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ant temperament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4초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영아기질, 양육행동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Mother's Variou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fant Temperament, Nurturing Behavior, effect on Infant Development - The Mediating effects of Nurturing Behavior-)

  • 최선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160-517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 심리적 특성(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우울, 양육스트레스), 영아기질, 양육행동이이 영야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변인들의 설명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08년도에 출생한 영아 1,802명과 어머니이다. 연구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을 하였으며 Amos 16.0을 통하여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와 각 변인 간의 직 간접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긍정적 심리특성의 영향으로 인하여 어머니 양육행동까지 긍정적 영향을 미쳐 영아발달의 간접 효과는 유의하였고, 어머니 양육행동을 매개하여 영아발달로 가는 경로에서 완전매개의 역할을 하였다. 둘째, 영아기질 및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간접 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어머니 양육행동을 매개하여 영아발달로 가는 경로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 및 영아의 정서적 반응성과 참여 간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mperament, Maternal Emotional Availability, Infant Emotional Responsiveness and Involvement)

  • 이형민;조복희
    • 아동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23-242
    • /
    • 201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infant temperament, maternal emotional availability, infant emotional responsiveness and involvement. A total of 60 infant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other-infant dyads were observed and mothers then completed questionnaires.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In terms of infant emotional responsiveness, maternal sensitivity and non-hostility, these were revealed to have had an effect on infant emotional responsiveness. Moreover, infants who have mothers who had the ability to read their infants' emotional signals accurately, responded in appropriate ways and interacted with affection, showed a higher level of responsiveness. In terms of infant emotional involvement, maternal structuring had an effect on infant emotional involvement. That is, infants who have mothers willing to support their infants through appropriate guidance and facilitate their interaction were more emotionally involved during the play sessions. In conclusion, maternal sensitivity, non-hostility and structuring were all related to infant emotional responsiveness and involvement, however, the degree of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differed.

미숙아 어머니와 정상아 어머니가 지각한 영아의 기질과 양육스트레스 (A Comparative Study on Infant's Temperament & Parenting Stress by Premature & Full-term Infant's Mother)

  • 김소영;권미경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3-136
    • /
    • 2005
  •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infant's temperament and parenting stress perceived by premature infants' mother and full-term infants' mother. It aims at establishing the healthy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infants. It investigates the basic data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help the mother of premature infant.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May 1, 2005 to May 30, 2005, and the subjects were total 123 mothers: 44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and 79 mothers of full-term infants under 6 months who visited general hospitals, individual pediatrics, and health center located in G city. "What My Baby Is Like(WBL)" developed by Pridham, Chang, and Chiu(1994) and translated by Bang Kyeong Sook(1999) was used as a measuring instrument of infants' temperament, and Parenting Stress Index (PSI) developed by Abidin(1990) and revised and complemented by Kim Dong Hee(1997) was used as a measuring instrument of parenting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X^2$-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with SPSS 12.0 window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ant's temperament perceived by premature infants' mothers and full-term infants' mothers (t=-4.08, p=.00). In subcatego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mature infants' mother and full-term infants' mother in geniality(t=-3.62, p=.00), adaptation(t=-3.43, p=.00) and reaction(t=-2.01, p=.05).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between premature infants' mother and full-term infants' mother(t=6.57, p=.00). The parenting stress of premature infants mothers appeared to be higher than full-term infants' mothers. They showed the higher stress in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area(t=6.27, p=.00) and child area(t=7.38, p=.00) among 3 areas of parenting stress. 3.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fants' temperament and parenting stress. As mothers perceived the infant's temperament negatively, the parenting stress. Especially, the negative correlation of infants' temperament and parenting stress of premature infants' mothers(r=-.44) was stronger than that of full-term infants' mothers(r=-37). From the research, as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receive more stress, their stress can cause the serious problem to the relationship of the mother and the infant. Therefore, the nursing interven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order to change the negative perception of mothers towards their infants into the positive perception reduce the parenting stress.

  • PDF

영아기 인지·의사소통 발달 관련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Cognitive and Communication Ability Related Variables on Infants)

  • 백지숙;권은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3-123
    • /
    • 2018
  • 본 연구는 영아의 인지능력 및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영아기질, 영아-교사상호작용, 모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S시에 거주하는 만 2세 영아 249명으로 평균월령은 30.21개월이었다. 'K-ASQ', '영아의 기질 평정도구', '부모 스트레스 척도 축소판, '영아교사 상호작용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계수와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인지 및 의사소통능력과 사회성 기질, 영아-교사 상호작용간의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으며, 영아의 인지 및 의사소통 능력과 정서성 기질, 모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인지 및 의사소통 능력에 발달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성 기질은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만 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인지능력에 영향을 주기보다는 주로 직접적인 경로로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정서성 기질은 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영아의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기질은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영아-교사 상호작용은 영아의 인지능력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아의 의사소통 능력에 관한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기질,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발달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 among Infants' Temperament,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Development)

  • 유지은;신애선;김경후;송미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79-29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기질,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영아의 사회 정서 행동발달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J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55개 어린이집의 만 1~2세 영아의 부모 3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질은 아버지 양육참여 중 여가지도, 생활지도와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사회 정서행동의 외현적 문제행동인 활동성/충동성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사회 정서행동의 주의집중, 모방/놀이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사회 정서행동은 영아기질 접근회피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최종모형의 변인 간 경로계수를 통한 적합도 검증결과, 영아기질은 아버지 양육참여와 사회 정서행동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경로임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영아의 사회 정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아기질과 아버지 양육참여의 역할을 확인하고, 영아기 자녀의 사회 정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교사 직무만족도 및 영아기질과 교사-영아 관계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Infant Temperament Associated with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the 2-year-olds class)

