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explosion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23초

풍량 및 운전시간 제어 방폭 배풍기 인버터 단자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xplosion-proof type's the terminal box of the ventilator with the control of wind volume and operating time)

  • 유동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87-192
    • /
    • 2018
  • 본 논문은 풍량 및 운전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방폭 타입 배풍기의 인버터 단자함 연구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는 열악한 환경에서 작업 시에 풍량 및 운전 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배풍기가 없는 실정이다. 유해가스 및 폭발 위험성이 있는 환경에 적정한 방폭 배풍기의 운전 시간과 풍량을 제어할 수 있는 방폭 단자함을 제작하는 것이 목적이다. 2개의 방폭형 스위치를 사용하여 운전시간을 1 시간, 3 시간, 그리고 연속 시간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하였고, 유도전동기 회전 속도는 2000rpm, 2600rpm, 그리고 3000rpm으로 3 단계로 설정하여 풍량 제어하였다. 실험한 모터는 1/2 마력 3상 유도전동기 사용하였으며 풀 브리지 인버터를 제작하여 원하는 풍량과 운전시간 설정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분진폭발 특성 (Dust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Multi-Walled Carbon Nano Tube)

  • 한인수;이근원;최이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1호
    • /
    • pp.40-47
    • /
    • 2017
  • 가연성 분진이 제조 취급되는 공정에서의 분진폭발 위험성은 항상 존재한다. 그러나 산업현장에서 취급되는 분진에 대한 분진폭발 특성 정보는 아주 미흡한 실정으로 사업장에서는 화학사고 예방대책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입도분포가 다른 두 종류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에 대한 분진폭발 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으며, NFPA 499 Code를 적용하여 MWCNT 제조 취급 공정의 분진폭발 위험장소 구분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평균입도가 $124.2{\mu}m$인 MWCNT 1의 $P_{max}$, $K_{st}$, LEL, MIE, 및 MIT는 각각 6.3 bar, $56bar{\cdot}m/s$, $125g/m^3$, 1000 mJ 초과 및 $650^{\circ}C$ 초과로 나타났다. 평균입도가 $293.5{\mu}m$인 MWCNT 2의 $P_{max}$, $K_{st}$, LEL, MIE, MIT는 각각 6.2 bar, $42bar{\cdot}m/s$, $100g/m^3$, 1000 mJ 초과 및 $650^{\circ}C$ 초과로 나타났다. NFPA 499 Code에 따른 MWCNT 1, 2의 폭발강도와 점화감도는 각각 0.35와 0.01 미만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MWCNT는 NFPA 499 Code에서 제시된 분진폭발 위험장소로 구분하여야 하는 가연성 분진으로 분류되지 않았다.

제조업체 방폭설비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losionproof devices Installat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 송용식;이준석;정현규;조원철;이태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565-570
    • /
    • 2007
  • The explosionproof apparatus is a devices that is enclosed in a case capable of withstanding an explosion of a specified gas or vapor that may occur within it and of preventing the ignition of a specified gas or vapor surrounding the enclosure by sparks, flashes, or explosion of the gas or vapor within, and that operates at such an external temperature that a surrounding flammable atmosphere will not be ignited thereby This kind of exeplosionfproof devices should be installed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or process condition that should be protected to prevent explosion or fire. But,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and techniques on the explosionproof technology, some dangerous area is not properly protected from an explosion or it cost too much to implement the explosionproof devices. In this report, the basic guidelines and several case studies of explosionproof devices installation will be introduced to be of help to field safety engineer.

  • PDF

접촉폭발에 의한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방폭성능 (Explosion Proof of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 Panel subjected to Contact Explosion)

  • 김윤환;김규용;김홍섭;이보경;이상규;남정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28-129
    • /
    • 2016
  • This paper evaluates experimentally the explosion proof of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FRCC) panels with various fibers of 2 % volume fraction subjected to contact explosions using an emulsion explosive. As a results, the proportion of the total damage in FRCC panels is not biased scabbing on the rear side with contrast to plain panels, which means that the local damage of FRCC panels was significantly controlled. The experimental results presented useful information for prediction of limited thickness on the local damage subjected to contact explosions through comparison with existing damage evaluation prediction equations.

  • PDF

GIS를 활용한 화학물질 폭발사고 피해분석 연구 (A Study on the Damage Analysis of Chemical Substances Explosion Accident Using GIS)

  • 함태윤;권기민;송문수;윤홍식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99-100
    • /
    • 2022
  • 화학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잠재적인 화학물질 폭발사고 위험 또한 증가하고 있다. 순식간에 치명적인 인명, 재산피해를 남기는 폭발에 대한 영향을 예측,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해석모델이 활용되고 있지만, 폭발의 물리적 특성상 다양한 형태의 건물이 밀집된 지역에 대해서는 해석모델 사용만으로 높은 정확도의 분석을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GIS 공간정보와 3D 폭발 시뮬레이션의 약결합 방식을 적용하였다. 실제 연구지역과 동일한 환경을 구현하여 시뮬레이션을 구동하였고 이에 따른 폭발 규모와 폭발에 노출된 대상별 가해지는 압력 값을 도출하였다. TNT를 기준으로 위험물 저장 및 취급시설에 대한 최저 기준인 지정수량 200kg을 적용하였음에도 최대 2,960kPa의 압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로 도출된 결과에 건축물의 용도와 중요도를 적용한다면 토지이용계획 및 공간활용에 반영할 수 있으며, 안전관리자로 하여금 리스크 평가, BC분석, 안전관리계획 수립 등에 활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 PDF

