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itial MC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4초

A Modified MMSE Algorithm for Adaptive Antennas in OFDM/CDMA Systems

  • Su, Pham-Van;Tuan, Le-Minh;Kim, Jewoo;Giwan Yoon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09-513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a semi-blind Minimum Mean Square Error (MMSE) beamforming adaptive algorithm used far OFDM/CDMA combined system. The proposed algorithm exploits the transmitting pilot signal in the initial period of the transmission to update the weight vector. Then it applies the blind adaptive period to update the weight vector, in which the pilot signal is no longer used. The derivation of the algorithm based on the Mean Square Error (MSE) criterion is also presented. Computer simulation is carried out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pproach.

  • PDF

캐나다 아사바스카 오일샌드 지질특성 (Geology of Athabasca Oil Sands in Canada)

  • 권이균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1
    • /
    • 2008
  • 오일샌드는 비재래형(unconventional) 석유자원의 하나로서 비투멘(bitumen), 물, 점토, 모래의 혼합물이다. 오일샌드 비투멘은 API 비중이 $8-14^{\circ}$이고 점도가 10,000 cP 이상인, 매우 무겁고 점성이 큰 탄화수소 자원으로서 일반적으로 지표나 천부퇴적층에서 유동성을 갖지 않는다. 오일샌드 비투멘은 주로 캐나다 앨버타주와 사스캐추완주에 분포하고 있으며, 캐나다에만 원시부존량이 1조 7천억 배럴, 확인매장량이 1천 7백억 배럴에 달한다. 대부분은 앨버타주 포트 멕머레이(Fort McMurray) 인근의 아사바스카(Athabasca), 콜드레이크(Cold Lake), 피스리버(Peace River) 지역에 매장되어 있다. 캐나다 오일샌드 저류지층은 아사바스카 지역의 멕머레이층(McMurray Fm)과 클리어워터층(Clearwater Fm), 콜드레이크 지역의 멕머레이층(McMurray Fm), 클리어워터층(Clearwater Fm), 그랜드래피드층(Grand Rapid Fm), 피스리버 지역의 블루스카이층(Bluesky Fm)과 게팅층(Gething Fm)이다. 이들 지층은 하부 백악기 지층으로서 중생대 초-중기에 발생한 북미판과 태평양판의 충돌과 그로 인한 대륙전면분지(foreland basin)의 형성과정에서 퇴적되었다. 분지의 기반암은 복잡한 지형을 갖는 고생대 탄산염암이며, 그 위에 북미대륙 북쪽의 보레알해(Boreal Sea)로부터 현재의 북미대륙 서부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전기백악기내해로(Early Cretaceous Interior Seaway)를 따라 해침이 발생하면서 오일샌드 저류지층이 형성되었다. 세 개의 주요 오일샌드 분포지역 가운데 80% 이상의 오일샌드를 매장하고 있는 아사바스카 지역의 저류지층인 멕머레이층과 크리어워터층의 최하부층원인 와비스코 층원(Wabiskaw Mbr)은 전기 백악기 시기의 해침층서를 잘 반영하고 있다. 멕머레이층 하부에는 하성기원의 퇴적층이 발달하고, 상부로 가면서 점차로 조석기원의 천해 퇴적층이 우세해지며, 와비스코 층원에 와서는 의해 세립질 퇴적층이 광역적으로 분포한다. 이러한 해침기원의 상향 세립화 경향은 아사바스카 오일샌드 부존지역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된다. 오일샌드 부존지층은 일반적으로 불균질 저류층이며, 주요 저류층은 하성퇴적층이나 에스츄어리(estuary) 기원의 퇴적층에 발달한 하도-포인트 바 복합체(channel-pont bar complex)이다. 이러한 하도-포인트바 복합체는 범람원 및 조수평원 세립질 퇴적층이나 만-충진(bay-fill) 퇴적층과 함께 멕머레이층을 형성한다. 멕머레이층 상부에 오는 와비스코 층원은 주로 외해 세립질 퇴적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멕머레이층을 대규모로 침식하는 하도사암층이 지역적으로 발달하기도 한다. 캐나다에서 오일샌드는 주로 노천채굴(surface mining)과 심부열회수(in-situ thermal recovery) 방식으로 생산한다. 50 m 미만의 심도에 묻혀있는 오일샌드는 노천채굴 방식으로 회수하여 비투멘 추출(extraction)과 개질(upgrading)과정을 거쳐 합성원유(synthetic crude oil)로 생산된다. 반면에 150-450 m 심도에 묻혀있는 오일샌드는 주로 심부열회수 방식으로 비투멘을 회수하여 비교적 간단한 비투멘 블렌딩(blending)과정을 통해 유동성을 증가시켜 정유시설로 운반한다. 심부열회수 방식으로 오일샌드를 개발할 경우 주로 스팀주입중력법(SAGD: Steam Assisted Gravity Drainage)이나 주기적스팀강화법(CSS: Cyclic Steam Stimulation)이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들은 저류층에 스팀을 주입하여 저류층 내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비투멘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회수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따라서 오일샌드 저류층 내부의 스팀전파효율을 결정하는 저류지층의 주요 지질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효과적인 생산설계와 효율적인 생산을 수행할 수 있다. 오일샌드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저류층의 주요 지질특성에는 (1)비투멘 샌드층의 두께(pay) 및 연결성(connectivity), (2) 비투멘 함량, (3) 저류지역 지질구조, (4) 이질배플(mud baffle)이나 이질프러그(mud plug)의 분포, (5) 비투멘 샌드층에 협재하는 이질퇴적층의 두께 및 수평연장성(lateral continuity), (6) 수포화층(water-saturated sand)의 분포, (7) 가스포화층(gas-saturated sand)의 분포, (8) 포인트바의 성장방향성, (9) 속성층(diagenetic layer)의 분포, (10) 비투멘 샌드층의 조직특성 변화 등이 있다. 이러한 지질특성에 대한 고해상의 분석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오일샌드 개발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Value of Adding Ductography to Ultrasonography for the Evaluation of Pathologic Nipple Discharge in Women with Negative Mammography

