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hibition of ACE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24초

분리대두단백질 가수분해물의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저해효과 (Effect of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from Hydrolysate of Soybean Protein Isolate)

  • 백수연;도정룡;도건표;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13
    • /
    • 2010
  • 분리대두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제조 시, 최적 가수분해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총 7종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효소선정, 효소농도, 가수분해시간 및 분리대두단백질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단백질의 함량 정도를 나타내는 280 nm의 흡광도 측정과 수율을 대신한 brix 측정, 가수분해물의 ACE 저해활성 등을 조사하였다. 분리대두단백질 분말에 증류수를 5%의 분산농도로 하여 분해효소 Alcalase 2.4 L을 1%(v/w) 첨가하여 $65^{\circ}C$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가수분해하였다. 가수분해를 마친 후 효소의 반응정지를 위하여 $80^{\circ}C$에서 5분간 열처리한 후, $4^{\circ}C$로 냉각하여 원심분리(7,000 rpm, 40 min) 하였다. 원심분리 한 상등액을 취하여 여과한 후, $60^{\circ}C$에서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냉동시켜, 진공 동결건조 하여 분리대두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분리대두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수율은 38.32%를 나타냈으며, ACE 저해활성($IC_{50}$)은 $79.94 {\mu}g/mL$를 나타내었다.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iacremonone Produced in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reated Garlic

  • Woo, Koan Sik;Hwang, In Guk;Kim, Hyun Young;Lee, Sang Hoon;Jeong, Heon S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68-72
    • /
    • 2016
  •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thiacremonone isolated from high-temperature-high-pressure treated garlic,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properties. The $IC_{50}$ values of hydroxyl, superoxide, hydrogen peroxide, and nitric 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iacremonone were 92.50, 65.05, 12.60, and $81.53{\mu}g/mL$,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activities of vitamin C were 104.93, 99.43, 42.42, and $122.64{\mu}g/mL$, and the activities of butylated hydroxyanisole were 37.22, 68.45, 22.47, and $40.54{\mu}g/mL$, respectively. The $IC_{50}$ value of ACE inhibition activities of thiacremonone and captoprill were 0.265 and $0.036{\mu}g/mL$, respectively. The $IC_{50}$ value of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thiacremonone and allopurinol were 39.430 and $9.346{\mu}g/mL$, respectively. The $IC_{50}$ value of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of thiacremonone and kojic acid were 101.931 and $65.648{\mu}g/mL$, respectively.

찻잎의 수확시기, 돈차의 숙성기간 및 추출온도가 돈차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rvesting Time, Aging Period and Extracting Temperature of Wild Green Tea (Camell sinesis) Leaves on Physiological Activity of Don Tea)

  • 박용서;유현희;이미경;허북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65-371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otent physiological activity of traditional wild tea ("Don tea"; coin-shaped tea) as affected by different harvesting times, aging periods and extracting temperatures, No difference in anti-oxidative activities in the harvesting time and extracting temperature of tea leaves was observed. However, short aging periods of Don tea showed high ABTS {2-2-azonobis (3-ethylbenzothiazolin-6-sulphonic acid)} activity, ranging from 71.52 to 79.96%. DPPH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on tea was 71.10 to 91.40%. Especially, longer aging period and an extracting temperature of $100^{\circ}C$ showed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longer aging periods and an extraction at $90^{\circ}C$, nitrit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on tea ranged from 74.04 to 94.92%. On the other hand, angiotensin 1-converting enzyme (ACE) inhibition activity of Don tea was 59.77-81.97%. It showed higher activity when harvested in June and August, aged for longer periods, and extracted at $100^{\circ}C$. These results suggested Korean traditional Don tea exhibited the highest physiological activity when aged over 8 months.

