불유합 8례, 골절 2례, 성장판 문제 2례, 관절 불안정성 5례, 국소 재발 2례)이 발생하였다. 절제 및 재건 방법에 따라 분절삽입에서 불유합 3례(37.5%), 자가골-종양대치물에서 합병증 9례(50.0%, 불유합 4례, 심부감염 1례, 종양대치물 주위 골절 1례, 성장판 문제 1례, 국소재발 1례, 비구 돌출 1례), 골연골 삽입에서 합병증 6례(33.3%, 심부감염 2례, 불유합 2례, 성장판 문제 1례, 병적 골절 1례), 전 관절 이식에서 합병증 5례(100%, 관절 불안정성 5례), 아킬레스건에서 국소재발 1례(100%)가 발생하였다. 결론: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의 유용성은 절제 및 재건 방법에 따라서 조각 및 분절 재건술이 사지의 기능이 우수하고 접합부의 빠른 유합을 보여 가장 좋은 적응증으로 사료되며, 자가골-종양 대치물 복합체의 재건술에서는 절제 후 남은 골이 부족할 때 종양 대치물의 안정성을 위해 고려해 볼 만하다. 자가골의 재활용 처치 방법에서는 저온 열처리법이 체외 방사선 조사법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강 사장교 가설 중 임시 제진방법에 대한 풍동실험 연구 (Wind Tunnel Aeroelastic Studies of Steel Cable-stayed Bridge with Wind Cable and Temporary Support)

  • 조재영;심종한;이학은;권오훈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33-45
    • /
    • 2006
  • 일반적으로 사장교와 같은 장대교량은 완성 후에 비하여 시공 중 바람에 흔들리기 쉬어 내풍 안정성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완공상태에서 충분한 내풍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더라도 시공단계에서는 설계풍속 이하에서 플러터 등의 공기역학적 진동현상 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설공법이 결정되면 반드시 풍동실험을 능한 적절한 제진 대책 안을 입안해 두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설단계를 고려한 3차원 전교모형실험을 통하여 주경간이 500m인 사장교의 공기역학적 거동을 살펴보았다. 작업 중에 안정성 확보가 중요한 밸런스드 캔틸레버 상태인 가설단계 50% 에서 내풍케이블 및 가설벤트를 이용한 4가지 제진 대책방안을 수립하여 각각에 대하여 내풍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각 설치방안 별 제진효과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검토 범위 내에서 사장교 시공 중 가장 효율적인 임시 제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밸런스드 캔틸레버 상태와의 내풍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완성계와 제진 대책이 없는 주경간 폐합전의 프리캔틸레버 상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동기 경계선 장애 : 8증례 (BORDERLINE DISORDER OF CHILDHOOD : 8 CASES)

  • 홍강의;이정섭;신민섭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6권1호
    • /
    • pp.3-17
    • /
    • 1995
  • 아동에서의 경계선 장애는 현실감각의 불안정, 대인관계의 장애, 충동조절의 장애, 심한 기능의 변동, 발달상의 불균형, 불안등을 보이며 현재의 진단 체계로는 진단하기 어려운 환아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Bemporad등과 Vera등이 제안한 '경계선 아동'에 부합하는 7세에서 11세 사이의 8명의 소아정신과를 내원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37개의 병인들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상적인 특징으로는 모든 환아들이 다 남아였으며, 현재의 진단체계에서는 진단을 내리기가 어려웠고, 공존정신과적인 진단이 많았다. 주소는 산만하고 또래와 어울리지 못한다는 것이 많았다. 현실과 환상사이의 경계가 불명확한 것과 사고의 장애가 특징적인 증상이었다. 2) 심리학적 및 신경생리학 검사상 지능은 보통수준이었으며, 동작성 지능이 언어성 지능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었다. 투사법 검사에서는 사고 장애의 지표는 보였으며,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공격성이 심하였다. 반수에서 주의력 검사상 주의력결핍을 시사하였다. 기질적인 요인은 뚜렷하지 않았다. 3) 발달력 및 가족력상 원하지 않았던 아이가 많았고, 주 양육자는 어머니였으나, 양육방식에 중등도의 문제가 있었다. 부모간에 불화가 많았고, 사회 경제적으로는 중하가 많았다. 언어발달은 대부분에서 지연이 되었거나, 성장하면서 점차로 정상이 되었다. 공격적이어서 또래들로 부터 따돌림을 많이 받았다. 4) 치료 및 경과상 6세경에 처음 병원에 방문하였으며, 평균 치료 기간은 2년이었고, 주로 외래에서 치료를 받았다.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은 뚜렷하지 않았으며, 장기 놀이치료의 필요성이 암시되었다. 본 연구 방법에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으나 앞으로 이 장애의 명확한 진단 기준을 확립하고 역학 및 치료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급확대관내에서 류유선회유동의 열전달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Turbulent Swirling Flow and Heat Transfer Downstream of an Abrupt Expansion in a Circulat Pipe with Uniform Heat Flux)

