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quiry-based learning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23초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실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 안주송;박재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1호
    • /
    • pp.61-7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lementation for the emphasis on the revision, major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arried out a survey with 222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y highly agreed to the increase in class hours and the application of subject classroom, but they had a lower recognition for setting the subject groups. Second, the degree of necessity in discussion and STS was relatively high, but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in science writing, discussion and STEAM was low. Third,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y showed a high performance for mutual cooperation, student-led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but, a low implementation for open inquiry and instruction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Fourth, in the evaluation of science learning, they showed a high implementation for evaluation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one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basic concepts, but, a low implement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mmon evaluation tools. Fifth, it seemed that their recognition for amount, level and interest of science contents and inquiry activities was appropriate and positive.

시스템 이론에 기반 한 긍정탐색(appreciative inquiry)프로세스 재구조화 : 지속가능한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방법론으로 (A Study on the Restructuring of Appreciative inquiry process based on Systems theory : Finding a way for a sustainable school community)

  • 박수홍;김효정;박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180-3187
    • /
    • 2015
  • 긍정탐색은 기존 학교 조직에 구성원들의 저항을 최소화 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학교공동체 형성이라는 주제는 긍정탐색 프로그램을 도입하기에 적절하다. 그러나 긍정탐색법이 지속가능한 학교 공동체 형성을 위한 방법론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들이 필요할 때 적용할 수 있도록 4D 프로세스를 재구성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이론에서 제안하고 있는 프로세스의 전체성, 연동성에 기반하여 학습자의 핵심 활동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하는 7단계의 학습자 핵심학습활동 중심의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주제선정, 성공 스토리 탐색을 위한 인터뷰하기, 성공 스토리 분석 및 핵심가치 도출, 조직의 미래모습 도출, 조직의 미래모습을 구체화하여 공유하기, 이상적인 미래조직 설계하기, 실현하기가 그것이다. 제안한 프로세스는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후속 연구를 통해 교수설계를 실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점검하고, 지속적인 문헌 연구와 전문가 검토를 통해 제안한 학습자 핵심활동 중심의 긍정탐색 프로세스에 대해서도 수정 보완하는 작업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암실 속 과학탐구를 경험한 과학교육자들의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에 대한 인식 (Science Educators' Perceptions About the Learning Situation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rough Scientific Inquiry in the Darkroom)

  • 김학범;박승재;차정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09-618
    • /
    • 2015
  • 과학교육자들이 암실 속 과학탐구의 경험을 통해서 시각장애학생의 과학학습상황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게 되는가를 조사하려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한국과학교육학회에 참석한 과학교육자 중 24명에게 '얼음의 분자 구조' 및 '눈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모형의 접촉과 대화를 통해 '암실 속 과학탐구' 활동을 하게 하였다. 활동 전, 후에 설문을 하였고 활동 중의 개방적 대화와 끝난 다음의 자유토론을 녹음하여 전사한 뒤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암실 속 과학탐구를 통해 과학 교육자들은 시각장애학생의 과학교육이 필요하며 가능할 뿐 아니라, 이들의 학습상황에 대해 더욱 깊게 이해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시각장애학생을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자신들이 학생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지도하였음을 알게 되었음을 고백한 바있다. 또한, 참여자들은 암실 경험을 통해 시각장애학생뿐 아니라 학습에 소외된 일반 학생의 입장을 더욱 깊게 이해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암실 속 과학탐구' 활동의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LISREL을 이용한 과학에서의 태도에 관한 구조방정식모델의 구축 (Construction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Attitudes to Science Using LISREL)

