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ant birth weight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47초

Hearing loss screening tool (COBRA score) for newborns in primary care setting

  • Poonual, Watcharapol;Navacharoen, Niramon;Kangsanarak, Jaran;Namwongprom, Sirianong;Saokaew, Surasak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0권11호
    • /
    • pp.353-358
    • /
    • 2017
  • Purpose: To develop and evaluate a simple screening tool to assess hearing loss in newborns. A derived score was compared with the standard clinical practice tool. Methods: This cohort study was designed to screen the hearing of newborns using transiently evoked otoacoustic emission and auditory brain stem response, and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earing loss of newborns in 3 tertiary hospitals in Northern Thailand. Data were prospectively collected from November 1, 2010 to May 31, 2012. To develop the risk score, clinical-risk indicators were measured by Poisson risk regression. The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transformed into item scores dividing each regression-coefficient with the smallest coefficient in the model, rounding the number to its nearest integer, and adding up to a total score. Results: Five clinical risk factors (Craniofacial anomaly, Ototoxicity, Birth weight, family history [Relative] of congenital sensorineural hearing loss, and Apgar score) were included in our COBRA score. The screening tool detected, by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more than 80% of existing hearing loss. The positive-likelihood ratio of hearing loss in patients with scores of 4, 6, and 8 were 25.21 (95% confidence interval [CI], 14.69-43.26), 58.52 (95% CI, 36.26-94.44), and 51.56 (95% CI, 33.74-78.82), respectively. This result was similar to the standard tool (The Joint Committee on Infant Hearing) of 26.72 (95% CI, 20.59-34.66). Conclusion: A simple screening tool of five predictors provides good prediction indices for newborn hearing loss, which may motivate parents to bring children for further appropriate testing and investigations.

Oral findings and its association with prenatal and perinatal factors in newborns

  • Perez-Aguirre, Brenda;Soto-Barreras, Uriel;Loyola-Rodriguez, Juan Pablo;Reyes-Macias, Juan Francisco;Santos-Diaz, Miguel Angel;Loyola-Leyva, Alejandra;Garcia-Cortes, Obed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1권9호
    • /
    • pp.279-284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abnormalities in the newborn oral cavity an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with prenatal and perinatal factor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evaluated 2,216 newborns. Oral findings were assessed in the first 24 hours of life using visual examination. Sex, weight, length, gestational age, and medical disorders at birth were recorded. Maternal demographic and medical information was also obtained. Results: The most common oral findings were Bohn's nodules, Epstein's pearls, and dental lamina cysts. Other intraoral findings included odontogenic cysts, ankyloglossia, and natal teeth, among others.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folic acid consumption during pregnanc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hn's nodules (odds ratio [OR], 1.79; 95% confidence interval [CI], 1.23-2.55; P=0.002), Epstein's pearls (OR, 1.63; 95% CI, 1.14-2.33; P=0.007), and dental lamina cysts (OR, 1.45; 95% CI, 1.02-2.05; P=0.038). Moreover, preterm birth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revalence of Bohn's nodules (OR, 0.63; 95% CI, 0.50-0.80; $P{\leq}0.0001$). Comparison between newborns with and without oral inclusion cysts showed that maternal folic acid and iron intak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Conclusion: Maternal folic acid and iron intake were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oral inclusion cysts.

Cerebral Oxygenation during Apnea in Preterm Infants: Effects of Accompanying Peripheral Oxygen Desaturation

  • Choi, Seo Hee;Lee, Juyoung;Nam, Soo Kyung;Jun, Yong Hoon
    • Neonatal Medicine
    • /
    • 제28권1호
    • /
    • pp.14-21
    • /
    • 2021
  • Purpose: Premature infants have immature respiratory control and cerebral autoregulation. We aimed to investigate changes in cerebral oxygenation during apnea with and without peripheral oxygen desaturation in premature infants. Methods: This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at Inha University Hospital. Near-infrared spectroscopy (NIRS)-monitored regional cerebral oxygen saturation (rScO2) and pulse oximeter-monitored peripheral oxygen saturation (SpO2) were assessed during the first week of life in 16 stable, spontaneously breathing preterm infants. Apneic episodes that lasted for ≥20 seconds or were accompanied by desaturation or bradycardia were included for analysis. The average rScO2 value during the 5-minute prior to apnea (baseline), the lowest rScO2 value following apnea (nadir), the time to recover to baseline (recovery time),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and the overshoot above the baseline after recovery were analyzed. Results: The median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of the infants were 29.2 weeks (interquartile range [IQR], 28.5 to 30.5) and 1,130 g (IQR, 985 to 1,245), respectively. A total of 73 apneic episodes were recorded at a median postnatal age of 2 days (IQR, 1 to 4). The rScO2 decreased significantly following apneic episodes regardless accompanied desatura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aseline, nadir, or overshoot rScO2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rScO2 AUC for apnea with desatu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r apnea without desaturation. Conclusion: Cerebral oxygenation can significantly decrease during apnea, especially when accompanied by reduced SpO2. These results add the evidence for the clinical utility of NIRS in monitoring premature infants.

