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ct toxicity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3초

다양한 과일나무에서 유래된 추출물의 농업해충 및 저장물해충에 대한 살충활성 (Toxicity of various fruit tree extracts to five agricultural and four stored-product anthropod pests)

  • 이상계;박병수;이성은;손재권;송철;이회선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7-32
    • /
    • 2001
  • 17과일의 43가지 부위의 메탄을 추출물을 대상으로 5종의 주요 농업해충 및 4종의 저장물 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를 조사한 효과는 과일류의 종류 및 해충의 종류에 따라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5,000 ppm 농도에서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10종의 시료를 2,500 ppm에서 살충효과를 검정하였다. 모과와 석류씨가 벼멸구, 포도씨가 복숭아혹진딧물, 유자, 자몽, 메론, 감, 사과, 복숭아, 포도씨가 배추좀나방, 모과씨가 담배거세미나방, 모과와 포도 추출물이 점박이응애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4종의 저장물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는 50 ppm의 농도로 처리할 때 모과 및 포도 추출물이 쌀바구미, 모과, 유자, 감 및 포도 추출물이 팥바구미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화랑곡나방와 궐련벌레에 대하여는 사용된 과일류의 추출물이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복숭아혹진딧물, 벼멸구, 배추좀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및 점박이응애에 높은 방제효과를 보인 상기과일류 추출물들은 농업해충 방제제로서 사용 가능성이 예상되었으며, 또한 쌀바구미와 팥바구미에 강한 살충효과를 보인 추출물은 저장물해충방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토마토 반촉성 시설 재배에서 천적중심 온실가루이와 총채벌레 관리모델 (Greenhouse Whitefly and Thrips Management Model Using Natural Enemies in Semi-forcing Culture of Tomato)

  • 정태성;황미란;황세정;이재홍;이안수;원헌섭;홍대기;조점래;함은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03-412
    • /
    • 2017
  • 춘천지역 농가 및 강원도농업기술원 내 시험포장에서 반촉성재배토마토(2~6월)에서 트랩을 이용한 주요 해충의 발생밀도와 천적 등을 이용한 방제효과를 조사 하였다. 토마토 재배농가에서 주로 사용하는 약제와 유기농자재의 천적곤충에 대한 독성평가도 수행하였다. 반촉성재배 시 발생되는 주요 해충은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와 총채벌레류이었다. 온실가루이의 경우 4월 중순경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5월 중순 이후 발생이 증가하였고, 총채벌레류는 4월 상순 경 발생을 시작하여 6월 이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독성약제 선발시험을 통해 온실가루이와 총채벌레의 천적인 온실가루이좀벌과 미끌애꽃노린재에 대해 60% 이하의 독성을 보이는 살충제 1종(spiromesifen SC), 살균제 1종(cyazofamid SC) 및 님 추출물이 함유된 유기농자재 외 1종을 선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제시한 천적중심 관리모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토마토 반촉성 시설재배 시 온실가루이와 총채벌레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친환경 살충제로서의 곤충 유충호르몬 길항제 (Insect Juvenile Hormone Antagonists as Eco-friendly Insecticides)

  • 최재영;제연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01-108
    • /
    • 2022
  • 곤충생장조절제(IGR)은 대상 해충에 대한 특이성이 높고 환경에 대한 독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장점으로 유기합성 살충제를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수단으로 여겨진다. 현재 시판되는 곤충생장조절제는 작용 기작에 따라 유충호르몬 작용제(JHA), 탈피호르몬 작용제(EA) 및 키틴 합성 저해제(CSI)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최근 들어, 이집트숲모기의 Met과 FISC/CYC 유전자를 yeast two-hybrid system에 도입하여 유충호르몬에 의해 매개되는 Met과 FISC/CYC의 결합을 in vitro에서 구현하였으며, yeast two-hybrid β-galactosidase assay를 통하여 식물과 미생물 및 화합물 library로부터 다양한 유충호르몬 길항제(JHAN)가 분리되고 있다. 유충호르몬은 곤충의 발달, 생식, 휴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생리 작용을 조절하기 때문에, 유충호르몬 길항제는 대상 해충의 내분비 신호 전달을 방해하여 비정상적인 발달 및 유충 단계에서의 치사를 초래하며, 이는 유충호르몬 길항제가 넓은 기주 범위를 가진 살충제 개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충호르몬 길항제의 작용점인 Met에 의해 매개되는 유충호르몬의 신호 전달 체계와 친환경 살충제로서의 유충호르몬 길항제의 전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새뱅이 (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De Haan ) 의 유생 발생을 통한 수종 살충제 독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xicity of several pesticides on larval development of shrimp cardina denticulata denticulata de haan)