릴레이 모델 체킹을 이용한 상태 폭발 문제 해결 (Mitigating the State Explosion Problem using Relay Model Checking)

  • 이태훈;권기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11호
    • /
    • pp.1560-1567
    • /
    • 2004
  • 모델 체킹에서 고려해야 할 상태의 수는 모델의 크기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 이것을 상태 폭발 문제라고 부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추상화, 반순서, 대칭성 등이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방법들은 모델의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모델의 크기를 축소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와는 달리, 본 논문에서는 논리식을 순서적으로 분할하여 차례대로 모델 체킹을 수행하는 릴레이 모델 체킹을 제안한다. 그리고 기존 모델 체킹 기법으로 해결하지 못했던 상태 폭발 문제를 릴레이 모델 체킹으로 해결한 경험을 기술한다.

반복 조인(Join)을 이용한 관계형 논리 부품구성표(BOM) 데이타 베이스 설계와 그 효용성 분석 (Design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Relational Logical BOM (Bill Of Material) Database using Repeated Join)

  • 이경우;정기원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권1호
    • /
    • pp.57-76
    • /
    • 1992
  •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MRP) has been the most widely implemented large scale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Computerization of MRP systems involves, in general, Bill Of Material(BOM) explosion algolithms which usually takes heavy computation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MRP systems, we propose to build a logical BOM database in advance, which reflects the Join operations for the BOM explosion. It reduces the response time for the BOM indented explosion. It reduces the MRP processing time. It also increased main memory utilization.

  • PDF

폐플라스틱 열분해 유화 공정의 화재·폭발 위험성 및 안전관리 방안 (Fire and Explosion Hazards and Safety Management Measures of Waste Plastic-to-Pyrolysis Oil Conversion Process)

  • 서동현;최이락;임진호;한우섭
    • 신재생에너지
    • /
    • 제19권3호
    • /
    • pp.22-33
    • /
    • 2023
  • The number of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caused by pyrolysis oil and gas at waste plastic pyrolysis plants is increasing, but accident status and safety conditions have not been clearly identified. Therefor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risks of the waste plastic pyrolysis process and suggest appropriate safety management measures. We collected information on 19 cases of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that occurred between 2010 and 2021 at 26 waste plastic pyrolysis plants using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database and media reports. The mechanical, managerial, personnel-related, and environmental problems within a plant and problems related to government agencies and the design,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companies involved with pyrolysis equipment were analyzed using the 4Ms of Machines, Management, Man, and Media, as well as the System-Theoretic Accident Model and Processes (STAMP) methodology for seven accident cases with accident investigation reports. Study findings indicate the need for establishing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measures for waste plastic pyrolysis plants in order to prevent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in the pyrolysis process. In addition, ensuring safety from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stages of facilities is essential, as are measures that ensure systematic operations after the installation of safety devices.

마그네슘합금의 조성비율에 따른 폭발 및 화염전파 특성 (Properties of Explosion and Flame Velocity with Content Ratio in Mg-Al Alloy Particles)

  • 한우섭;이근원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3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폭발사고가 반복되고 있는 마그네슘합금(Mg-Al alloy) 분진의 동종재해 예방대책을 위한 안전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폭발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고 화염전파속도를 추정하였다. 화염전파속도는 폭발과 압력 강도에 영향을 주지만 분진폭발에서는 화염의 확산에 따른 피해예측에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실험은 마그네슘합금(평균입경 151~161 ${\mu}m$)의 성분비에 따른 폭발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밀폐공간의 분진폭발에서 화염전파속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분진의 연소시간과 화염면의 도달시간을 고려하고 폭발압력으로부터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Mg-Al(60:40 wt%), Mg-Al(50:50 wt%), Mg-Al(40:60 wt%)의 최대화염전파속도는 각각 15.5, 18, 15.2 m/s가 얻어졌으며 성분비율에 따라 최대화염속도는 변화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플라스틱 부유 분진의 폭발특성과 화염전파속도 (Explosion Characteristics and Flame Velocity of Suspended Plastic Powders)

  • 한우섭;이근원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3호
    • /
    • pp.367-373
    • /
    • 2016
  •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분진은 대부분 가연성이며 화재폭발사고 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산업현장에서 안전한 취급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폭발특성 자료는 매우 적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에서 취급하는 다양한 플라스틱 분진 의 폭발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여 관련 자료와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 L 분진폭발시험장치를 사용하여 각종 폭발특성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ABS ($209.8{\mu}m$), PE ($81.8{\mu}m$), PBT ($21.3{\mu}m$), MBS ($26.7{\mu}m$) 및 PMMA ($14.3{\mu}m$)시료의 분진폭발지수($K_{st}$)는 각각 62.4, 59.4, 70.3, 303, 203.6[$bar{\cdot}m/s$]의 값이 얻어졌다. 또한 플라스틱 분진폭발에 의한 피해예측을 위하여 분진폭발압력에서 분진의 연소속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최대압력소요시간 및 화염도달시간을 고려한 화염전파속도모델을 통하여 분진폭발시의 화염전파속도를 추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