  • PDF

포도 과피에서 분리한 효모 Pichia manshurica와 Pichia terricola의 생리활성 증진효과 (Enhance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wine yeasts Pichia manshurica and Pichia terricola isolated from grapes pericarp)

  • 박상국;김동민;오계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35-241
    • /
    • 2017
  • 본 연구는 포도의 과피에서 분리한 효모 Pichia의 생리활성 증진효과를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두 균주는 18S rRNA 염기서열분석에 근거하여 Pichia manshurica GU-3와 Pichia terricola GU-4로 각각 동정되었다. 주사전자현미경 분석을 통해 YPD 배지에서 배양한 두 분리세균은 세포표면에 출아와 출아흔적을 가지고 있었으며 전형적인 타원형을 보여주었다. 단일 및 혼합 Pichia 배양의 생리활성을 비교 관찰한 결과, 72시간 배양한 후, 혼합배양에서 tyrosinase억제, ACE 억제, 항산화 최대활성은 각각 81.7%, 45.9%, 42.7%로 나타났다. Superoxide dismutase-유사활성은 혼합배양에서 약 30%로 측정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혼합배양된 Pichia 종들은 생리활성을 증진시켰으며, 생리활성을 가지는 산물 개발의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한국 전통발효식품인 청국장에서 분리한 Bacillus methylotrophicus에 의한 항산화물질의 생산 (Antioxidant Production by Bacillus methylotrophicus Isolated from Chungkookjang,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 이나리;우가영;장준혁;이상미;고태훈;이희섭;황대연;손홍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55-862
    • /
    • 2013
  • Although antioxidant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were reported by many researchers,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of microorganism origin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was little. Therefore, we improved condition for antioxidant production by a bacterium isolated from home-made Chungkookjang. We selected a bacterial strain, which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from Chungkookjang and then named GJ. The selected GJ strain was identified as Bacillus methylotrophicus by alignment data of 16S rRNA gene nucleotide sequences. Improved medium compositions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0.25% sucrose, 1% peptone, 0.01% $MgSO_4{\cdot}7H_2O$ and initial pH 6.5, respectively. Optimal culture conditions were $30^{\circ}C$, 200 rpm and 4% inoculum volume, respectively. In improved condition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J reached to 91% in a short time. The strain GJ also possessed ACE inhibition and other antioxidative activities; ACE inhibition activity (49.4%),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99.8%), metal chelating activity (67.9%), SOD-like activity (36.5%) and reducing power ($A_{700}$ = 5.982) were observed, respectively.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B. methylotrophicus GJ strain may be potential candidate for functional foods, cosmetic products for anti-aging and medicine for diseases caused by oxidative stress.

고구마 끝순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es of Extracts of Sweetpotato Tips)

  • 이준설;박양균;안영섭;김학신;정미남;정병춘;방진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28-238
    • /
    • 2007
  • 고구마의 이용성을 증대하고, 고구마 끝순의 채소적 가치를 구명키 위해 페놀화합물의 함량, 지질산화 억제 효과,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ACE저해활성 등 생리활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고구마에 함유된 phenolics는 gallic, chlorogenic, gentisic, caffeic, couramic, ferulic acid 등 6종이었고, 이중 간독성 회복 및 항산화 효능이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chlorogenic acid, gentisic acid, caffeic acid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부위별로는 괴근에 비하여 잎과 끝순의 함량이 높았고, 고구마 끝순이 콩나물이나 들깨잎, 시금치보다 $16{\sim}122$배 높은 함량이었다. 용매분획별로는 총 함량 175.8 mg/g 중에서 EtOAc층에 55%, BuOH층에 39%가 함유되었다. 2. Rancimat를 이용하여 산패 유도기간을 조사한 결과, 고구마 끝순의 항산화력은 옥배유, 팜유 및 돈지에서 합성 항산화제인 토코페롤이나 BHT보다 높았고, 용매분획별로는 EtOAc>BHT>BuOH>Tocopherol>Water>$CHCl_3$>Hexane층 순으로 높았다. 3. 과산화물가에의한 항산화 활성은, 각 추출물별로는 끝순, 괴근, 토코페롤이 들깨잎, 콩나물, 시금치보다 낮은 과산화물가를 나타냈고, 이중 끝순은 토코페롤보다 더 높은 항산화성을 나타냈다. 고구마 끝순의 용매분획별 항산화활성은 대두유와 옥배유 및 팜유에서 BuOH와 water층의 항산화활성이 높았다. 4. 전자공여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고구마 끝순의 항산화 활성은 78.2%로 괴근 42.3%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들깨잎, 시금치, 콩나물은 $28.9{\sim}18.0%$로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구마 끝순에 다량 함유된 페놀화합물과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용매분획별로는 EtOAc>BuOH>Tocopherol>Water>$CHCl_3$>Hexane층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5. 아질산염소거능은 끝순, 들깨잎, 콩나물이 우수하였고 그중 들깨잎이 저해율 72%로 가장 높았으며, 용매분획 중에는 BuOH과 water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6. ACE 저해 효과는 고구마 부위별로는 끝순이 괴근에 비하여 1.5배 높았고, 들깨잎, 콩나물, 시금치보다 $1.9{\sim}3.7$배 높았다. 용매분획별로는 EtOAc, BuOH, water 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보였다. 7.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고구마 끝순에는 페놀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아질산염소거능 및 ACE저해활성과 같은 생리적 효과도 높아 기능성 채소로 이용하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고구마 끝순 추출물이 알코올 투여 흰쥐의 항산화 효소계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es of Extracts of Sweetpotato Tips)

