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7초

진세노사이드 Rd의 AMPK 및 PPAR 감마의 신호전달경로를 통한 항비만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Ginsenoside Rd via AMPK and PPAR Gamma)

  • 김명선;이명수;김순희;김성희;김현진;성미정;김혜영;권대영;황진택
    • KSBB Journal
    • /
    • 제22권5호
    • /
    • pp.341-344
    • /
    • 2007
  • 진세노사이드 Rd가 지방세포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진세노사이드 Rd는 3T-L1지방세포모델에 있어 효과적으로 지방분화를 억제한다. 2. 진세노사이드 Rd는 세포내 에너지대사의 필수 단백질인 AMPK를 활성화시키고 또한 지방분화과정에 발현 및 활성이 증가하는 PPAR 감마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이상의 결과로 진세노사이드 Rd는 세포내 에너지대사를 촉진하여 지방축적 억제에 탁월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진피 에탄올 추출물의 AMPK signaling pathway를 통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adipogenesis 억제에 관한 연구 (Ethanol Extracts of Citrus Peel Inhibits Adipogenesis through AMPK Signaling Pathway in 3T3-L1 Preadipocytes)

  • 조현균;한민호;홍수현;최영현;박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85-29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에서 진피 에탄올 추출물(ethanol extracts of citrus peel, EECP)이 유발하는 항비만 효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3T3-L1 세포의 생존율 및 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농도의 EECP를 처리하였을 경우 지방세포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lipid droplet의 형성과 triglyceride의 생성도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EECP가 유발하는 지방세포로의 분화억제에는 PPARγ, C/EBPα, C/EBPβ 및 SREBP-1c 등과 같은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의 발현억제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로 aP2 및 Leptin과 같은 adipocyte expressed genes의 발현도 억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EECP는 AMPK 및 ACC의 인산화를 유발하였으며, AMPK 억제제인 Compound C를 이용하여 AMPK의 활성을 억제하였을 경우 EECP에 의한 AMPK의 인산화와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의 억제현상이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EECP는 AMPK signaling pathway를 통하여 항비만 효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비만 예방 및 억제와 관련된 기능성 소재로서의 진피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Development of Anti-Obesity Agent from Resource Plants

  • Jeong, Yong-Joon;Kang, Se-Cha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2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5-15
    • /
    • 2012
  • Obesity is a physical condition that results from excessive storage of fat in the body.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nti-obesity effects of the selected natural medicine, Galla rhois extract (GRE) and solvent fractions on 3T3-L1 preadipocytes and in vivo studies. Here, we show that EtOAc fraction of Galla rhois inhibits the differentiation of the 3T3-L1 preadipocytes induced by differentiated medium in a dose-dependent mann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GRE-EtOAc fraction on obesity in high fat diet-fed C57BL/6 mice, which included a normal diet (ND), high-fat diet (HFD) and HFD+GRE concentration-dependent, were fed to the mice for 6 weeks. The GRE-EtOAc fraction was inhibited the highest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vitro, the GRE supplement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weight and visceral fat mass compared to the HFD group. The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in the plasm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GRE supplementation compared with those of the HFD group. Also, we aimed to determine the differentiation inhibition and the modulation of differentiation genes brought about by the Galla rhois in adipocyte. A cDNA microarray-based method was introduced for the high contents screening (HCS) of gene expressions. This technology has revolutionized gene expression studies by providing the means to measure mRNA levels in thousands of genes simultaneously in simple and complex biological samples. 13 genes were founded to be affected in their expression levels by more than 5-fold up-regulation after 4 days treatment with the EtOAc fraction from Galla rhois. Otherwise, 21 genes were founded to be affected in their expression levels by more than 5-fold down-regulation treated with the EtOAc fraction. Therefore, Galla rhois extract may be considered for use in a therapeutic agent to control obesity.

  • PDF

In vitro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ion and in vivo Effects on Lipid Metabolism i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of Euphorbia humifusa