  • 이경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01-311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o analyze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related to attitudes to scienc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ith LISREL VII. The sample consisted of 483 10th grade boys from a general high school in Pusan, Korea. The questionnaires (ABC-attitude scale: affection, behavioral intention, cognition scale of attitude towards science)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rough a pilot study. And other instruments have modified previous ones. Five instruments were used in this study: GALT(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MTSlS(modified test of science inquiry skill), ABC-attitude scale, MSAS(modified scientific attitude scale), CSAT(common science achievement tes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LISREL VII($J\ddot{o}reskog$ & $S\ddot{o}rbom,$ 1993) was employed to estimate the causal inferences about hypothesized relationships among observed data sets. Three competing models consisted of five latent variable(scientific thinking ability, science inquiry skill, attitude towards science, scientific attitude, science achievement) - lP(inquiry preceding) model, AP(attitude preceding) model and AM(attitude mediating) model - were developed. Among these competing models, IP model satisfied the observed data sets.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attitudes to science" and other latent variables were reliably ident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cience inquiry skill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hat can predict science achievement. But scientific thinking ability has not directly influenced science achieve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inquiry based teaching-learning processes should be offered to students for improvement of science achievement. At the same time, it seems to be important to develop positive attitude towards science.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related to attitudes to science will be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curriculum and to the design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LISREL has been recognized as a useful approach in testing a SEM. However, in this study, LISREL approach was estimated as much more useful method for research design.

  • PDF

화학 결합에서 모바일 증강현실을 이용한 과정기반 안내탐구학습이 과학 학업 성취도, 과학 학습 동기, 학습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cess Oriented Guided Inquiry Learning Using Mobile Augmented Reality on Science Achievement,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Flow in Chemical bond)

  • 전영은;지준용;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57-37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화학 결합 학습에 적합한 모바일 증강현실 학습도구를 개발하고 모바일 증강현실을 활용한 과정기반 안내탐구학습(POGIL-MAR)을 제안하여 이 교수학습 방법이 과학 학업 성취도, 과학 학습 동기 및 학습 몰입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소재의 남녀 공학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39명으로, 이를 통제집단(TL), 실험집단 1(POGIL), 실험집단 2(POGIL-MAR)로 무선 배치하였다. 학생들은 4차시에 걸쳐 화학 결합과 관련된 학습을 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POGIL-MAR 집단은 과학 학업 성취도, 과학 학습 동기, 학습 몰입감 검사에서 사전성취 수준에 관계없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하위 집단의 경우, POGIL-MAR 집단이 TL과 POGIL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학업 성취도 향상이 있었다. 과학 학습 동기의 하위요인에 대한 이원 중다공변량 분석 결과, POGIL-MAR 집단이 학습 동기의 하위 요인인 내재 동기, 직업 동기, 자아 효능, 점수 동기, 자기 의지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특히, 내재 동기에서 교수학습 방법과 사전 성취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한편, 학습 몰입감의 하위 요인에 대한 이원 중다공변량 분석 결과, POGIL-MAR 집단이 분명한 목표, 분명한 피드백, 행위-인식 일체감, 학습 통제감, 자기만족적 경험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 증강현실을 활용한 과정기반 안내탐구학습의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초등 과학 수업에 적용한 MBL 수업의 효과와 학생 및 교사의 인식 조사 (The Instructional Effects and Students' and a Teacher's Perceptions of MBL Programs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 임희준;최선미;강석진;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1호
    • /
    • pp.102-111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instructional influences of MBL program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their teacher toward science classes using MBL programs were also examine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ixty four 4th grade students from two classes.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science classes that applied MBL and the control group engaged in traditional science classes based on the textbook and experiment workbook. A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scientific inquiry skills, however,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experim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evance and confidence, the sub-categories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In the analyses of students' perceptions toward science classes using MBL, students showed positive perceptions in aspects of interests of science classes, content comprehension, and convenience of experiments. The teacher also showed positive perceptions using MBL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appling MBL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were discussed.