The Bayley-III Adaptive Behavior and Social-Emotional Scales as Important Predictors of Later School-Age Outcomes of Children Born Preterm

  • Yun, Jungha;Kim, Ee-Kyung;Shin, Seung Han;Kim, Han-Suk;Lee, Jin A;Kim, Eun Sun;Jin, Hye Jeong
    • Neonatal Medicine
    • /
    • 제25권4호
    • /
    • pp.178-185
    • /
    • 2018
  • Purpose: We aim to assess the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third edition (Bayley-III), Adaptive Behavior (AB) and Social-Emotional (SE) scales at 18 to 24 months of corrected age (CA) to examine their associations with school-age cognitive and behavioral outcomes in children born preterm. Methods: Eighty-eight infants born with a very low birth weight (<1,500 g) or a gestational age of less than 32 weeks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rom 2008 to 2009 were included. Of the 88 children who completed school-age tests at 6 to 8 years of age, 37 were assessed using the Bayley-III, including the AB and SE scales, at 18 to 24 months of CA. Correlation, cross-tabulation, an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e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longitudinal associations. Results: A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communication scores on the Bayley-III AB scale at 18 to 24 months of CA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K-WISC) full-scale intelligence quotient (FSIQ) at school age (r=0.531). The total behavior problem scor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at school age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the Bayley-III SE and AB scales but not to the cognitive, language, or motor scales. Conclusion: Our findings encourage AB and SE assessments during the toddler stage and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early identification of children in need of interven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follow-up with high-risk infants.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경피적 산소포화도의 적정 범위 (The Optimal Pulse Oxygen Satura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or Very Preterm Infants)

  • 유선영;강혜진;김민정;장미영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320-327
    • /
    • 2011
  • 목적: 조산아는 산화 방지 시스템이 미성숙하여 과산소증 및 저산소증에 노출되면 이차적으로 중추 신경계, 호흡계, 혈액계 등 다른 체내 기관에 손상이 올 수 있다. 저자들은 1,500 g 미만 또는 32주 미만의 조산아에서 동맥혈 산소 분압을 50-70mmHg근처로 유지하기 위하여 경피적 산소 포화도를 90-94%로 유지하여 과산소증 및 저산소증을 회피하는 전략 하에 치료하였던 군(T)과 고식적인 경피적 산소 포화도 감시를 하였던 군(C)에서 사망률, 입원 기간 및 이환율에 대해 비교하였다. 방법: 충남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였던 신생아 중 1,500 g 미만 또는 32주 미만의 조산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2008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경피적 산소포화도를 90-94%으로 유지하였던 조산아들을 T군으로 하였고 2007년 1월에서 2008년 8월까지 경피적 산소 포화도 감시의 지침 없이 고식적인 관리를 하였던 조산아들을 C군으로 하였다. 양 군 간에 입원 중 사망률, 입원기간, 만성폐질환으로 이행 및 치료 여부, 괴사성 장염, 미숙아 망막증, 뇌실 내 출혈, 동맥관 개존증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양 군의 기본 특징은 성별 외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망률은 T군에서 C 군 보다 적은 경향은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5.3% vs. 16.7%, P=0.127). 두 군간에 입원기간, 만성폐질환, 산소 사용 기간과 괴사성 장염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ICROP 제 3기 이상의 중증 미숙아 망막증은 T군이 C군 보다 적은 경향을 보였으며(2.6% vs. 10%, P=0.203), 뇌실 내 출혈의 발생 빈도는 T군에서 C군 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18.4% vs. 40.0%, P=0.051). 치료가 필요하였던 동맥관 개존증의 빈도는 양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결론: 극소 저체중 출생아 또는 극소 조산아에서 경피적 산소포화도를 90-94%으로 유지하는 전략은 과산소증 및 잠재적인 저산소증에의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서 합병증의 증가 없이 단기적 예후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식이 불내성을 임상적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장염 (Feeding Introlerance Due to Allergic Enterocoliti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고유미;김진규;안소윤;유혜수;전가원;김은선;장윤실;박원순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204-210
    • /
    • 2011
  • 목적: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식이 불내성은 매우 흔하나, 괴사성 장염 외에는 원인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기관에서는 식이 불내성이 지속되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 중 알레르기성 장염을 의심하여 치료한 경험이 있어 이의 임상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였던 출생 체중 1,500 g 미만의 미숙아들 중에 식이 불내성을 보이고, 말초혈액 검사상 중등도 이상의 호산구증(${\geq}$1,000 cells/$mm^3$)이 동반되는 경우에 신생아 괴사성 장염이 배제된 상태에서 식이 제한 모유 혹은 가수 분해 분유에 반응하였던 경우들을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대상 181명 중에서 식이 불내성을 나타낸 환자는 총 161명(88.9%), 호산구 증가증을 나타낸 환자는 119명(65.7%), 중등도 이상의 호산구 증가증을 나타낸 환자는 85명으로 47%의 유병률을 보였다. 알레르기성 장염으로 진단받은 환자는 17명으로 9.4%의 유병률을 보였다. 식이 불내성 환자 중 알레르기성 장염군(n=17)과 비알레르기성 장염군(n=144)과의 비교에서 평균 재태 주수, 출생 체중, 입원 기간, 항생제 사용 기간, 증상 발생일, 정맥 영양 기간은 차이가 없었으나, 최대 호산구 %의 평균값은 두 질환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알레르기성 장염으로 진단 받은 환자들 중 식이 제한모유로 2명인 12%에서 증상의 호전을 보였고, Extensively hydrolyzed formula로 10명(59%)에서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Free amino acid-based formula로 5명(29%)에서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결론: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식이 불내성이 있는 경우 알레르기성 장염의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고 이 경우 식이 변경을 통해 적극적인 식이 진행이 가능하였다.

