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hibitory compound

검색결과 1,015건 처리시간 0.031초

블랜칭 및 용질 처리에 따른 참취(Aster scaber Thunb.)의 phytochemical 성분 및 품질특성 (Phytochemical compound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ster scaber Thunb. in response to blanching conditions and treatment with solutes)

  • 김재원;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94-701
    • /
    • 2014
  • 블랜칭 처리조건 확립을 위하여 시간(1, 3, 5 min) 및 용질의 종류[0.1% soluble Ca(Sol-Ca), 0.1% soium bicarbonate($NaHCO_3$), 0.1% magnesium sulfate($MgSO_4$)]를 달리한 참취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블랜칭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녹색도와 chroma 값은 감소되고 색차는 증가하였으며, polyphenol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블랜칭 처리시간이 3분 이상 경과될 시 급격히 저하되었다. Carotenoid 함량의 경우 적정 블랜칭 처리 시 함량은 증가하는 반면 ascorbic acid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열적 손실이 동반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경도 및 절단력은 처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pectinesterase와 polygalacturonase 저해활성은 3분 이후부터는 불활성화 수치가 증가하여 효소활성을 저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균수 및 대장균군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대조구의 경우 5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블랜칭 처리한 처리구에서는 2~4 log CFU/g 수준으로 미생물이 감소하였으며, 대장균군수는 검출되지 않았다. Chlorophyll 함량은 증가하는 반면 chlorophyll a 및 b의 비율(Ca/Cb)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관능적 기호특성에서는 외관 및 색상의 경우 블랜칭 처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블랜칭 처리에 의하여 기호특성이 증가하였다가 점차 감소하였으며, 전반적으로 3분간 블랜칭 처리 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Kaempferol Activates G2-Checkpoint of the Cell Cycle Resulting in G2-Arrest and Mitochondria-Dependent Apoptosis in Human Acute Leukemia Jurkat T Cells

  • Kim, Ki Yun;Jang, Won Young;Lee, Ji Young;Jun, Do Youn;Ko, Jee Youn;Yun, Young Ho;Kim, Young 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2호
    • /
    • pp.287-294
    • /
    • 2016
  • The effect of kaempferol (3,5,7,4-tetrahydroxyflavone), a flavonoid compound that was identified in barnyard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grains, on G2-checkpoint and apoptotic pathways was investigated in human acute leukemia Jurkat T cell clones stably transfected with an empty vector (J/Neo) or a Bcl-xL expression vector (J/Bcl-xL). Exposure of J/Neo cells to kaempeferol caused cytotoxicity and activation of the ATM/ATR-Chk1/Chk2 pathway, activating the phosphorylation of p53 (Ser-15), inhibitory phosphorylation of Cdc25C (Ser-216), and inactivation of cyclin-dependent kinase 1 (Cdk1), with resultant G2-arrest of the cell cycle. Under these conditions, apoptotic events, including upregulation of Bak and PUMA levels, Bak activation,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Δψm) loss, activation of caspase-9, -8, and -3, anti-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cleavage, and accumulation of apoptotic sub-G1 cells, were induced without accompanying necrosis. However, these apoptotic events, except for upregulation of Bak and PUMA levels, were completely abrogated in J/Bcl-xL cells overexpressing Bcl-xL, suggesting that the G2-arrest and the Bcl-xL-sensitive mitochondrial apoptotic events were induced, in parallel, as downstream events of the DNA-damage-mediated G2-checkpoint activatio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kaempferol-mediated antitumor activity toward Jurkat T cells was attributable to G2-checkpoint activation, which caused not only G2-arrest of the cell cycle but also activating phosphorylation of p53 (Ser-15) and subsequent induction of mitochondria-dependent apoptotic events, including Bak and PUMA upregulation, Bak activation, Δψm loss, and caspase cascade activation.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줄기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과 생리활성 (Polyphenol Compound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in Various Extracts of the Vitex rotundifolia Stems)