  • 이준설;박양균;안영섭;김학신;정미남;정병춘;방진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11-420
    • /
    • 2007
  • 고구마의 이용성을 증대하고, 고구마 끝순의 채소적 가치를 구명키 위해 페놀화합물의 함량, 지질산화 억제 효과,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ACE저해활성 등 생리활성을 조사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고구마에 함유된 phenolics는 gallic, chlorogenic, gentisic, caffeic, couramic, ferulic acid 등 6종이었고, 이중 간독성 회복 및 항산화 효능이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chlorogenic acid, gentisic acid, caffeic acid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부위별로는 괴근에 비하여 잎과 끝순의 함량이 높았고, 고구마 끝순이 콩나물이나 들깨잎, 시금치 보다 $16{\sim}122$배 높은 함량이었다. 용매분획별로는 총 함량 175.8 mg/g 중에서 EtOAc층에 55%, BuOH층에 39%가 함유되었다. 2. Rancimat를 이용하여 산패 유도기간을 조사한 결과, 고구마 끝순의 항산화력은 옥배유, 팜유 및 돈지에서 합성항산화제인 토코페롤이나 BHT보다 높았고, 용매분획별로는 EtOAc>BHT>BuOH>Tocopherol>Water>$CHCl_3$>Hexane층 순으로 높았다. 3. 과산화물가에의한 항산화 활성은, 각 추출물별로는 끝순, 괴근, 토코페롤이 들깨잎, 콩나물, 시금치보다 낮은 과산화물가를 나타냈고, 이중 끝순은 토코페롤보다 더 높은 항산화성을 나타냈다. 고구마 끝순의 용매분획별 항산화활성은 대두유와 옥배유 및 팜유에서 BuOH와 water층의 항산화활성이 높았다. 4. 전자공여능에의한 항산화 활성은, 고구마 끝순의 항산화 활성은 78.2%로 괴근 42.3%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들깨잎, 시금치, 콩나물은 $28.9{\sim}18.0%$로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구마 끝순에 다량 함유된 페놀화합물과 관련된것으로 사료된다. 용매분획별로는 EtOAc>BuOH>Tocopherol>Water>$CHCl_3$>Hexane층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5. 아질산염소거능은 끝순, 들깨잎, 콩나물이 우수하였고 그중 들깨잎이 저해율 72%로 가장 높았으며, 용매분획 중에는 BuOH과 water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6. ACE 저해 효과는 고구마 부위별로는 끝순이 괴근에 비하여 1.5배 높았고, 들깨잎, 콩나물, 시금치보다 $1.9{\sim}3.7$배 높았다. 용매분획별로는 EtOAc, BuOH, water 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보였다. 7.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고구마 끝순에는 페놀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아질산염소거능 및 ACE저해활성과 같은 생리적 효과도 높아 금후 기능성 채소로 이용하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수산발효식품 중의 Angiotensin-I 전환효소 저해제의 특성 -2. 정어리 어간장 중의 Angiotensin-I 전환효소 저해제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Derived from Fermented Fish Product -2. Characteristics of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of Fish Sauce Prepared from Sardine, Sardinops melanosticta-)