  • 권기린;허종철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38-152
    • /
    • 1996
  • Many studies of heat transfer on the swirling flow or unswirled flow in a abrupt pipe expansion are widely carried out. The mechanism is not fully found evidently due to the instabilities of flow in a sudden change of the shape and appearance of turbulent shear layers in a recirculation region and secondary vortex near the cor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data through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swirling flow and heat transfer downstream of an abrupt expansion in a circular pipe with uniform heat flux.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for the turbulent flow nd heat transfer downstream of an abrupt circular pipe expansion. The uniform heat flux condition was imposed to the downstream of the abrupt expansion by using an electrically heated pipe. Experimental data are presented for local heat transfer rates and local axial velocities in the tube downstream of an abrupt 3:1 & 2:1 expansion. Air was used as the working fluid in the upstream tube, the Reynolds number was varied from 60, 00 to 120, 000 and the swirl number range (based on the swirl chamber geometry, i.e. L/d ratio) in which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ere L/d=0, 8 and 16. Axial velocity increased rapidly at r/R=0.35 in the abrupt concentric expansion turbulent flow through the test tube in unswirled flow. It showed that with increasing axial distance the highest axial velocities move toward the tube wall in the case of the swirling flow abrupt expansion. A uniform wall heat flux boundary condition was employed, which resulted in wall-to-bulk temperatures ranging from 24.deg. C to 71.deg. C. In swirling flow, the wall temperature showed a greater increase at L/d=16 than any other L/d. The bulk temperature showed a minimum value at the pipe inlet, it also exhibited a linear increase with axial distance along the pipe. As swirl intensity increased, the location of peak Nu numbers was observed to shift from 4 to 1 step heights downstream of the expansion. This upstream movement of the maximum Nusselt number was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its magnitude from 2.2 to 8.8 times larger than fully developed tube flow values.

  • PDF

PEMFCB금속분리판 코팅 기술 개발 : I. 표면 및 부식 특성 평가 (Development of Surface Coating Technology fey Metallic Bipolar Plate in PEMFC : I. Study on Surface and Corrosion Properties)

  • 정경우;김세융;양유창;안승균;전유택;나상묵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8-351
    • /
    • 2006
  • Bipolar plate, which forms about 50% of the stack cost, is an important core part with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n PEMFC. Bipolar plates have been commonly fabricated from graphite meterial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orrosion resistance. Lately, many researchers have concentrated their efforts on the development of metallic bipolar plate and stainless steel has been considered as a potential material for metallic bipolar plate because of its high strength, chemical stability, low gas permeability and applicability to mass production. However, it has been reported that its inadequate corrosion behavior under PEMFC environment lead to a deterioration of membrane by dissolved metal ions and an increase in contact resistance by the growth of passive film therefore, its corrosion resistance as well as contact resistance must be improved for bipolar plate application. In this work, several types of coating were applied to 316L and their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orrosion resistance were evaluated In the simulated PEMFC environment. Application of coating gave rise to low interfacial contact resistances below $19m{\Omega}cm^2$ under the compress force of $150N/cm^2$. It also made the corrosion potential to shift in the posit ive direct ion by 0.3V or above and decreased the corrosion current from ca. $9{\mu}A/cm^2$ to ca. $0.5{\mu}A/cm^2$ in the mixed solution of $0.1N\;N_2SO_4$ and 2ppm HF A coat ing layer under potentiostatic control of 0.6V and $0.75V_{SCE}$ for 500 hours or longer showed some instabilities,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 in coat Ing layer were observed from Impedance data. In addition, the corrosion current maintained less than $1{\mu}A/cm^2$ for most of time for potentiostatic tests. It indicates that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orrosion resistance can be obtained by application of coatings in the present work.

  • PDF

광범위한 Hill-Sachs 병변에서 Remplissage 술기를 이용한 관절경적 재건술 - 최소 6개월 이상 추시 결과 - (Arthroscopic Stabilization Using Remplissage Technique In Recurrent Shoulder Instability with Large Hill-Sachs Lesion - Minimum Six Months Follow-Up Results -)

  • 고상훈;정광환;전형민;박한창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47-52
    • /
    • 2010
  • 목적: 재발성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관절경 하 후방 관절낭 유합술과 극하근 건 고정술로 이루어진 'Remplissage' 술기를 이용한 Hill-Sachs 병변 복원술을 시행 후 최소 6개월 이상 추시가가능하였던 환자들의 견관절의 안정성 및 임상적,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2008년 8월부터 2009년 8월까지 본원에서 시술된 'Remplissage' 술기를 시행하였던 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28.6세였으며 전 례에서 남성이었고, 평균 추시 기간은 10개월이었다. 평가는 견관절의 운동 범위, ASES 점수, KSSI 점수, ROWE 점수, 그리고 술 후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포함하였다. 결과: 술 후 평균 10개월에 견관절 기능적 평가에서 ASES 점수는 술 전 평균 51.4점에서 술 후 평균 76.8점으로, KSSI 점수는 술 전 평균 46.5점에서 술 후 평균 76점으로, ROWE 점수는 술 전 평균 43.5점에서 술 후 평균 76.3점으로 각각 향상되었고, 모든 환자에서 견관절 운동범위는 전방 거상 170도 이상이었으며, 외회전은 45도 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 광범위한 Hill-Sachs 병변이 동반된 재발성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Remplissage' 술기를 시행 후 6개월 이상 추시 결과 견관절의 안정성 및 임상적,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요추부 불안정증의 방사선학적 소견 (Lumbar Spinal Instability and Its Radiologic Findings)