  • Kim, Chang-Hy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3호
    • /
    • pp.257-265
    • /
    • 1992
  • The effects of insecticide dimilin including the technical grade(tg) and wettable power(wp-25), inhibiting the synthesis of chitin in the cuticle of insect larvae, and herbicides alachlor and atrazine on the development of shrimp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were investigated in various concentrations. This species is abundant in the freshwater such as river and pond. The shrimp larvae were reared at dimilin solutions(tg and wp 2), alachlor solutions, and atrazin solutions. the concentrations of dimiline were 0, 1, 5, 10 and 25 ppb dimilin solutions, and those of alachlor and atrazin were 0, 1, 5, 10 and 25ppm, respectively.mortality was high at 10 ppb when the larvae were exposed to dimilin and at 25ppm in the case of alachlor and atranzine solutions. If lethal concentration is defined as a concentration in which less than 10% of larvae to the post larval stage from hatching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ethal concentration of dimilin is 5ppb, and that of alachlor and atrazin is 25 ppm.

  • PDF

Steinernema carpocapsae로부터 분리된 Xenorhabdus nematophilus에 의한 살충물질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 (Optimal Cultur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Insecticidal Toxin by Xenorhabdus nematophilus Isolated from Steinernema carpocapsae)

  • 유연수;박선호
    • KSBB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100-105
    • /
    • 2000
  • 국내에서 서식하고 있는 곤충병원성 선충 Stemernema Carpocapsae로 부터 분리$\cdot$동정된 Xenorhabdus nematophilus를 대상으로 최적배지조성과 배양조건, 상변화 특성 및 곤충 독성물질 역기를 조사하였다. 균주의 최적배치 조성은 50-70g/L yeast extract, 3 g/L $K_{2}HPO_{4}$, 1g/L $NH_{4}H_{2}PO_{4}$, 2g/L ${MgSO}_4$$\cdot$${7H}_{2}O$,10g/L NaCl 이였으며, yeast extract의 농도가 균주성장 제한인자로 작용하였다. Yeast extract 농도에 대한 비성장속도의 의존도를 Monod equation을 가정하여 비교해 본 결과, 최대 비성장속도는 0.13 $ht^{-1}$이고 Monod 상수값은 20 g/L였다. 배양 배치의 pH는 초기 6-7에 관계없이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서 약 8.5-9.5까지 증가하였으며, 7L fermentor배양에서는 균주의 비성장속도가 약 0.18 $ht^{-1}$로 flask배양보다 1.4배 더 증가하였다. 상변화의 경우 정지기에서도 fermentor배양과 flask배양 모두 약 90% 이상 phase I이 유지되었다. 한편 꿀벌부채명 나방에 대한 구강독성을 시험해 본 결과, X. nematophilus 균주를 유충사료에 첨가하면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의 정상적인 성장을 저해하였으며, 20여일 경과 후 완전히 유충을 사멸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배양 상등액을 유충에 직접 주사하였을 때 배양 24 시간인 지수성장기 초기에 가장 독성이 강하였으며,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독성이 점차 감소하였다.

  • PDF

미국흰불나방과 이화명나방에 관한 곤충 발육 저해제의 독성연구 I. 령기별 살충력 효과 비교 (Studies on the Toxicity of Insect Growth Regulators against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Drury) and the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I. comparisons of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Various Instar Stages)

  • 이인환;이형래;김정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1-87
    • /
    • 1994
  • 본 실험은 미국흰불나방 (Hyphantria cunea Drury)과 이화명나방 (Chilo suppressalis Walker)에 대한 chlorflyazuron, diflubenzuron, pyiproxyfen 과 tebufenozide 와 같은 IGRs의 독성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미국흰불나방에서, 1령충의 {{{{ { LC}_{50 } }}}}치 (ppm)기준 2령충~5령충의 내성비 범위는 chlorflua-zuron, diflubenzur on, pyriproxyfen과 tebufenozide에서 각각 1.07~3.58, 1.13~6.06, 1.02~3.23, 1.05~6.64이었다. 이화명나방에서, 1령충에 대한 3령충의{{{{ { LC}_{50 } }}}}치 (p pm)의 내성비는 chlorflua-zuron, diflubenzuron, pyriproxyfen과 tebufenozide에서 각각 2.86, 2.60, 19.80, 15.30이었다.

  • PDF

Construction of a Novel Recombinant Baculovirus Producing Polyhedra with a Bacillus thuringiensis Cry1Ac Crystal Protein

  • Je, Yeon-Ho;Jin, Byung-Rae;Roh, Jong-Yul;Chang, Jin-Hee;Kang, Seok-Kwon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45-153
    • /
    • 1999
  • We have now constructed a novel recombinant baculovirus Autographa californica nuclear polyhedrosis virus (AcNPV) producing polyhedra with Bacillus thuringiensis (Bt) CryIAc crystal protein. The recombinant polyhedra produced by the recombinant baculovirus, Btrus, in insect cells was characterized. The recombinant baculovirus has two independent transcription units in opposite orientations with two promoters, p10 or polyhedrin gene promoter each initiating transcription of either native polyhedrin or fusion protein with polyhedrin and Bt Cry1Ac crystal protein. Surprisingly, this recombinant baculovirus stably produced recombinant polyhedra which were nearly similar to those of wild-type AcNPV. The immunogold staining experiment showed that the recombinant polyhedra were assembled with polyhedrin and Bt Cry1Ac crystal protein, and contained virus particles. Insecticidal toxicity of recombinant polyhedra of Btrus to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was strikingly improved in comparison with the wild-type AcNPV.