  • 주은영;이양숙;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813-818
    • /
    • 2007
  •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의 줄기를 새로운 천연 항산화제나 생리활성 재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한류 물 추출물(WE)과 에탄을 추출물(EE) 그리고 열수 추출물(HWE)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xanthine oxidase와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122.01 mg/g${\sim}$176.34 mg/g으로 EE에서 가장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였다. 전자공여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93.46${\sim}$96.92%로 EE가 가장 높았으며 0.1 mg/mL에서도 90% 이상이었으며, SOD 유사활성능은 WE가 47.32%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의 조건에서 세가지 추출물이 84.61${\sim}$88.36%였으며 pH 3.0에서는 25.83${\sim}$30.24%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0.5 mg/mL의 농도에서 세 가지 추출물 모두 90% 이상이었으며, 1.0 mg/mL에서도 91.02${\sim}$97.51%로 EE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효과와 관련이 있는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HWE와 WE는 57.84%와 53.47%를 나타내어 EE(28.79%)보다 높은 저해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순비기나무 줄기 추출물은 다량의 폴리페놀을 함유하며 항산화 활성과 xanthine oxidase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이 우수하므로 천연 항산화제나 미백 및 기능성 식품소재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천연한방소재인 연교 추출물의 미백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 of the Oriental Medicinal Herb Forsythia suspensa Fruit as a Cosmetic Ingredient)

  • 이정노;박재희;김상우;유영경;이강태;이건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79-86
    • /
    • 2007
  • 본 연구는 연교 추출물과 연교 추출물에서 분리한 활성물질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에 관한 것이다. 연교 추출물은 $0.1{\sim}1.0%$ (v/v)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멜라닌 생성억제 실험결과 1.0 %에서 $63.1{\pm}3.1%$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활성물질을 분리하여 $^1H-NMR,\;^{13}C-NMR$, Mass analysis 등의 기기분석 결과 리그난 계열의 활성물질인 4-[(3,4-Dimethoxyphenyl)methyl)]dihydro-3-[(4-hydroxy-3-methoxyphenyl)methyl]-2(3H)-furanone (arctigenin)으로 동정되었다. 활성물질에 대한 멜라닌 저해효과를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3.0{\mu}g/mL$에서 $52.7{\pm}3.1%$를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교 추출물을 3 % 함유한 크림의 미백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진행한 결과 전문의의 육안평가와 기기평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연교 추출물은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Differential Effect of Bovine Serum Albumin on Ginsenoside Metabolite-Induced Inhibition of ${\alpha}3{\beta}4$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Expressed in Xenopus Oocytes

  • Lee, Jun-Ho;Jeong, Sang-Min;Lee, Byung-Hwan;Kim, Dong-Hyun;Kim, Jong-Hoon;Kim, Jai-Il;Lee, Sang-Mok;Nah, Seung-Yeo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10호
    • /
    • pp.868-873
    • /
    • 2003
  • Ginsenosides, major active ingredients of Panax ginseng, that exhibit various pharmacological and physiological actions are transformed into compound K (CK) or M4 by intestinal microorganisms. CK is a metabolite derived from protopanaxadiol (PD) ginsenosides, whereas M4 is a metabolite derived from protopanaxatriol (PT) ginsenosides. Recent reports shows that ginsenosides might playa role as pro-drugs for these metabolites. In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bovine serum albumin (BSA), which is one of major binding proteins on various neurotransmitters, hormones, and other pharmacological agents, on ginsenoside $Rg_{2-}$, CK-, or M4-induced regulation of $\alpha3\beta4$ nicotinic acetylcholine (ACh) receptor channel activity expressed in Xenopus oocytes. In the absence of BSA, treatment of ACh elicited inward peak current ($I_{Ach}$) in oocytes expressing $\alpha3\beta4$ nicotinic ACh receptor. Co-treatment of ginsenoside $Rg_2$, CK, or M4 with ACh inhibited IAch in oocytes expressing $\alpha3\beta4$ nicotinic ACh receptor with reversible and dose-dependent manner. In the presence of 1% BSA, treatment of ACh still elicited $I_{Ach}$ in oocytes expressing $\alpha3\beta4$ nicotinic ACh receptor and co-treatment of ginsenoside $Rg_2$ or M4 but not CK with ACh inhibited $I_{Ach}$ in oocytes expressing $\alpha3\beta4$ nicotinic ACh receptor with reversible and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how that BSA interferes the action of CK rather than M4 on the inhibitory effect of $I_{Ach}$ in oocytes expressing $\alpha3\beta4$ nicotinic ACh receptor and further suggest that BSA exhibits a differential interaction on ginsenoside metabolites.