  • 양경훈;김남규;김영수;고용;오성훈;오석전;김광명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호
    • /
    • pp.78-86
    • /
    • 2000
  • Objective : Lumbar spinal instability occurs when normal biomechanics support in lumbar vertebrae interrupted. Despite the recent enthusiastic studies, the precise radiological assessment has not been fully established, yet. Therefore, we carefully studied our cases to analyze the radiologic findings in lumbar spinal instability. Patients and Methods : We have put together radiological analysis and assessment based on 38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and treated for lumbar spinal instabilities from June 1994 to December 1998,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and treated for trauma were excluded from study. Results : The outcomes are as follows : 1) Lumbar lordotic curv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unstable group by 23.7,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17.0^{\circ}$). 2) According to the resting x-ray, sagittal plane angulation measured on unstable group was $21.1^{\circ}$, control group $18.0^{\circ}$. Therefore unstable group was noticeably higher(p<0.01). 3) According to the resting x-ray sagittal plane displacement, unstable group had 4.3mm, the comparison had 1.2mm. Therefore measurement from the unstabl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p<0.01). 4) According to stress view, sagittal plane translation was 4.1mm for the unstables and 2.7mm for the comparisons. Therefore unstables were noticeably higher(p<0.01). 5) According to stress view, sagittal plane rotation was $15.1^{\circ}$ at L3-4, $22.0^{\circ}$ at L4-5, $27.9^{\circ}$ at L5S1 for the unstable group and $11.3^{\circ}$, $18.1^{\circ}$, $21.0^{\circ}$ each for the comparison. 6) Facet angle for unstable group, left $29.3^{\circ}-61.5^{\circ}$, right $24.4^{\circ}-63.2^{\circ}$ and the mean for each are $43.1^{\circ}$, $47.2^{\circ}$. The difference between left and right facet angle was $3.5^{\circ}-20.7^{\circ}$ and the mean value $15.3^{\circ}$. Facet angle for the comparisons for the left was $29.3^{\circ}-59.5^{\circ}$, right was in between $25.7^{\circ}-64.5^{\circ}$ range and the each mean are $44.9^{\circ}$ and $47.6^{\circ}$. Also, the difference between left and right facet angle was $4.1^{\circ}-9.3^{\circ}$ and the average was $17.1^{\circ}$. The averag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angle are found not to have statistic necessity for both unstable and stable measurements(p>0.01). 7) 19 patients were found to have vacuum facet phenomenon among unstable group etc. results were collected. Conclusion : According to above results, we attempted to prepare the application to the patient of radiological analysis and assessment for lumbar spinal instability early checkup.

  • PDF

대향류 확산화염에서 맥동 불안정성의 비선형 거동에 대한 수치해석 (Numerical Simulations of Nonlinear Behaviors of Pulsating Instabilities in Counterflow Diffusion Flames)

  • 이수룡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9호
    • /
    • pp.859-866
    • /
    • 2010
  • 대향류 확산화염에서 확산-전도 불안정성에 의한 맥동불안정성의 비선형 거동을 수치 해석적으로 연구하였다. Lewis 수를 1보다 충분히 크게 두고 일차원 준정상상태의 화염의 해로부터 Damkohler 수를 섭동시켜 시간에 따른 화염의 전개를 계산하였다. 맥동 불안정성에 의한 비선형 화염전개는 세 가지 다른 형태, 즉 교란이 점점 감소되는 경우, 교란이 증폭되어 안정된 주기적 진동이 일어나는 경우, 그리고 교란이 계속 증폭되어 화염이 소염되는 경우 등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치를 받지 않는 화염의 결과와 달리 대향류 유동장의 화염에서는 안정된 한계순환 맥동 불안정이 존재하였다. 세 가지 다른 형태의 화염 전개를 보이는 임계 Damkohler 수를 계산하여 동적 소염이 일어나는 영역을 표시하였고, 이는 층류소화염의 국소소염 계산에 이용될 수 있다. 불안정성이 나타나는 갈래질의 구조는 초임계 및 임계이하 Hopf 갈래질로 나타났다. 특정한 Damkohler 수의 영역에서 안정된 한계 순환 갈래질이 나타났으며, 화염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영역이 축소되어 안정된 한계순환이 일어나는 영역은 사라지고 불안정한 한계순환 갈래질이 나타났다. 안정된 한계순환 영역이 확장되는 영역이 존재하며, 이는 단순한 한계순환 불안정성이 주기배증에 의한 Rossler 갈래질이 나타나면서 한계 영역이 확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