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equality indices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16초

국민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중 뇌졸중 입원환자의 의료이용 양상 및 지역친화도 추이 (1998-2005) (Trends of Health Care Utilization and Relevance Index of Stroke Inpatients among The Self-Employed Insured and Their Dependent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1998-2005))

  • 김지현;조병만;황인경;손민정;윤태호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6-84
    • /
    • 2008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offer some fundamental evidences for the stroke management policy by investigating the trend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and regionalization in stroke inpatients. Methods: We use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and registry data for stroke inpatients from 1998 to 2005. Among all stroke inpatient claims data, self-employed insured and their dependents were only included in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of stroke was based on ICD-10(I60-I69) and its subtype was divided by hemorrhage(I60-I62) and infarction(I63-I64) type. To evaluate regionalization of medical care utilization, relevance index was calculated by regions. The regions were classified 8 large catchment areas and 163 self authorized areas. Results: The overall medical care utilization rate of stroke inpatient has been increased, especially infarction subtype. Among medical care institutions, the utilization of hospital has been the most rapidly increased. Although considered annual rate of interest, total medical cost of stroke inpatients has been increased, Totally, more than 84% of stroke inpatient were admitted to medical care institutions in their own large catchment area during 1998-2005. The relevance indices in their own large catchment area (self sufficiency rates) were more than 70% in most areas regardless of stroke subtype except Chungbuk catchment area. Self sufficiency rates of stroke inpatients among 163 self authorized areas in 1998 and 2005 were 84.2% and 83.1% in metropolitan, 46.7% and 45.5% in urban, and 19.5% and 22.6% in rural areas, respectively. Conclusion: Stroke management policy for improvement of distribution at the district level, especially in rural areas, may be helpful for reducing regional inequality in stroke.

여성취업률과 여성에 대한 편견이 가정폭력 정당화에 미치는 영향: 개인과 국가 수준의 위계선형 분석 (The Effect of Female Employment and Prejudice against Women on Justification of Family Violence: A Multi-Level Analysis)

  • 장초록;홍명기;황의갑
    • 시큐리티연구
    • /
    • 제52호
    • /
    • pp.11-40
    • /
    • 2017
  • 본 연구는 가정폭력의 사회적 중요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가정폭력 정당화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과 국가수준의 요인을 진단하였다. 개인수준의 변수로는 경제적 역할에서의 여성에 대한 편견과 사회적 역할에서의 여성에 대한 편견을 사용하였으며, 국가수준의 변수로는 성불평등에 영향을 주는 여성취업율과 민주주의지수를 고려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국가는 총 36개 국으로 개인수준에서는 세계가치관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국가수준에서는 국제부흥개발은행의 여성취업률 자료와 경제정보연구소에서 발행한 민주주의지수 등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수준의 변수인 경제적 역할에서의 여성에 대한 편견과 사회적 역할에서의 여성에 대한 편견 모두 가정폭력 정당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가수준의 변수인 여성취업률과 민주주의지수 또한 가정폭력 정당화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인수준의 왜곡된 성역할 인식과 국가수준의 성불평등이 가정폭력 정당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이러한 결과는 성역할에 대한 긍정적인 사회문화 조성과 국가수준에서의 성 평등에 대한 노력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GINI계수에 의한 의사의 지역간 분포양상 (Geographic Distribution of Physician Manpower by Gini Index)

  • 문병욱;박재용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0권2호
    • /
    • pp.301-311
    • /
    • 1987
  • 의사들의 지역간 분포양상 및 불균형 정도를 체계적으로 측정하여, 장기적이고 합리적인 의사인력의 배분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1980년과 1985년의 인구센서스 통계자료와 정기의사 신고자료를 이용하여 의사, 일반의, 전문의의 지역간 불균형정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80년에는 전체의사의 10.4%가 군지역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1985년에는 9.6%로 군지역 분포율이 낮아졌고, 인구 100,000명당 의사수는 1980년에는 군지역에 9.18명이던 것이 1985년에는 12.95명으로 증가했다. 일반의는 1980년에 군지역에 14.7% 분포되어 있었으나 1985년에는 12.7%로 낮아졌고, 인구 100,000명당 의사수는 7.13에서 7.29명으로 증가했다. 전문의의 경우 1980년에는 5.1%가 군지역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1985년에는 7.3% 증가되었고, 인구 100,000명당 의사수도 2.05명에서 5.66명으로 증가했다. 군지역에의 분포비율이 10%를 초과한 전문과목별 전문의는 일반외과와 예방의학과 뿐이었으며, 1980년에 비해 1985년에 군지역 분포비율이 흉부외과 전문의를 제외하고는 모든 전문과목에서 높아졌다. Gini계수의 1980년$\sim$1985년간 변화율은 의사 -15.40%, 일반의 18.01%, 전문의 -10.43%로서 일반의의 불균형 정도가 심화되었고, 구지역간과 군지역간에는 모든 의사의 분포가, 시지역간에는 일반의의 분포만 더 불균형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의 중에서는 소아과 전문의의 변화율이 -12.24%로 가장 높았으며, 신경외과, 흉부외과, 성형외과, 안과, 결핵과, 예방의학과, 해부병리과 전문의는 1980년보다 1985년에 Gini계수가 더 높아졌다. 그리고 1985년 기준으로 일반외과 전문의의 Gini계수만 0.4369로 0.5이하였고, 0.8이상인 전문과목은 성형외과, 결핵과, 임상병리과, 해부병리과, 재활의학과 등이었다. 의사의 지역간 균형분포를 위해서는 의사의 지역간 분포요인 분석 연구를 통해, 이를 기초로 적절한 배분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며, 공공의료인력의 효과적인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