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organic sunscreen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8초

Natural Dispersing Agent from Korean Seaweed Extract to Enhance the Safeness and UV Protection Properties of Inorganic Sunscreen Based on TiO2 Nanoparticles

  • Pestaria Sinaga;Sung-Hwan Bae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5-104
    • /
    • 2024
  • Nanoparticles are commonly used to avoid the opaque white color of TiO2 based sunscreen. However, a dispersing agent is typically required because of the tendency of the nanoparticles (NPs) to agglomerate. Stearic acid is one kind of dispersing agent often used for sunscreen products. However, according to the MSDS data sheet on stearic acid, stearic acid is highly hazardous to aquatic life and causes irritation on human skin. To avoid this problem, in this study a safer organic dispersing agent extracted from Korean seaweed has been studied to disperse TiO2 nanoparticles, and further use as an active agent in sunscreen products. The presence of phytochemicals in seaweed extract, especially alginate, can disperse TiO2 nanoparticles and improve TiO2 dispersion properties. Results show that seaweed extract can improve the dispersion properties of TiO2 nanoparticles and sunscreen products. Reducing the agglomeration of TiO2 nanoparticles improves sunscreen properties, by making it less opaque white in color, and increasing UV protection value. It was also confirmed that adding seaweed extract into sunscreen products had no irritating effects on the human skin, making it more desirable for cosmetics application.

신규 자외선차단제인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의 광안정성 평가 (Photostability Evaluation of a New Sunscreen Agent,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

  • 정택규;김영백;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27-236
    • /
    • 2011
  • 신규 자외선차단제로 개발된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은 유기-무기 혼성 구조의 고분자 입자로, 본 연구진은 이미 신규 자외선차단제에 대한 제조방법, 물리적 특성 및 자외선차단 효과에 대해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대표적인 유기 자외선차단제인 ethylhexyl methoxycinnamate (EHMC)와 동일한 기능기를 갖는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의 광화학적 특성과 자외선에 대한 광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자외선 흡광도와 형광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광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안정화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은 광화학적으로 EHMC와 유사한 특성을 보였으며, octocrylene, ethylhexyl methoxycrylene 및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이 우수한 광안정화제로 확인되었다.

Aspects of Nanotechnology In Inorganic Sunscreen Dispersions: Efficacy and Aesthetics

  • Arthur Georgalas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97-97
    • /
    • 2003
  • Chemists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more factors to formulate with inorganic sunscreens than many other active ingredients including organic sunscreens. Because the UV radiation attenuation grade particles of Titanium Dioxide and Zinc Oxide are in the nanometer range, the state of their dispersion in the product film on the skin governs their efficacy and aesthetics.(omitted)

  • PDF

국내 유통 어린이 및 무기 자외선차단제에서 자외선 차단성분, 보존제 및 중금속 실태 조사 (A Study on UV Filters, Preservatives and Heavy Metals Contained in the Children's and Inorganic Sunscreens Distributed in Korea)

  • 김애란;이유진;조윤식;김현주;조상훈;김양희;노정원;박용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89-29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민감성 피부 대상 자외선 차단제의 안전성 조사를 위해 무기 자외선 차단제 27 건 및 어린이용 자외선 차단제 23 건을 수거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 17 종, 보존제 13 종 및 중금속 5 종의 사용 및 혼입 실태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 차단 성분은 티타늄디옥사이드(41 건), 징크옥사이드(29 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10 건)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8 건) 및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8 건)순으로 검출되었으며, 보존제는 페녹시에탄올(6 건), 안식향산(1 건), 디히드로초산(1 건) 순으로 검출되었다. 확인된 자외선 차단성분은 모두 표시 사항에 적합 하였으나, 1 개 제품에서 표시사항 외 보존제 성분인 페녹시에탄올이 0.1% 농도로 검출되었다. 중금속 납, 카드뮴, 비소, 안티몬, 니켈은 불검출에서 3.6 ㎍/g로 다양한 농도로 검출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자외선 차단성분, 보존제 및 중금속은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의 성분별 최대 배합한도 및 최대 허용량 기준에 적합하였다.