  • 이기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9-107
    • /
    • 2007
  • 본 연구는 영아 보육시설에서의 교사 직무만족도 및 영아 기질에 따라 교사-영아 관계가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영아 보육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주지역의 27개 보육시설에서 영아반 교사 50명과 교사가 담당하는 영아 175명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연령과 근무하는 시설유형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원장과의 관계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연령이 높은 교사가 연령이 낮은 교사들보다 더 높았고, 반면, 보수에 대한 만족도는 연령이 낮은 교사들이 높은 교사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영아 성별과 월령에 따른 영아 기질은 차이가 없었다. 교사-영아관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어서 여아가 남아의 경우보다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였으며, 어린 영아들이 교사와 더욱 의존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직무만족도는 교사-영아 관계에서 친밀성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는 친밀한 교사-영아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과 의존성의 부정적인 교사-영아 관계는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영아 기질에 따른 교사-영아 관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질은 교사-영아 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산모의 산후우울 여부에 따른 영아의 기질과 건강문제 (Infants' Temperament and Health Problems according to Maternal Postpartum Depression)

  • 방경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44-450
    • /
    • 2011
  • Purpose: Mothers' postpartum depression is a worldwide health concern that produces compromising effects on their inf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infants' temperament and health problem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maternal postpartum depress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October in 2009. The sample was 137 mothers at one month postpartum. The Edinburgh Postpartum Depression Scale (EPDS) was used to assess depressive symptoms. Results: At one month postpartum, 22.6% of mothers were classified as having postpartum depression. Infants of depressed mothers were more frequently classified as difficult temperament infants. They showed lower scores on the amenability, rhythmicity and persistency and higher scores on activity in temperament. Also, infants of depressed mothers reported more infant health problems at one months. Maternal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family functioning, soci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Conclusion: Study findings show that postpartum maternal depression is associated with infants' temperament and health, and thus screening and early interventions for postpartum depression would promote the health of both the mother and infant.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영아의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s of Toddler'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on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Ability)

  • 김기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의 어휘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I시에 위치한 47개 어린이집의 18~24개월 영아 299명과 어머니이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기질과 어휘력의 관계를 기질의 구성차원별로 살펴보면, 접근-회피와 적응성, 기분은 이해 및 표현어휘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반응강도는 이해어휘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어휘력의 관계를 어머니 양육행동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교수적 양육행동과 긍정한계선 설정 양육행동은 이해 및 표현어휘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영아의 어휘력 발달에 대한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을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이해어휘에 대해서는 접근-회피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교수적 양육행동, 반응강도, 기분의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났다. 표현어휘에 대해서는 교수적 양육행동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기분, 반응강도, 활동성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났다. 영아 어휘력 발달에 있어서 이해어휘는 영아의 기질인 접근-회피가, 표현어휘는 어머니 양육행동인 교수적 양육행동의 영향력이 가장 큰 변임임이 밝혀져, 어머니는 영아의 이해어휘 발달을 위해 기질에 적합한 상호작용과 표현어휘 발달을 위해 사물과 사건의 특성에 대해 말로 표현해 주는 양육행동을 하여야겠다.

영아기 기질의 발달적 변화와 영아기 사회적 부적응 행동 간의 관계 : 초기 기질 특성과 기질의 변화 패턴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of Developmental Change of Temperament and Problem Behaviors During Infancy: Early Characteristic of Temperament and Developmental Patterns)

  • 김수정;곽금주
    • 아동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83-199
    • /
    • 2007
  • This longitudinal study investigated developmental changes in temperament and examined social adjustment problems by early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patterns of temperamental change during infancy. Subjects were 153 six-month-old infants and their mothers. Infant temperament and toddler's problem behavior were measured by the Infant Behavior Questionnaire-Revised (Garstein & Rothbart, 2003) and the Toddler Behavior Checklist (Larzelere et al., 1989),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hat distress to limitations, high pleasure, perceptual sensitivity, and approach increased with age, while activity level, cuddliness, and vocal reactivity decreased. Infants with high scores in activity level, fear, sadness, and approach at 6 months showed more problem behaviors at 18 months. Infants showing abrupt developmental change of high pleasure and perceptual sensitivity developed more negative behavior.

  • PDF

Delay of Gratification in Infancy : Effects of Infants' Temperament and Parenting

  • Rha Jong-Hay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권1호
    • /
    • pp.59-7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end our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al antecedents of delay of gratification in infancy. The first goal was to examine direct effects of one feature of an infants’ temperament and of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ssumed at age one on children’s delay of gratification six months later. The second goal of the study was to test the interactive effect of early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on children’s delay of gratification. It was hypothesized that 1) less negative infants at 12 months would delay gratification longer six months later, 2) children of parents who provided more positive and sensitive feedback would delay gratification longer than children with parents who were more negative and less sensitive, and 3) there would be differential prediction of parenting for children who scored high and low in negative emotionality as infants. Toward this end, 81 infants were observed interacting at one year of age with their mothers and fathers during laboratory assessments to obtain measures of parenting and infant negative emotionality. At 18 months of age, the child’s capacity to delay touching attractive objects was measured. The main effects of infant negative emotionality and of mothering on children’s delay of gratification were not detected at standard levels of significance. Differential effects of parenting on children’s delay of gratification for infants with low or high negative emotionality, too, were not detected. However, the anticipated effect of fathering on delay of gratification was found in some analyses, indicating that the more positive fathering children received, the longer they could delay gratification in the laboratory six months la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