  • PDF

Bacillus thuringiensis as a Specific, Safe, and Effective Tool for Insect Pest Control

  • Roh, Jong-Yul;Choi, Jae-Young;Li, Ming-Sung;Jin, Byung-Rae;Je, Yeon-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547-559
    • /
    • 2007
  • Bacillus thuringiensis (Bt) was first described by Berliner [10] when he isolated a Bacillus species from the Mediterranean flour moth, Anagasta kuehniella, and named it after the province Thuringia in Germany where the infected moth was found. Although this was the first description under the name B. thuringiensis, it was not the first isolation. In 1901, a Japanese biologist, Ishiwata Shigetane, discovered a previously undescribed bacterium as the causative agent of a disease afflicting silkworms. Bt was originally considered a risk for silkworm rearing but it has become the heart of microbial insect control. The earliest commercial production began in France in 1938, under the name Sporeine [72]. A resurgence of interest in Bt has been attributed to Edward Steinhaus [105], who obtained a culture in 1942 and attracted attention to the potential of Bt through his subsequent studies. In 1956, T. Angus [3] demonstrated that the crystalline protein inclusions formed in the course of sporulation were responsible for the insecticidal action of Bt. By the early 1980's, Gonzalez et al. [48] revealed that the genes coding for crystal proteins were localized on transmissible plasmids, using a plasmid curing technique, and Schnepf and Whiteley [103] first cloned and characterized the genes coding for crystal proteins that had toxicity to larvae of the tobacco hornworm, from plasmid DNA of Bt subsp. kurstaki HD-1. This first cloning was followed quickly by the cloning of many other cry genes and eventually led to the development of Bt transgenic plants. In the 1980s, several scientists successively demonstrated that plants can be genetically engineered, and finally, Bt cotton reached the market in 1996 [104].

Bacillus thuringiensis 유래 Vip3Aa 단백질 순수분리 및 꿀벌 (Apis mellifera)에 대한 위해성평가 (Purification and risk assessment of Bacillus thuringiensis Vip3Aa protein against Apis mellifera)

  • 정영준;유수향;이중로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585-591
    • /
    • 2019
  • 본 연구는 LMO 유전산물의 위해성평가를 위해 바실러스로부터 증폭된 Vip3Aa 유전자를 이용하여 대장균에서 단백질 순수분리 하였으며, MALDI-TOP 분석법을 통해 기존의 알려진 살충성 Vip3Aa 단백질과 동등한 단백질임을 증명하였다. 순수 분리한 Vip3Aa 단백질을 이용하여 꿀벌 과독성 급성섭식독성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군, Hepes buffer, Vip3Aa 단백질 처리군 모두 치사 및 일반 중독증상을 보이는 개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통해 Vip3Aa 단백질은 꿀벌에 위해성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 LMO 유전자 산물 위해성평가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Impact of vitamin-A-enhanced transgenic soybeans on above-ground non-target arthropods in Korea

  • Sung-Dug, Oh;Kihun, Ha;Soo-Yun, Park;Seong-Kon, Lee;Do won, Yun;Kijong, Lee;Sang Jae, Suh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4호
    • /
    • pp.875-890
    • /
    • 2021
  • In order to confirm the safety of a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we assess its potential toxicity on non-target insects and spider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GM soybean, a type of vitamin-A-enhanced transgenic soybean with tolerance to the herbicide glufosinate, were assessed under a field condition. The study compared this vitamin-A-enhanced transgenic soybean and a non-GM soybean (Gwangan) in a living modified organism (LMO) isolated field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Gunwi) and the National Institute Agricultural Sciences (Jeonju) in the Republic of Korea in 2019 - 2020. In total, 207,760 individual insects and arachnids, representing 81 families and 13 orders,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From the two types of soybean fields, corresponding totals of 105,765 and 101,995 individuals from the vitamin-A-enhanced transgenic soybean and Gwangan samples areas were collected. An analysis of variance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A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dominance and richness outcomes of plant-dwelling insects were similar. The data on insect species population densities were subjected to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an orthogonal partial least squares-discriminant analysis (OPLS-DA), which did not distinguish between the two varieties, i.e., the vitamin-A-enhanced transgenic soybean and the non-GM soybean in any cultivated field. However, the results of the PCA analysis could be divided overall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yearly survey areas. Therefore, there was no evidence for the different impact of vitamin A-enhanced transgenic soybean on the above-ground insects and spiders compared to non-GM soyb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