저점도 W/O 에멀젼의 유화 안정성 증진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적용 (Emulsion Stability of Low Viscosity W/O Emulsion and Application of Inorganic Sunscreen Agents)

  • 연제영;서정민;김태훈;심재곤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985-1001
    • /
    • 2018
  • W/O 에멀젼; 안정성; 유화제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O/W 에멀젼에 비해 안정화가 어려운 W/O 에멀젼, 특히 유동성이 높은 저점도 W/O 에멀젼의 안정성 증진을 위하여 유화제, 전해질, 유화 안정화제, 겔화제 등을 적용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여 보았다. 그 결과 이번 실험에서는 Polyglyceryl-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sebacate를 주 유화제로 하면서 PEG-30 dipolyhydroxystearate와 Cetyl PEG/PPG-10/1 dimethicone을 보조 유화제로 하는 유화 체계에, 전해질로 Sodium chloride를 0.5 %, 유화 안정화제로 Distearyldimonium chloride를 1 %, 유상 겔화제로 Glyceryl behenate/eicosadioate를 0.5 % 적용한 유화 입자도 작고 조밀하며 점도도 2,000 cps 이하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안정한 저점도 W/O 에멀젼을 제조할 수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에멀젼 베이스에 무기 자외선 차단성분의 적용 실험을 통하여 안정성이 우수한 저점도 플루이드형 자외선 차단제품의 개발 가능성도 긍정적으로 검토할 수가 있었다.

지방산 에스테르와 티타늄다이옥사이드의 복합화를 통한 내수성과 피부 밀착력 개선 (Increased Water Resistance and Adhesion Force to Skin through the Hybrid of Fatty Acid Ester and Titanium Dioxide)

  • 홍지연;박치제;김용우;한상근;계성봉;노호식;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47-258
    • /
    • 2023
  • 본 연구는 덱스트린팔미테이트와 아이소프로필티타늄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코팅 기재를 티타늄다이이옥사이드에 복합화하여 내수성 향상과 피부와의 밀착력 개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야외 활동을 즐기는 소비자의 증가로 내수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O/W, 피커링, W/O/W 멀티플 제형으로 선행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내수성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수성 향상 및 피부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는 복합 무기 분체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덱스트린팔미테이트와 아이소프로필티타늄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코팅 기재를 이용하여 티타늄다이옥사이드를 복합화시켰다. 무기 분체의 코팅은 FE-SEM과 FT-I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복합체의 in vitro내수성은 월등히 높았다. 코팅된 무기 분체의 소수성은 접촉각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코팅된 무기 분체를 W/O 선크림 제형에 적용하고 대조군으로 코팅되지 않은 무기 분체를 W/O 선크림 제형에 적용했을 때 코팅된 무기 분체가 들어있는 선크림의 SPF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UV 카메라로 관찰했을 때도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코팅된 무기 분체의 피부 밀착력은 파운데이션 제품에 적용하여 확인하였다. In vivo연구에서 코팅되지 않은 무기 분체를 사용한 파운데이션 제품보다도 코팅된 무기 분체를 적용한 제품에서 묻어남이 적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무기 분체는 피부와의 밀착력이 우수한 사용감과 소수성이 향상된 뛰어난 내수성 효과를 보여주었다. 향후 본 연구는 내수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자외선 차단제 제품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Skin safety of the UV Absorbers by Measurement Cytotoxicity High Functional Product with Water-in-Silicone System

  • In-Young Kim;Min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34-146
    • /
    • 1997
  • Consumers have recently preferred to purchase extensive UV intercepting products, which are waterproof and free from side effects on skin. Testing Cytoroxicity in SR method, cell survivial ratio of UV-B interceptors decreased above 0.08W/V%, and so did that of UV-A interceptors above 0.06W/V%. Also, Patch-test of inorganic UV interceptors resulted in no skin irritation even below 10.0 and 11.25. UV interceptors in the sunlight showed yellowish discoloration in 5 to 14 days. In absorption curves, UV-B was most suitable for Octyl methoxycinnamate and UV-A for Butyl methoxy dibenzoylmethane. Fro this reason, Nylonpoly UVA/UVB the material of OMC and BMDM coated with Nylon & polyethylene, was used as the organic UV interceptor. And zinc oxide and titanium dioxide was used as inorganic UV ibterceptors. The appropriate mixture ratio of ZnO and TiO2 was 6 to 4.6% of ZnO, 4% of TiO2 and 5% of Nylonpoly UVA/UVB were all combined with our sunscreen cream. The SPF value of in-vivo applied to a guinea pig was 34.9 and that of in-vivo was 38.5. Cyclomerhicone and dimerthicone were used in water-in-Silicone system. Ceryl diverhicone and sorbitan sesquioleate were used as emulsifiers and MgSO4, 7H2O, Mg-stearate/Mg-Al-stearate copolymer as emulsification stabilizers. In practical application, each SPF duration of O/W type and W/S type containing sunscreen cream of the same content showed that W/S type of sunscreen cream was 5 times as durable as the other. This product is fit for using in swimming, climbing or skiing. This research is to minimize skin trouble used by UV interceptors and to make one with proper softness, skin safety and UV intercepting efficiency.