  • Younjung Choi;Sun Mi Kim;Mijung Jang;Bo La Yun;Eunyoung Kang;Eun-Kyu Kim;So Yeon Park;Bohyoung Kim;Nariya Cho;Woo Kyung Moo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9호
    • /
    • pp.866-877
    • /
    • 2022
  • Objective: The optimal imaging approach for evaluating pathological nipple discharge remains unclear. We investigated the value of adding ductography to ultrasound (US) for evaluating pathologic nipple discharge in patients with negative mammography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2003 to December 2018, 101 women (mean age, 46.3 ± 12.2 years; range, 23-75 years) with pathologic nipple discharge were evaluated using pre-ductography (initial) US, ductography, and post-ductography US. The imaging finding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standard reference was surgery (70 patients) or > 2 years of follow-up with US (31 patients). The diagnostic performances of initial US, ductography, and post-ductography US for detecting malignancy were compared using the McNemar's test or a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Results: In total, 47 papillomas, 30 other benign lesions, seven high-risk lesions, and 17 malignant lesions were identified as underlying causes of pathologic nipple discharge. Only eight of the 17 malignancies were detected on the initial US, while the remaining nine malignancies were detected by ductography. Among the nine malignancies detected by ductography, eight were detected on post-ductography US and could be localized for US-guided intervention. The sensitivities of ductography (94.1% [16/17]) and post-ductography US (94.1% [16/17])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initial US (47.1% [8/17]; p = 0.027 and 0.013, respectively).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post-ductography US (96.9% [31/3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initial US (83.3% [45/54]; p = 0.006). Specificity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initial US than for ductography and post-ductography US (p = 0.001 for all). Conclusion: The combined use of ductography and US has a high sensitivity for detecting malignancy in patients with pathologic nipple discharge and negative mammography. Ductography findings enable lesion localization on second-look post-ductography US, thus facilitating the selection of optimal treatment plans.

A7075-T6 알루미늄 합금의 프레팅 피로 손상 파라미터 비교 평가 (Comparison and Estimation of Fretting Fatigue Damage Parameters for Aluminum Alloy A7075-T6)

  • 황동현;조성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10호
    • /
    • pp.1229-1235
    • /
    • 2011
  • 신뢰성이 가장 우수한 프레팅 피로손상 파라미터를 찾아내기 위해 알루미늄 합금 A7075-T6 을 대상으로 피로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편 표면에 홈을 가공하여 패드 접촉압력에 따라 패드-시편 접촉면에서 프레팅 피로균열이 발생하거나 또는 홈에서 일반 피로균열이 발생할 수 있게 하였다.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균열의 발생위치와 방향을 측정하고, 문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레팅 피로손상 파라미터들의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파라미터 값과 최대손상평면 방향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응력과 변형률 자료는 유한요소해석으로 산출하였다. 전단모드 피로파손을 가정하는 Fatemi-Socie 파라 미터와 McDiarmid 파라미터가 가장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알루미늄클로라이드 촉매를 이용한 Tricyclopentadiene 유도체의 이성화 반응 연구(I) (A Study on the isomerization reactions of Tricyclopentadiene Derivatives using aluminum chloride($AlCl_3$) catalyst(I))