  • Sung-Gyu Lee;Hyun K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387-398
    • /
    • 2024
  • Euphorbia humifusa Willd (Euphorbiaceae) is a functional raw material with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ies.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inhibitory effect of Euphorbia humifusa extract (EHE)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vitro and in a high-fat-diet (HFD)-induced mouse model to evaluate the E.a humifusa as a novel anti-obesity and lipid metabolism enhancer agent. EHE effects on obesity and lipid metabolism were assessed in HFD-induced obese mice after 4-week treatments. Results were compared among four treatment groups (n = 7/group): low fat diet (LFD), high fat diet (HFD), and HFD-induced obese mice treated with either 100 or 200 mg/kg/day EHE (EHE100 and EHE200, respectively). EHE (50 to 200 ㎍/ml) and quercetin (50 ㎍/ml) significantly reduced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p < 0.001),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EHE affected lipid metabolism, as evidenced by changes in serum lipid components. The HFD-EHE100 and HFD-EHE200 groups exhibited significantly (p < 0.05) reduced triglycerides (TG, 97.50 ± 6.56 and 82.50 ± 13.20 mg/dL, respectively) and low-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DL-c: 40.25 ± 4.99 and 41.25 ± 6.36 mg/dL,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HFD group (TG: 129.25 ± 19.81 mg/dL; LDL-c: 51.75 ± 11.59 mg/dL). Haematoxylin and Eosin (H&E) and Oil red O staining showed that EHE markedly reduced lipid accumulation and inhibited lipogenesis in the liver. Interestingly, EHE significantly (p < 0.01) reduced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in liver tissue. Our results indicated that EHE has the potential to be a therapeutic agent for addressing obesity and lipid metabolism.

태음조위탕(太陰調胃湯)이 백서(白鼠)의 비만증(肥滿症) 및 유도비만세포(誘導肥滿細胞)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s of Taeyeumjoweetang on the obesity of mouse and induced adipocyte 3T3-L1)

  • 이기주;전병훈;김경요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19-238
    • /
    • 1996
  • Effects of Taeyeumjoweetang on the obestity of mouse induced by gold thioglucose. It is research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Taeyeumjoweetang on the obesity of mouse induced by gold thioglucose and the differentiation and growth of preadipocyte, 3T3-L1 cell.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aeyeumjoweetang extract improved the blood level of transaminase changed by the obesity of mouse induced by gold thioglucose. 2. Taeyeumjoweetang extract inhibited the increase of liver fat and body fat induced by the obesity of mouse induced by gold thioglucose. 3. Taeyeumjoweetang extract inhibited the increase of body weight induced by the obesity of mouse induced by gold thioglucose. 4. Taeyeumjoweetang extract inhibited the growth of undifferentiate preadipocyte 3T3-L1. 5. Taeyeumjoweetang extract showed the effects of inhibition on the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 3T3-L1. The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aeyeumjoweetang extract may be used on the obesity induced by the over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adipocyte, and the accumulation of fat in liver and body.

  • PDF

백출, 어성초, 금은화, 황금, 황련과 Metformin의 병용 투여 시 항산화 효과 및 전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Effect of Atractylodes Rhizoma Alba, Houttuyniae Herba, Lonicerae Flos, Scutellariae Radix and Coptidis Rhizoma Extracts Combined with Metformin on the Antioxidant and Adipocyte Differentiate Inhibition)

  • 장세주;한경선;왕경화;채희성;최영희;진영원;최한석;김호준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4-32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ative capacity, antiobesity effects of Atractylodes Rhizoma Alba, Houttuyniae Herba, Lonicerae Flos, Scutellariae Radix, and Coptidis Rhizoma on Raw 264.7 and 3T3-L1 cell lines. Methods: Three different types of herb extracts (A. Rhizoma Alba, H. Herba, L. Flos, S. Radix, and C. Rhizoma; water 100%, ethanol 30%, ethanol 100%) were used in this study. Total polyphenol compound,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ctivity, NO production and cell proliferation were measured. Results: Total polyphenol compound measurement of L. Flos, A. Rhizogenes, and C. Rhizoma extracts were higher than A. Rhizoma Alba, H. Herba.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OS activity and NO production of S. Radix, C. Rhizoma extracts were lower than L. Flos, A. Rhizoma, and H. Herba. Conclusions: Metformin and S. Radix, C. Rhizoma, A. Rhizoma Alba, and L. Flos extracts combination groups showed synergistic effe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돌미나리씨 추출물에 의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억제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Methanol Extracts of Oenanthe javanica Seed in 3T3-L1 Preadipocytes)