극소저체중 출생아에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으로 인한 카테터 연관 혈류감염의 위험인자 (Risk Factors of Catheter-related Bloodstream Infection Due to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조일현;정태웅;이주영;문세나;빈중현;이현승;이정현;김소영;성인경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288-292
    • /
    • 2011
  • 목적: 소아와 신생아에서의 MRSA 감염의 발병률은 증가되었고, 특히 극소저체중 출생아에서 중심정맥카테터의 빈번한 사용과 연관되었다. 이번 연구는 NICU에 입원한 극소저체중 출생아를 대상으로 MRSA로 인한 CRBSI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고, CRBSI로 인해 사망한 환자와 생존한 그룹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사망과 관련된 위험인자를 예측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34명의 극소저체중 출생아는 실험실적으로 확인된 S. aureus 의 혈류감염을 보였고 카테터 연관 혈류감염의 발병률, 사망률, 유병률 그리고 사망률과 연관된 예측인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26명의 환아는 혈액과 카테터 tip에서 같은 병원균(24 MRSA, 2 MSSA)을 보였다. 8명(25.8%)은 CRBSI로 사망하였고 모두 MRSA 혈액 감염을 보였다. MRSA로 인한 CRBSI으로부터 생존한 그룹과 사망한 환자 간에 성비, 재태연령, 병원균 확인과 혈액채취의 기간, 백혈구, 혈소판 수는 분명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RP는 사망한 환자에서 분명히 증가되었다. 사망한 환자에서 발현 나이의 평균값은 빠르고(9.1${\pm}$6.6 vs. 26.9${\pm}$20.2; P= 0.005) 입원일수는 짧았다(10.1${\pm}$7.0 vs. 73.0${\pm}$32.4; P=0.000). 2명의 생존아는 하지에 화농성 관절염과 연부조직염의 합병증을 가졌다. 결론: 카테터 연관 혈류감염의 사망률은 극소저체중 출생아에서 높은 것으로 보이고 CRP와 질환의 조기발병에 의해 예측되었다.

Effective Ways of Performing Surveillance Surface Cultures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 Lee, Ju-Young;Kim, Ee-Kyung;Lee, Jin-A;Choi, Chang-Won;Kim, Han-Suk;Kim, Beyong-Il;Choi, Jung-Hwan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240-247
    • /
    • 2011
  • 목적: 미숙아에서 피부상재균 배양 검사를 하는 것은 세균의 집락화가 침습성 감염에 선행되며 이런 집락화된 세균을 알고있는 것이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전신 감염의 원인균을 예측하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근거에 기반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극소 저체중출생아에서 시행하고 있는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의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좀 더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4년 동안 113명에게서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시행한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를 분석하였다.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는 겨드랑이, 외이도, 비강, 인후(삽관한 경우 기관흡입액), 항문, 이렇게 다섯 군데에서 일주일에 한번씩 총 4주간 시행하였다. 패혈증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패혈증 당시의 혈액균 배양 검사와 이전 13일 동안 시행되었던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를 각각 비교하여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의 감도, 특이도 및 양성예측률을 계산하였다. 총 1,894쌍이 비교되었고,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의 감도와 특이도 및 양성예측률은 각 배양 장소와 배양된 균, 그리고 양성 혈액 배양 검사와의 시간 간격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의 감도는 45.9%, 특이도는 22.4%, 양성예측률은 6.8%였다. 양성예측률은 인후/기관의 배양 검사에서 11.0%로 가장 높았고, 항문 배양 검사에서 2.3%로 가장 낮았다.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의 감도, 특이도 및 양성예측률 모두 패혈증 시점과 가까워질수록 혈액 배양 검사와의 관련성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상재균 배양 검사의 장소에 따른 분석에서는 겨드랑이와 인후/기관의 배양 검사만이 패혈증 원인균의 예측에 유용하였고, 비강과 외이도 및 항문의 배양 검사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결론: 상재균의 감시 배양 검사는 패혈증 원인균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러한 감염 감시 검사를 현재의 다섯군데에서 겨드랑이와 인후/기관, 두 군데로 줄여서 지속시키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기관지폐 형성이상 미숙아의 젖병수유 시 저산소증: 생후 4개월까지 수유상태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Oxygen Desaturation during Nutritive Sucking in Premature Infants with Bronchopulmonary Dysplasia : Its Effect on Feeding and Growth until 4 Months of Corrected Age)