  • 주현혜;주형욱;박창선;한정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0년도 제35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800-803
    • /
    • 2010
  • Tetrahydrotricyclopentadiene(이하 THTCPD)의 이성질체는 높은 밀도와 높은 발열량을 가지고 있어 고성능 액체 연료의 주요성분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온에서 고체상태로 유동성이 좋지 않은 THTCPD를 흐름성이 우수한 액체상태 특성을 가질 수 있게 할 수 있는 최적의 반응조건을 찾는 것이다. THTCPD의 이성화 반응은 반응온도 변화와 반응용매의 영향 등의 다양한 반응조건을 통해 살펴보았다. 알루미늄클로라이드 촉매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사용한 반응용매 중 Dichloromethane(Methylene Chloride: MC), 1,2-Dichloroethane(Ethylene Chloride: EC), Chloroform이 n-Hexane, Toluene보다 이성화 반응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반응온도도 이성화반응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Packet Switching에 의한 공중 Computer 통신망 개발 연구 -제2부: KORNET의 설계 및 Network Node Processor(NNP)의 개발 (Development of a Packet-Switched Public computer Communication Network -PART 2: KORNET Design and Development of Network Node Processor(NNP))

  • 조유제;김희동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14-123
    • /
    • 1985
  • 이 논문은 packet switching 방식에 의한 공중 computer 통신망 개발에 관한 4편의 논문중 제 2부의 논문으로 제 1부의 KORNET의 개요 및 netwo.k managementcenter (NMC)개발에관한 논문에 이어 KO-RNET의 설계와 networhnode Processor(NNP)의 개발에 대해 기술한다. KORNET은 3개의 NNP와 하나의 NMC 로 일차 구성하였는데, NNP는 MC68000 microprocessor를 이용한 multiprocessor system으로 구현되었고, HMC는 중형 computer인 Mv/8000 system을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KORNET에서의 packet service 방식은 virtual circuit(VC) 방식으로 하고 routing은 node나 선로의 상태변화에 쉽게 대처할 수 있는 분산적응방식(distributed adaptive routinB)을 사용하였다. 또한, buffo. management는 dy-namic sharing 방식을 채택하여 storage의 사용에 대한 효율성을 높였다. NNP system의 hardware는 modularity를 고려하여 확장이 용이하게 하였으며, software는 CCITT 권고사항 X.25, X.3, X.28, X.29등을 따라 구현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Diagnostic Performance and Efficacy of Wearable Electrocardiogram Monitoring for Arrhythmia Detection after Cardiac Surgery

  • Seungji Hyun;Seungwook Lee;Yu Sun Hong;Sang-hyun Lim;Do Jung Ki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2호
    • /
    • pp.205-212
    • /
    • 2024
  • Background: Postoperative atrial fibrillation (A-fib) is a serious complication of cardiac surgery that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mortality and morbidity. Traditional 24-hour Holter monitors have limitations, which have prompted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wearable electrocardiogram (ECG) monitoring devices. This study assessed a patch-type wearable ECG device (MobiCARE-MC100) for monitoring A-fib in patients undergoing cardiac surgery and compared it with 24-hour Holter ECG monitoring. Methods: This was a single-center, prospective, investigator-initiated cohort study that included 39 patients who underwent cardiac surgery between July 2021 and June 2022. Patients underwent simultaneous monitoring with both conventional Holter and patchtype ECG devices for 24 hours. The Holter device was then removed, and patch-type monitoring continued for an additional 48 hours, to determine whether extended monitoring provided benefits in the detection of A-fib. Results: This 72-hour ECG monitoring study included 39 patients, with an average age of 62.2 years, comprising 29 men (74.4%) and 10 women (25.6%). In the initial 24 hours, both monitoring techniques identified the same number of paroxysmal A-fib in 7 out of 39 patients. After 24 hours of monitoring, during the additional 48-hour assessment using the patch-type ECG device, an increase in A-fib burden (9%→38%) was observed in 1 patient. Most patients reported no significant discomfort while using the MobiCARE device. Conclusion: In patients who underwent cardiac surgery, the mobiCARE device demonstrated diagnostic accuracy comparable to that of the conventional Holter monitoring system.

