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hibition rate

검색결과 1,538건 처리시간 0.025초

Salmonella typhimurium LPS Confers Its Resistance to Antibacterial Agents of Baicalin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and Novobiocin: Complementation of the rfaE Gene Required for ADP-L-glycero-D-manno-heptose Biosynthesis of Lipopolysaccharide

  • Chung, Tae-Wook;Jin, Un-Ho;Kim, Cheorl-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564-570
    • /
    • 2003
  • The antibacterial mechanism of enterobacter Salmonella typhimurium was studied. The rfa (Waa) gene cluster of S. typhimurium encodes the core oligosaccharide biosynthesis of lipopolysaccharide (LPS). Among the rfa gene cluster, we recently cloned the rfaE gene, which is involved in ADP-L-glycero-D-manno-heptose biosynthesis. The rfaE mutant synthesizes heptose-deficient LPS, which consists of only lipid A and 3-deoxy-D-manno-octulosonic acid (KDO), thus making an incomplete LPS and a rough phenotype mutant. S. typhimurium deep-rough mutants with the heptose region of the inner core show a reduced growth rate, sensitivity to high temperature, and hypersensitivity to hydrophobic antibiotics such as baicalin isolated from the medicinal herb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Thus, in this study, the cloned rfaE gene was added to the S. typhimurium rfaE mutant strain SL1102 (rfaE543), which makes heptose-deficient LPS and has a deep-rough phenotype. The complementation created a smooth phenotype in the SL1102 strain. The sensitivity of SL1102 to bacteriophages was also recovered to that of wild-type strain, indicating that LPS is used as the receptor for bacteriophage infection. The permeability barrier of SL1102 to hydrophobic antibiotics such as novobiocin and baicalin was restored to that of the wild-type, suggesting that antibiotic resistance of the wild-type strain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ir LPS. Through an agar diffusion assay, the growth-inhibition activity of baicalin was fully observed in the mutant SL1102 strain. However, only a half of the inhibitory activity was detected in the rfaE complemented SL1102 strain. Furthermore, the LPS produced by the rfaE-complemented SL1102 strain was indistinguishable from LPS biosynthesis of smooth strains.

TNF-$\alpha$에 의해 유도된 세포부착분자의 발현에 대한 Delphinidin chloride의 억제 효과 (Delphinidin Chloride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TNF-$\alpha$ Induced Cell Adhesion Molecules)

  • 고은경;채수철;서은선;나명석;이종빈
    • 환경생물
    • /
    • 제27권1호
    • /
    • pp.88-94
    • /
    • 2009
  • 안토시아닌(Anthocyanin)은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의 한 부류로 항산화, 항암 및 항궤양, 항당뇨, 중금속해독, 시력보호, 콜레스테를 저하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죽상경화과정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또는 혈관손상으로 인한 백혈구의 부착과 이동을 통해 시작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죽상경화의 초기과정에서 안토시아닌 혼합물 중 single compound인 delphinidin chloride (DC) 인간혈관 내피세포주(HUVEC,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line)에서 백혈구 부착과 관련이 있는 ICAM-1 (Intraceliular Adhesion Molecule-1)과 VCAM-1 (Vascular Adhesion Molecule-1)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TNF-$\alpha$에 의해 유도된 혈관 내피세포에 대한 단핵구의 부착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monocyte-endothelial cell adhesion assay와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형태학적 관찰을 한 결과 DC가 처리농도 의존적으로 부착을 억제하였다. 내피세포로부터 TNF-$\alpha$에 의해 유도된 세포부착 분자인 VCAM-1과 ICAM-1의 발현에 대한 영향을 western blot analysis 및 RT-PCR방법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VCAM-1과 ICAM-1의 단백질과 mRNA수준에서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안토시아닌 중에서 DC를 실험한 결과 DE는 TNF-$\alpha$에 의해 유도된 내피세포의 ICAM-1과 VCAM-1 발현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탈염소화 미생물 부착 혐기성 고정막 반응기에 의한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의 분해 (Degradation of Tetrachloroethylene (PCE) by a Dechlorinating Enrichment Culture Fixed in an Anaerobic Reactor)