  • 염동민;이태기;도정룡;김외경;박영범;김선봉;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16-423
    • /
    • 1993
  • 수산자원의 고도이용과 기능특성 해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산식품 중에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을 검색하기 위하여 전통수산발효식품의 하나인 정어리 어간장의 숙성에 따른 ACE 저해작용 및 gel 여과에 의한 활성획분의 분리 및 그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어리 어간장의 숙성에 따른 $5\%$ TCA 가용성 peptide-nitrogen의 생성은 전반적으로 숙성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잔사를 이용한 정어리 어간장의 경우는 숙성과 더불어 계속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CE 저해작용 또한 peptide-nitrogen의 생성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코오지 첨가구가 무첨가 경우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잔사를 이용한 경우는 오히려 코오지 무첨가 경우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정어리 어간장의 ACE 저해효과는 첨가량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육으로 만든 정어리 어간장의 ACE 저해효과는 코오지 첨가구의 경우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ACE 저해작용에 대한 가열의 영향은 다소차이는 있으나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IC_{50}$은 코오지 무첨가 잔사, 육 및 전어체로 만든 정어리 어간장의 경우는 각각 $125{\mu}g,\;200{\mu}g$ 이상 $125{\mu}g$으로 나타났으며, 코오지 첨가구의 경우는 각각 $140{\mu}g,\;100{\mu}g$$135{\mu}g$으로 나타났다. 5. Gel 여과에 의한 정어리 어간장의 ACE 저해작용을 가지는 획분중 획분 C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때의 분자량은 1,400전후인 것으로 나타났다. 6. 획분 C의 아미노산 조성은 Glu, Ala, Lys 및 Leu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미숙사과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Unripened Apple Extracts)

  • 원향례;박미원;최무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1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unripened apple extracts. The amount of total flavonoids in the peel and 5/30 samples were 2.7times and 5.0 times higher than the flesh and 6/30 samples, respectively. The degree of angintensin I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ion activity in hot water extracts was higher than the other extracts. In the 5/30 sample, a $0.1\%$ concentration of unripened apple powder showed almost the same electron-donating ability with a $0.5\%$ concentration of the 6/30 sample. More than $90\%$ of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was observed from the peel extracts regardless of solvents used for extraction. The nitrite-scavenging effects of acetone and methanol extracts of the 5/30 sample were the strongest at pH 1.2, and especially the $80\%$ methanol extracts exhibited a powerful scavenging effect of more than $90\%$ at pH 3.0.

  • PDF

감태 (Ecklonia cava) 추출물의 항고혈압 효과 (Antihypertensive Effect of Ecklonia cava Extract)

  • 홍장희;손범수;김범경;지희윤;송경식;이봉호;신현철;이경복
    • 생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0-205
    • /
    • 2006
  • Ecklonia cava is brown alga which ow in the sea all over the world. It has been shown that Ecklonia cava has antioxidative, anticoagulant, and antiviral effect, lately.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tihypertensiye effect of Ecklonia cava extract (Eca) on 2-kidney 1-clip Goldblatt Hypertensive Rats (GB-HT). In vitro assay, th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Eca (27-95% inhibition at $10-50\;{\mu}g/ml$). The systolic blood pressure of Eca-treated GH-HT significantly was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control CB-HT (15% decrease at 50 mg/kg). The serum ACE activity was also inhibited 19% with 50 mg/kg Eca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ca can be used as antihypertensive functional foods and nutraceutic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