Monosaccharide as a Central Scaffold Toward the Construction of Salicylate-Based Bidentate PTP1B Inhibitors via Click Chemistry

  • Tang, Yan-Hui;Hu, Min;He, Xiao-Peng;Fahnbulleh, Sando;Li, Cui;Gao, Li-Xin;Sheng, Li;Tang, Yun;Li, Jia;Chen, Guo-R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3호
    • /
    • pp.1000-1006
    • /
    • 2011
  • The discovery of carbohydrate-based bioactive compounds has recently received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drug development. This paper stresses on the application of 1-methoxy-O-glucoside as the central scaffold, whereas salicylic pharmacophores were introduced with diverse spatial orientations probing into the structural preference of an enzymatic target, i.e.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PTP1B). By employing regioselective protection and deprotection strategy, 2,6-, 3,4-, 4,6- and 2,3-di-O-propynyl 1-methoxy-O-glucosides were previously synthesized and then coupled with azido salicylate via click chemistry in forming the desired bidentate salicylic glucosides with high yields. The inhibitory assay of the obtained triazolyl derivatives leads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2,3-disubstituted salicylic 1-methoxy-O-glucoside as the structurally privileged PTP1B inhibitor among this bidentate compound series with micromole-ranged $IC_{50}$ value and reasonable selectivity over other homologous PTPs tested. In addition, docking simulation was conducted to propose a plausible binding mode of this authorized inhibitor with PTP1B. This research might furnish new insight toward the construction of structurally different bioactive compounds based on the monosaccharide scaffold.

Studies on the Maturation of rabbit Follicular Oocytes in Vitro: Effects of Amino Acids and Carbohydrates

  • Bae, In-Ha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81-196
    • /
    • 1975
  • 토끼 여포난자의 성숙을 유도하는데 필요한 배양액의 성분중 아미노산 및 탄수화물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본배양액에 포함된 탄수화물의 pyruvate, lactate 및 glucose는 모두 난자의 성숙유도에 유효한 성분이었으나 필수영양물질은 아님이 밝혀졌다. 아미노산중에 glutamine과 proline은 난자의 성숙을 촉진하였다. 특히 glutamine은 위의 세가지 탄수화물의 전부 또는 그 각각이 포함된 기본 배양액에서 보다 높은 난자의 성숙율을 보였다. 2. 아미노산이 포함된 배양액에 난자를 24시간 배양할 경우 배양 과정중에 생성된 암모니아의 양은 glutamine이 포함된 배양액에서 가장 높았다 (15.2 $\\mu$g/ml). 그러나 이 양은 난자의 성숙을 억제하지는 않았다. 3. 난자의 성숙율은 배양액의 osmole이 270 mOsm일때 가장 높았으나 최적 범위는 250$\\sim$310 mOsm로 넓은폭을 보였다. 4. 토끼여포난자는 0.08$\\sim$2 mM의 glutamine과 소혈청단백(BSA)만이 포함된 기본 배양액에서 능히 성숙이 유도됨을 보았다. 5. $^14 C$-glutamine을 사용한 실험에서 glutamine이 토끼난자의 단백질합성과 에너지 공급원으로 이용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 PDF

제조방법을 달리한 차의 주요성분과 생리활성 (Major Constituents and Bioactivities of Tea Products by Various Manufacturing)