  • 이태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3호
    • /
    • pp.49-55
    • /
    • 2004
  • 염화에틸렌 화합물에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고농도 (150mg/L)의 PCE를 cis-DCE까지 탈염소화하는 혼합미생물 농화 배양계 LYF-1을 구축하였다. LYF-1은 효모추출물, 펩톤, 포름산, 아세트산, 락트산, 피루브산, 시트르산, 석신산,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에탄올 등을 전자공여체로 이용하여 PCE를 탈염소화할 수 있었다. 한편, PCE를 대신할 수 있는 전자 수용체에 의한 PCE 탈염소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NO$_3$$^{-}$와 NO$_2$$^{-}$는 PCE의 탈염소화반응을 완전히 저해하였으나, S$_2$O$_3$$^{-2}$ , SO$_3$$^{-2}$ 및 SO$_4$$^{-2}$ 는 PCE의 탈염소화반응에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LYF-1 혼합미생물을 혐기성 고정생물막 반응기내의 세라믹 메디아에 부착하고, PCE의 유입부하율 변화에 따른 처리 효율을 조사한 결과, PCE의 부하율 0.13-0.78 $\mu$moles/L/hr의 범위 내에서 99% 이상의 PCE 탈염소화 효율을 보였으며, PCE 탈염소화 반응의 최종산물은 cis-DCE이었다.

Ammonium Thisoulfate 처리가 담수(湛水) 답토양(畓土壤)의 생물활성(生物活性)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monium Thiosulfate on Biological Activity in a Paddy Soil)

  • 임선욱;서영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0-47
    • /
    • 1994
  • 담수(湛水)된 고유기물(高有機物) 논토양에서의 ammonium thiosulfate(ATS)의 urease 활성(活性) 억제(抑制) 효과(效果)와 토양의 생물학적 활성 및 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ATS의 효과를 sodium thiosulfate(STS)와 비교하고 유기물 처리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Thiosulfate의 urease 활성 저해 효과는 3~5일후부터 나타났다. glucose 첨가구에서는 STS 처리가 ATS보다 효과가 다소 컸고, glucose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에는 처리 효과가 비슷하였다. 2. Thiosulfate 처리구의 pH는 초기에 높아지다가 glucose 무첨가시에는 10일 이후 낮아졌고, glucose 첨가시에는 15일 이후 낮아졌다. Eh는 thiosulfate 처리에 의하여 대체로 낮아졌다. 3. Thiosulfate 처리구에서 acet 산(酸)과 butyr 산(酸)은 소량($10{\mu}g/g$ 이하) 검출되었으므로, thiosulfate 처리에 의해 수도(水稻)의 생육이 저해되지는 않을 것이라 추정된다. 4. Glucose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에는 thiosulfate 처리에 의해 $CO_2$ 발생량이 증가하여 토양 생물의 활성을 높였다고 해석된다.

  • PDF

미세조류에 대한 캐슈넛 오일의 살조활성특징과 상승효과를 가지는 혼합처리제 탐색 (Algicidal Characteristics of Cashew Nut Oil against Microalgae and Development of its Mixtures with Synergistic Effects)

  • 곽화숙;김보관;김진석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3호
    • /
    • pp.136-14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캐슈넛 오일의 살조활성 특징을 파악하고, 유해조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혼합처리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된 시험 추출물중 anacardic acid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Ana-A가 남조류 M. aeruginosa에 대한 살조활성이 가장 높았다. Ana-A는 전체적으로 녹조류보다는 남조류에 대해 더 높은 살조활성을 가지면서 폭넓은 살조활성스펙트럼을 보였다. Ana-A에 대한 남조류 종간 반응에 있어서는 Oscillatoria tenuis ($IC_{50}=0.19{\mu}g\;mL^{-1}$)가 가장 민감하였고, 녹조류 중에서는 Chlorella vulgaris가 상대적으로 가장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었다($IC_{50}=4.54{\mu}g\;mL^{-1}$). Ana-A와의 혼합처리를 통해 효능이 상승되는 화합물을 탐색한 결과, MSB와 menadione은 매우 강한 상승작용을, citric acid는 약간의 상승작용을, chrysophanol, copper sulfate, quinoclamine 등은 상가적 작용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anacardic acid 고함유 캐슈넛 오일은 처리량의 최적화와 상승작용을 가지는 MSB 또는 menadione과 같은 화합물과의 혼합처리를 통해 M. aeruginosa 및 O. tenuis가 발생하는 현장의 선택적 제어를 위해 환경 친화적인 살조제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 같았다.