  • 임창환;이주영;이현승;이정현;김소영;성인경;전정식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2호
    • /
    • pp.134-141
    • /
    • 2008
  • 목 적 : 기관지폐이형성을 가진 미숙아에서 젖병 수유(nutritive sucking) 시 산소포화도 저하를 알아보고 저하 정도의 차이가 수유 상태 및 단기 성장 예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 법 : 2002년부터 2007년까지 6년간 가톨릭의대 부속 성모병원에서 출생하여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기관지폐이 형성으로 진단된 미숙아 중에서 심장, 위장관계 및 호흡 기계의 주요 기형이 없었던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재태주령 36주되는 시기에 관찰한 젖병 수유에 따른 산소 포화도의 저하 정도에 따라서 산소포화도 저하가 없거나 경한 14명(A군)과 중등도 이상의 산소포화도의 저하를 보였던 20명(B군)의 임상적 특성, 수유 상태 및 성장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유 시 산소포화도가 저하되는 정도는 경증(85-89%), 중등도(81-84%), 중증(${\leq}$80%)으로 나누었다. 결 과 : B군이 A군에 비하여 출생 시 체중이 더 작고, 이른 재태주령에 출생하였으며, 입원기간이 길었고, 늦은 재태주령 시기에 퇴원하였으며, 인공환기 및 산소요법 기간이 더 길었다. B군은 A군보다 젖병 수유를 늦게 시작하였으며, 수유 전 산소포화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젖병 수유 시 산소포화도의 저하 정도가 심했다. 재태주령 40주되는 시점에 수유곤란을 경험한 영아는 B군에 더 많았고, 평균 체중 및 평균 성장 속도도 B군에서 A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교정연령 4개월 시점에는 수유곤란을 경험한 영아의 수, 평균 체중, 성장 속도 등에 있어서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기관지 폐 이형성을 가진 미숙아에서 젖병 수유에 의하여 유발되는 산소포화도 저하가 중등도 이상인 경우 수유 곤란 및 성장 부진과 연관이 있으나 그 적용기간은 4개월 미만이었다.

신생아 중환자실의 사망에 관한 연구 (Death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구소은;김희영;박경아;임진아;박혜원;이병섭;김애란;김기수;피수영
    • Neonatal Medicine
    • /
    • 제16권2호
    • /
    • pp.154-162
    • /
    • 2009
  • 목 적 : 최근 신생아집중치료술의 발전으로 신생아 중환자실의 생존률은 매우 향상되었으나 아직도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환아들의 사망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서울아산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들 중 사망한 환아들을 분석하여 사망률, 사망원인 및 사망의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10년간 서울아산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했던 환아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사망률, 사망원인질환 및 출생 후 사망까지의 시간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조사기간 동안 총 입원환아는 6,289명이었고 총 사망환아는 264명으로 사망률은 4.2%였다. 총 사망환아 중 극소 저출생 체중아는 103명,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는 80명이 사망하여 사망률은 각각 10.6%, 21.4%였다. 10년간 연도별 사망률의 유의한 변화추세는 보이지 않았다. 사망관련 주요질환으로 미숙아 관련 사망이 102명(38.7%)으로 가장 많았고, 선청성 기형, 패혈증, 원발성 폐동맥 고혈압, 신생아가사 순으로 나타났다. 미숙아 관련 합병증 중에서는 패혈증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였고, 선천성 기형 중에서는 선천성 심기형으로 인한 사망이 가장 많았다. 생후 첫 1주 이내에 66명(37.1%)이 사망하여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였고, 178명(67.4%)이 생후 28일 이내의 신생아기에 사망하였다. 결 론 : 신생아 중환자 치료의 방전에도 불구하고 지난 10년간 사망률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미숙아관련 합병증과 패혈증이 사망원인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므로 이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생후 첫 1주 이내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시기에 신생아 중환자 치료에 있어 세심한 주의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