  • PDF

대학(大學) 수학(修學) 용력(龍力) 의험(議驗)의 자연과학(自然科學) 탐구(探究) 능력(能力) 평가(評價)를 위(爲)한 행동(行動) 요소(要素)의 추출(抽出)과 평가(評價) 목표(目標)의 상세화(詳細化) 연구(硏究) II (The Specification of Evaluative Objectives and Selection of Behavioral Elements for Measuring Science Inquiry Skills of University Competency Tests)

  • 우종옥;이항로;이경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1-95
    • /
    • 199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pecify the evaluative objectives of science process skills and to serve as an evaluative criterion for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competency test.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l) Five steps as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science are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science inquiry skills. (2) Three dimensional taxomony was presented to evaluate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university competency test. (3) Sixteen behavioral elements were selected from the science process model and defined operationally. (4) 146 evaluative objectives were specified according to each behavioral element based on the results presented above, the science inquiry model and the evaluative objectives wilt be contributed to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including basic concepts and contents, and problematic situation in science.

  • PDF

고등학교의 과학적 탐구력 신장을 위한 과학 학습지도 방법과 자료의 개발에 관한 연구 I (A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Materials for the Enhancement of Scientific Inquiry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 조희형;이문원;조영신;지찬수;강순희;박종윤;허명;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4-67
    • /
    • 1995
  •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in order to achieve three objectives. They are as follows: To analyze, based on the research literatures,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constitutive elements. To identify inquiry skills and techniques essential to such areas as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To develop instructional models and materials for enhancing inquiry ability on the part of high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in the study that the scientific inquiry was interpreted in terms of different meanings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the person who are interested in the nature of science. The scientific inquiry has been viewed as the process of knowledge formation, scientific method, inquiry process or process skills depending on the epistemological, methodological, educational perspectives, respectively. It was also identified that certain kind of skills or techniques would be used for inquiry in only one specific area of the science. The skills and techniques are effectively learned when those are taught with specific knowledge in each area of the science. The model and materials for fostering scientific inquiry skills will be presented on the second part of the report.

  • PDF

과학적 탐구학습용 가상환경 저작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Authoring System for Scientific Inquiry Learning Virtual Environments)

  • 김민영;임재원;박경신;조용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13-414
    • /
    • 2009
  • 본 논문은 스크립팅 기반의 탐구학습을 위한 가상현실 저작용 시스템인 SASILE을 보완하여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일반 사용자들이 손쉽게 탐구 학습을 위한 교육용 가상현실 환경을 구현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드로잉 인터페이스 기반의 DEVISE(Drawing Environment for VR-based Inquiry-learning Science Education)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간단한 사용성 평가를 통해 DEVISE의 효용성에 대해서 논한다.

탐구보고서에 기반한 화학교사의 과학 역량 평가 실태 분석 (Analysis on Actual Condition of Chemistry Teachers' Scientific Competency Assessment Based on Inquiry Report)

  • 김현정;김성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3호
    • /
    • pp.209-218
    • /
    • 2021
  • 이 연구는 탐구보고서에 기반하여 화학교사의 학생 역량 평가 실태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020학년도 1급 화학 정교사 연수를 수행한 2개의 대학에서 연수를 수강한 화학교사를 대상으로 탐구보고서를 수합하였다. 교사들이 탐구보고서를 통해 학생의 어떠한 역량을 평가하고 있는지를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틀에서 제시한 과학과 교과 역량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63명의 화학교사 탐구보고서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역량별, 각 역량의 하위 요소별, 세부 요소별로 분석하여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화학교사들은 탐구보고서를 통해 '과학적 탐구 및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에 반영하고 있었다. 지필평가를 통해 주로 평가하는 '과학 원리의 이해 및 적용 능력'은 탐구 시작 시 선수학습의 확인으로 일부 사용되고 있었으며,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 하는 비중은 크지 않았다. 탐구보고서를 통해 '과학적 탐구 및 문제 해결력' 의 경우 '탐구 설계 및 수행', '자료의 분석과 해석', '결론 도출 및 해결 방안 제시'가 주로 평가되고 있었으며, '문제 발견 및 인식'과 '모형의 개발과 사용'은 거의 평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