영지 IY009 균사체의 분획에 따라 추출된 ganoderan의 조성과 생리적 활성 (The Composition and Bioactivities of Ganoderan by Mycelial Fractionation of Ganoderma lucidum IY009)

  • 한만덕;정훈;이준우;백성진;김수웅;윤경하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4호통권75호
    • /
    • pp.285-297
    • /
    • 1995
  • 영지의 균사체를 분획화하여 ${\beta}-glucan$성 다당류인 ganoderan을 분리한 결과, 12%의 균체외성, 13%의 세포질성, 그리고 75%의 세포벽성 분획으로 각각 수획되었다. 각각의 분획들은 추출 부위와는 상관없이 포도당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었으며, ${\beta}-glucan$의 특정을 지닌 다당류이었다. Ganoderan의 구성당 및 구성 아미노산은 균사체 추출부위에 따라 상이한 비율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생리적 활성을 검색한 결과, 항 보체 활성은 균체외성이며 수용성인 EXO-WS 분획이 38%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세포벽에서 추출한 알칼리 가용성이며 수용성인 CW-AS-WS 분획이 37%를 나타내었다. 항암활성은 CW-AS-WS 분획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94%의 종양 억제율을 보였다. CW-AS-WS 는 평균 분자량 20kD로 80% 의 포도당으로 이루어진 ${\beta}-glucan$성 다당류이다.

  • PDF

톡소포자충 RH tachyzoites에 대한 감마선 조사가 충체의 숙주세포내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irradiation on intracellular proliferation of Toxoplasma gondii RH tachyzoites)

  • 국진아;오성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3호
    • /
    • pp.173-178
    • /
    • 1995
  • 톡소포자충(RH strain) tachyzoltes를 감마선에 조사하여 인체 백혈병 세포인 HL-60 세포와 정상 마우스의 복강 대식세포에 감염시킨 다음 충체 증식 능력에 어떠한 변화가 오는지 $^3H-uracil$ 흡수시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감마선 조사량은 30, 70, 100및 300 Gy로 하였고 tachyzoite감염은 시켰으나 감마선을 조사하지 않은 비조사군(NI군)과 tachyzoites를 넣지 않고 숙주세포만을 배양한 비감염군을 각각 두었다. 3H-uracil 흡수시험 결과 12-24시간 후 대식세포의 NI 군은 2,190-4,787(countperminute. 이하 같음), HL-60세포의 NI 군은 2,967-8,254의 높은 흡수량을 보였으나. 감마선 조사군은 대식세포 감염시 381-703(100 Gy조사군) 및 218-408(300 Gy조사군), HL-60 세포 감염시 1,911-2,618(30 Gy), 1,253-1,384(70 Gy), 1,013-1,090(100 Gy) 및 483-588(300 Gy)의 흡수량을 각각 보였다. 충체 증식에 대한 억제율은 300 Gy 조사시 12-24시간에 대식세포의 경우 90-92%. HL-60 세포의 경우 80-94%이었다. 이상과 같이 톡소포자충 RH tachyzoites가 감마선 조사 후 세포내 분열증식 능력에 치명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uracil 흡수 시험법으로 확인하였다.

  • PDF

Adenosine A3 Receptor Mediates ERK1/2- and JNK-Dependent TNF-α Production in Toxoplasma gondii-Infected HTR8/SVneo Human Extravillous Trophoblast Cells