  • 지향화;정현영;진수정;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688-1696
    • /
    • 2012
  • 돌미나리(Oenanthe javanica)는 뛰어난 해독작용과 항균작용으로 예로부터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나 돌미나리씨의 활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사용하여 돌미나리씨 메탄올 추출물(OJSE)의 지방세포분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전에 대해 조사하였다.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1{\sim}200{\mu}g/ml$)의 OJSE를 지방세포 분화유도제와 동시에 지방전구세포에 처리하여 분화시킨 후 Oil Red O 염색을 한 결과 세포내 lipid droplet 생성 및 triglyceride 축적이 OJSE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지방세포분화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방세포특이적 마커인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 ${\alpha}$, ${\beta}$ ($C/EBP{\alpha}$, $C/EBP{\beta}$) 및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의 발현이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이는 OJSE에 의해 지방세포 분화 관련 전사인자의 발현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저해되고 결과적으로 지방세포내 lipid droplet 생성 및 triglyceride 축적이 억제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OJSE처리에 의해 mitotic clonal expanstion 단계에서의 세포증식이 저해되었으며, 세포주기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OJSE처리에 의해 지방전구세포의 G1 arrest가 유발됨을 확인하였다.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 발현을 분석한 결과, OJSE 농도의존적으로 Cdk inhibitor인 p21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며, 반면 cyclin E, Cdk2, E2F-1 및 phospho-Rb의 발현은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에 의해 OJSE는 지방전구세포의 G1 arrest를 유도하고 지방세포분화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항비만 효능을 갖는 천연 소재임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는 이를 활용한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3T3-L1 세포에서 상엽이 유발하는 AMPK signaling pathway를 통한 adipogenesis 억제에 관한 연구 (Ethanol Extracts of Mori Folium Inhibit Adipogenesis Through Activation of AMPK Signaling Pathway in 3T3-L1 Preadipocytes)

  • 지선영;전경윤;정진우;홍수현;허만규;최영현;박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5-163
    • /
    • 2017
  • 상엽은 뽕나무 잎을 건조한 약재로서 항염증, 항당뇨, 미백, 항산화, 항박테리아, 항알러지 및 면역조절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약리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항비만 효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엽 에탄올 추출물(ethanol extracts of Mori Folium, EEMF)이 유발하는 항비만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3T3-L1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에서 EEMF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유도 시 EEMF를 처리하였을 경우 지방세포의 특징인 지방방울의 수 및 지방함량이 농도의 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triglyceride의 생성도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EMF는 pro-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인 SREBP-1c, $PPAR{\gamma}$, $C/EBP{\alpha}$$C/EBP{\beta}$ 의 발현억제와 함께 adipocyte-specific genes인 aP2 및 Leptin의 발현억제도 유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EEMF는 AMPK 및 ACC의 인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AMPK 억제제인 compound C를 이용하여 AMPK의 활성을 억제하였을 경우 EEMF에 의하여 유발되는 pro-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및 adipocyte-specific genes의 억제현상이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EEMF가 유발하는 adipogenesis의 억제는 AMPK signaling pathway의 활성화를 통하여 유발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상엽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T3-L1 세포분화 중 지방축적 및 ROS 생성에 대한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Sargassum micracanthum extract on Lipid Accumul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during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 이영준;윤보라;최현선;이부용;이옥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55-46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의 항비만 및 항산화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3T3-L1 전지방세포에 분화 유도물질을 처리하여 분화 과정 중에 잔가시 모자반의 지방축적과 ROS 생성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은 XTT assay에서 두 농도(10 및 100 ${\mu}g/mL$) 모두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지방세포 분화 중 세포 내 지방축적 및 ROS 생성량을 비교한 결과,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의 경우 지방축적량과 ROS 생성량 모두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전사인자인 $PPAR{\gamma}$$C/EBP{\alpha}$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ROS의 생성과 관련이 있는 주요 효소인 NOX4의 발현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축적 억제 효과와 더불어 ROS 생성 억제에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잔가시 모자반은 비만과 같이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개선을 위한 천연물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Insulin Inhibits the Expression of Adiponectin and AdipoR2 mRNA in Cultured Bovine Adipocytes

  • Sun, Y.G.;Zan, L.S.;Wang, H.B.;Guo, H.F.;Yang, D.P.;Zhao, X.L.;Gui, L.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0호
    • /
    • pp.1429-1436
    • /
    • 2009
  • Adiponectin is an adipocyte-derived protein that has a regulatory role in energy homeostasis and influences insulin sensitivity. Its effects on glucose utilization and lipid metabolism are mediated by AdipoR1 and AdipoR2. How insulin affects adiponectin gene expression and secretion is still controversia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xpression of adiponectin, AdipRs and $PPAR-\gamma$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bovine preadipocytes and the effect of insulin on expression of these genes in bovine adipocytes. The bovine preadipocytes started to accumulate lipids three days after differentiation was induced, with increased expression of adiponectin, AdipoR2 and $PPAR-\gamma$ mRNAs. Insulin decreased the expression of adiponectin mRNA in a dose- and time-dependent fashion, and the inhibition was detectable at insulin concentrations as low as 10 nM and as early as 2 h after addition of 100 nM insulin. Insulin also inhibited the expression of AdipoR2 mRNA at concentrations from 1 to 1,000 nM or 24 h after addition of 100 nM insulin, but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 of AdipoR1 in bovine adipocytes. Inhibition of PI3K with LY294002 reversed the inhibition of adiponectin and AdipoR2 mRNA expression by insul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sulin suppresses the expression of adiponectin and AdipoR2 at least partially via the PI3K signal path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