  • 조광호;배유림;양은정;박은지;마승진;박용서;정동옥;정순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96-602
    • /
    • 2006
  • 본 연구는 한지역에서 생산된 동종의 차 엽을 같은 시기에 채취하여 불발효차와 반발효차로 발효정도가 다르게 제다하여 주요 성분과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불발효차인 녹차는 일반 가공 방식대로 만든 녹차, 채엽하여 실내 위조의 과정을 거쳐서 만든 위조 녹차로 만들었고, 반발효차인 황차는 햇볕에서 제다한 중(中)발효차인 일쇄차와 강하게 발효를 한 황차를 시료로 하였다. 주요 성분은 일반성분 및 폴리페놀과 카페인의 함량을 분석하였고, 차의 수색,전자공여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 및 ACE 저해능을 조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차의 일반성분은 발효정도와 제다방법에 따라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의 기능성분을 조사해 본 결과 total phenolic compound 함량은 $3.59%{\sim}3.87%$의 범위로 나타나 발효정도와 제다방법에 따라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caffeine 함량은 녹차가 5.81%로 가장 높았으며, 위조차가 5.75%, 일쇄차가 3.46%, 황차가 2.66% 순으로 발효정도에 따라 caffeine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차의 수색은 발효정도가 강할수록 명도(L)는 감소하였고, 녹색도(-a)가 낮아지면서 적색(a)에 가까워졌으며, 황색도(b)는 발효정도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차의 전자공여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녹차가 85.6%로 가장 높았으며, 위조차가 81.24%, 일쇄차가 72.84%, 황차가 28.85% 의 순으로 불발효차 일수록 항산화활성이 뛰어났으며 ACE 효소 활성 역시 불발효차 일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그 차이는 미비하였다.

Ellagic acid가 대식세포의 면역조절작용에 미치는 영향과 Toll-like receptor 4 관련 작용기전 연구 (Study on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Ellagic Acid and their Mechanisms Related to Toll-like Receptor 4 in Macrophages)

  • 남궁승;김예진;김태성;손은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61-567
    • /
    • 2012
  • 본 연구는 EA에 의한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매개로 한 항암효과와 항암작용과 관련된 대식세포의 면역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EA에 의해 RAW264.7세포 및 peritoneal macrophage 모두에서 항암효과가 증가하였으며, 증가된 대식세포의 항암효과는 TLR4 signaling을 blocking하는 CLI-095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일부 감소되었다. 이는 EA에 의한 항암 효과가 부분적으로 TLR4를 경유하는 기전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EA에 대한 대식세포의 NO 분비조절효과를 측정하였으며, EA는 대식세포의 NO 생성을 증가시켰으나, 인위적으로 염증을 유발시켜 NO를 과도하게 분비한 상태에서는 NO 분비를 오히려 억제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EA에 의한 NO조절에 대한 이중 효과는 인체에 면역증강과 항염증 효과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방향으로 조절하고 있으므로 EA를 이용한 항암요법의 보조제 및 면역보조제로써의 활용에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EA에 대한 항암 작용 및 NO 조절에서 세포내 신호전달 작용기전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H2O2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잎 분획물의 PC12 cell 보호 효과 (PC12 Cell Protective Effects of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Leaf Fraction against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 박선경;진동은;박창현;승태완;최성길;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83-488
    • /
    • 2014
  •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잎의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distilled water 분획물의 total phenolic 화합물 함량은 chloroform 분획물이 206.8 mg GAE/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소거활성 및 지질 과산화(MDA) 생성 억제효과 실험 결과에서 chloroform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in vitro 항산화 실험들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인 chloroform 분획물을 이용하여 $H_2O_2$으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PC12 cell)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생성 억제효과, 세포 생존율 그리고 세포막 손상 억제효과 역시 농도 의존적 경향을 나타내며 positive control 로 사용된 Vit.C와 유의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HPLC 분석 결과 브로콜리 잎 chloroform 분획물에 존재하는 주요 phenolic 화합물은 feulic acid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생리활성 물질로서의 ferulic acid 등을 함유한 브로콜리 잎 chloroform 분획물은 in vitro 항산화 활성과 함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