  • Ye, Wei;Sun, Jinhui;Li, Chunchao;Fan, Xuanyan;Gong, Fan;Huang, Xinqia;Deng, Mingzhu;Chu, Jia-Qi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8권4호
    • /
    • pp.393-402
    • /
    • 2020
  • Toxoplasma gondii is an intracellular parasite that causes severe disease when the infection occurs during pregnancy. Adenosine is a purine nucleoside involved in numerous physiological processes; however, the role of adenosine receptors in T. gondii-induced trophoblast cell function has not been investigated until now.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regulated by adenosine receptors using a HTR-8/SVneo trophoblast cell model of T. gondii infection. HTR8/SVneo human extravillous trophoblast cells were infected with or without T. gondii and then evaluated for cell morphology, intracellular proliferation of the parasite, adenosine receptor expression, TNF-α production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MAP) kinase signaling pathways triggered by adenosine A3 receptor (A3AR). HTR8/SVneo cells infected with T. gondii exhibited an altered cytoskeletal changes, an increased infection rate and reduced viability in an infection time-dependent manner. T. gondii significantly promoted increased TNF-α production, A3AR protein levels and p38, ERK1/2 and JNK phosphorylation compared to those observed in uninfected control cells. Moreover, the inhibition of A3AR by A3AR siRNA transfection apparently suppressed the T. gondii infection-mediated upregulation of TNF-α, A3AR production and MAPK activation. In addition, T. gondii-promoted TNF-α secretion was dramatically attenuated by pretreatment with PD098059 or SP60012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3AR-mediated activation of ERK1/2 and JNK positively regulates TNF-α secretion in T. gondii-infected HTR8/SVneo cells.

Proteomics를 이용한 고랭지 배추의 고온장해 해석 (Proteomic Analyses of Chinese Cabbage(Brassica campestris L. pekinensis) Affected by High Temperature Stresses in Highland Cultivation During Summer in Korea)

  • 신평균;홍성창;장안철;김상효;이기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649-1653
    • /
    • 2007
  • 무더운 날씨가 지속됨으로서 고랭지배추의 생장 및 결구가 지연되고 있는 강원도 정선군 질운산(새빗재)의 600 m와 900 m의 배추를 사용하여 무기성분 및 단백질 발현패턴을 분석하였다. 식물체 무기성분에서는 생장에 관련된 질소 및 인산의 부족현상과 결구에 관련된 칼슘이 부족하였다. 단백체 분석은 2차원 전기영동에 의해 전체 126개의 단백질이 분리되었고 그중 48개의 단백질이 고도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 중에서 30개의 단백질 서열이 결정되었는데, 해발 900 m에서 단백질 발현이 증가한 14개 중에서 oxygen- evolving proteins, rubisco activase and ATPase 등이, 해발 600 m에서는 glutathione S-transferase (1, 28 kD cold induced- and 24kD auxin-binding proteins) and salt-stress induced protein 등 16개의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단백질은 식물체 손상에 대한 보호기작을 가진 스트레스관련 단백질로 가뭄, 온도상승, 밤낮의 온도차 등의 반복으로 복합적이며 동시 다발적으로 나타나는 고온장해 현상으로 사료된다.

개여뀌의 제초 및 항균활성 탐색 (Herbicidal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aqueous extracts of Persicaria longiseta)

  • 최고봉;우성배;송진영;강정환;김태근;김현철;송창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81-495
    • /
    • 2015
  • 본 연구는 개여뀌를 이용하여 친환경 농자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에 따른 수용체 식물의 발아 및 유식물 생장과 실험 병원균의 생장을 조사하였다. 개여뀌 추출물에 대한 발아효과 실험결과, 개여뀌의 수용성 추출액 처리 시 가시비름의 발아율은 25%에서 억제되었으나, 벤트그라스의 발아율은 추출액의 농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며, 특히 개여뀌의 추출액 농도 25%가 처리된 크림슨 클로버의 종자발아와 생체량은 대조구보다 촉진되었다. 개여뀌추출액에 의한 대부분 수용체 식물의 초기생장은 25%, 50%농도에서 촉진되었으나, 유근은 모든 농도에서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즉, 수용체식물의 종류와 부위에 따라 억제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몇 가지 식물병원균에 대한 실험결과 개여뀌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Phytophthora infestans, Pythium graminicola, Pythium venterpoolii의 균사생장을 강하게 억제시켰다. 식물체 부위별 개여뀌의 총 페놀함량을 조사한 결과 잎(1082.3 mg/l)에서 가장 많았으며 뿌리(228.6 mg/l), 줄기(207.8 mg/l) 순이었다. 이들 결과를 종합하면 개여뀌는 타식물과 경쟁을 함에 있어 allelopathy 효과를 나타내는 페놀 화합물 등이 수관 내 토양으로 방출하여 하부식생에 대한 발아 및 생장과 토양미생물 생장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천연제초제, 살균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