천연 식물 추출물의 항염 효과가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과 메탄 생성에 미치는 영향 (Anti-inflammatory Effect of Natural Plant Extracts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and Methane Emission)

  • 이신자;이수경;임정화;손창준;이성실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1권4호
    • /
    • pp.97-109
    • /
    • 2017
  • 본 시험은 항염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식물 추출물의 첨가가 반추위 발효와 메탄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항염과 항산화 효과가 있는 산뽕나무, 뽕나무, 예덕나무, 오동나무, 방아풀과 은행나무 6종을 선발하였다. 반추위액과 McDougall buffer 혼합액 15mL과 티모시 0.3g, 각각의 추출물을 기질의 5%로 넣고 $39^{\circ}C$에서 3, 9, 12, 24, 48 그리고 72시간 배양하였다. 항염 효과가 있는 식물 추출물의 첨가는 반추위 발효 성상(pH, 건물소화율, Glucose 농도, 암모니아 농도, 단백질 농도, 미생물 성장량, 휘발성지방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총 가스 발생량은 각기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48시간대에서 예덕나무와 방아풀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또한 메탄 발생량은 배양 초기에는 대조구보다 첨가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으나, 발효가 진행될수록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에서 더 많은 메탄이 발생하였다. Polyphenol과 flavonoid는 은행나무 추출물구에서 가장 높았다. 본 시험의 결과에서 항염에 효과가 있는 식물 추출물을 in vitro 반추위 배양액에 첨가하였을 때, 반추위 발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메탄은 초기 발효에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2차원절삭에서 공구이탈시 발생하는 버(Burr)와 파단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urr Formation and Fracture at the Exit Stage in Orthogonal Cutting)

  • 고성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1172-1182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버형성중의 파단을 파단전의 소성변형의 과정이 파단에 영향을 미치는 연성파단(ductile fracture)으로 간주하여 McClintock의 연성파단에 관한 모델 을 이용하여 버형성중의 파단변형도를 얻었다. 이 파단변형도가 인장시험으로부터 얻 은 파단변형도와 커다란 오차가 없음을 확인하여 편의상 인장시험에서의 파단변형도를 버형성중의 파단발생 판정기준으로 사용하였다. 버형성이 시작된 이후에 공구인선부 에서의 피삭재의 변위의 발달에 관한 모델이 제시되었고 파단변형도와 최대변형량과의 비교로부터 파단위치와 각도가 결정된다.

ASSESSING CALIBRATION ROBUSTNESS FOR INTACT FRUIT

  • Guthrie, John A.;Walsh, Kerry B.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 2001년도 NIR-2001
    • /
    • pp.1154-1154
    • /
    • 2001
  • Near infra-red (NIR) spectroscopy has been used for the non-invasive assessment of intact fruit for eating quality attributes such as total soluble solids (TSS) content. However,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in the literature with respect to the robustness of such calibration models validated against independent populations (however, see Peiris et al. 1998 and Guthrie et al. 1998). Many studies report ‘prediction’ statistics in which the calibration and prediction sets are subsets of the same population (e. g. a three year calibration validated against a set from the same population, Peiris et al. 1998; calibration and validation subsets of the same initial population, Guthrie and Walsh 1997 and McGlone and Kawano 1998). In this study, a calibration was developed across 84 melon fruit (R$^2$= 0.86$^{\circ}$Brix, SECV = 0.38$^{\circ}$Brix), which predicted well on fruit excluded from the calibration set but taken from the same population (n = 24, SEP = 0.38$^{\circ}$Brix with 0.1$^{\circ}$Brix bias), relative to an independent group (same variety and farm but different harvest date) (n = 24, SEP= 0.66$^{\circ}$ Brix with 0.1$^{\circ}$Brix bias). Prediction on a different variety, different growing district and time was worse (n = 24, SEP = 1.2$^{\circ}$Brix with 0.9$^{\circ}$Brix bias). Using an ‘in-line’ unit based on a silicon diode array spectrometer, as described in Walsh et al. (2000), we collected spectra from fruit populations covering different varieties, growing districts and time. The calibration procedure was optimized in terms of spectral window, derivative function and scatter correction. Performance of a calibration across new populations of fruit (different varieties, growing districts and harvest date) is reported. Various calibration sample selection techniques (primarily based on Mahalanobis distances), were trialled to structure the calibration population to improve robustness of prediction on independent sets. Optimization of calibration population structure (using the ISI protocols of neighbourhood and global distances) resulted in the elimination of over 50% of the initial data set. The use of the ISI Local Calibration routine was also investig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