  • PDF

비드밀과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한 나노 분산체의 제조 및 자외선 차단 효과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In Vitro Sun Protection Factor Effect of Nanosuspensions Prepared Using Bead Mill and High Pressure Homogenizer)

  • 박상현;안정호;문권기;배덕환;김민수;이시범;이태완;우종수;황성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5권6호
    • /
    • pp.411-416
    • /
    • 2005
  • The aim of the present work was to prepare the nanosuspension of inorganic pigment which shows light reflection and scattering as efficient sunscreen. The zinc oxide (ZnO) was chosen as an inorganic pigment, and high pressure homogenizer and bead mill have been used for the preparation of nanosuspension. The ZnO nanosuspensions were characterized by particle size, in vitro sun protection factor (SPF) and UV transmittance. ZnO nanosuspension prepared by bead mill showed the average diameter of $119{\pm}4\;nm$, resulting in the high value of SPF $(28.74{\pm}2.06,\;n=20)$, while that prepared by high pressure homogenizer showed the average diameter of $751{\pm}32\;nm$ with the relative lower value of SPF $(21.38{\pm}1.94\;n=20)$. In addition, the film of ZnO nanosuspension prepared by bead mill was showed a high visible ray (VIS) transmittance, indicating a high transparency. In conclusion, a physically stable ZnO nanosuspension in cyclomethicone was successfully prepared using bead mill for the suitable sunscreen preparations.

화장품에서 UV 차단제의 피부 자극성과 SPF 측정 (SPF Measurement and Cytotoxicity of Sunscreen Agents in Cosmetic)

  • 김인영;강삼우
    • 분석과학
    • /
    • 제11권2호
    • /
    • pp.79-87
    • /
    • 1998
  • 최근의 소비자들은 waterproof 기능을 가진 광범위한 UV 차단 제품을 선호하며, 피부 안전성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NR method로 세포 자극성(in-vitro)을 실험한 결과, UV-B의 자외선 차단제들은 0.08 w/v% 이상에서 세포의 생존율이 떨어졌고, UV-A의 자외선 차단제들은 0.06 w/v% 이상에서 세포의 생존율이 떨어졌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들의 patch-test는 각각 10.5와 11.25 이하로 피부에 자극성은 없었다. UV 흡수 곡선, UV-B는 octyl methoxycinnamate(OMC), UV-A는 butyl methoxy dibenzoylmethane(BMDM) 가장 적합하였다. 따라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OMC와 BMDM이 nylon과 polyethylene에 코팅된 원료인 $Nylonpoly^{TM}$ UVA/UVB을 사용하였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zinc oxide(ZnO)와 titanium dioxide($TiO_2$)를 사용하였다. ZnO와 $TiO_2$의 혼합 비율은 6:4가 적당하였다. 총 UV차단제의 함량은 ZnO 6%, $TiO_2$ 4%와 $Nylonpoly^{TM}$ UVA/UVB 5%를 썬 스크린 크림에 혼합하였다. In-vi-tro의 SPF값은 38.9이었다. 응용으로, 동일 함량을 넣은 O/W type과 W/S type의 썬 스크린 크림을 만들어 시간 경과에 따른 SPF를 측정한 결과, SPF가 O/W type보다 W/S type이 5배 이상 오래 지속되었다. 이것은 해수욕, 등산, 스키를 탈 경우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자외선 차단제의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하고자 하였으며, 매끄러움성, 피부 안전성과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이라고 생각되어진다.

  • PDF

미세조류 추출물 및 MAAs 함유 자외선차단제의 자외선차단지수(SPF) 및 자외선 A 차단지수(PFA) 평가 (Evaluation of Sun Protection Factor (SPF) and Protection Factor of UVA (PFA) of the Sunscreen Containing Microalgal Extracts and MAAs)

  • 모상현;서승석;조문진;송미영;황진익;박미례;이택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312-3318
    • /
    • 2014
  • 천연물 유래 자외선차단제 개발을 위해 미세조류 추출물 및 mycosporine-like amino acids(MAAs)의 활용가능성을 연구하였다. Chlamycomonas hedleyi 추출물과 추출물 분획물인 MAAs가 각각 7% 포함된 자외선차단크림을 제조하고 인체 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자외선차단지수(SPF) 및 자외선 A차단지수(PFA)를 평가하였다. Ch. hedleyi 추출물과 MAAs 함유 자외선 차단 크림의 자외선 차단지수는 각각 9.07 및 9.42로 나타났으며, 자외선 A차단지수는 각각 2.43과 2.41로 측정되었다. 자외선 A차단지수가 모두 2 상으로 측정되어 두가지 자외선 차단크림의 자외선 A차단등급은 [PA+]으로 분류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미세조류 추출물 및 MAAs 함유 자외선차단제가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막지 못하지만, 무기자외선 차단제가 혼합되면 만족할만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