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rect crack control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재료 특성 변화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휨부재의 간접균열제어 방법 연구 (Indirect Crack Controling Method Affected by Variation of Material Characteristics in Reinforced Concrete Flexural Members)

  • 최승원;김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87-98
    • /
    • 2011
  •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균열은 필수불가결한 현상이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균열폭을 측정하기 위한 많은 경험식이 제시되었고, 또한 간편한 적용성 때문에 철근 간격과 직경의 제어를 통한 간접균열제어법이 제시되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 EC2에서는 최대균열간격과 평균변형률의 곱으로 설계 균열폭을 산정한다. 이 연구에서는 재료 특성에 따른 최대철근간격과 최대철근직경을 산정하였다. 특히 인장증강효과 모델과 최대균열간격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고, 이를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에서 제시한 값과 비교하였다. 해석 결과 인장증강효과 모델에 따라 큰 차이가 발생하였고, 2차식 형태의 인장증강효과 모델과 Part II의 최대균열간격을 사용함으로써 과소평가되었다. 따라서 2차식 형태의 인장증강효과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합리적인 간접균열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이를 통해 휨부재의 사용성 검증에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함께 균열제어를 위한 두 가지 모델을 제안하였다.

철근콘크리트 휨부재의 균열 제어에 관한 연구 (Crack Control in Reinforced Concrete Flexural Members)

  • 최승원;김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71-478
    • /
    • 2011
  •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에서는 균열 검토시 설계의 간편함 때문에 철근 간격을 제한하는 간접 균열 제어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구조설계기준 부록에서는 균열폭을 산정하는 직접 균열 제어 방법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 방법을 통한 균열 검증 결과에는 모순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구조설계기준, 구조설계기준 부록 및 Frosch 제안식을 통해 최대 철근 간격을 산정하고, 콘크리트 압축강도, 단면 높이 그리고 피복 두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구조설계기준 본문과 구조설계기준 부록에 따른 최대 철근 간격에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접 균열 제어와 간접 균열 제어 사이에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합리적인 균열 검증 모델을 제안하였다.

유효탄성계수를 반영한 철근콘크리트 휨부재의 균열제어를 위한 철근 간격 (A Steel Spacing for Crack Control in RC Flexural Members with an Effective Modulus of Elastic)

  • 최승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98-105
    • /
    • 2018
  • 철근 콘크리트 부재에서 균열은 구조적 요인 뿐만 아니라 재료적 인자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이러한 균열의 크기와 발생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과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에서는 균열을 제어하기 위해 직접균열제어 방법과 간접균열제어 방법을 제시하였다. 콘크리트구조기준 본문에서는 사용하중 하에서 철근 간격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균열을 제어한다. 이에 반해, 콘크리트구조기준 부록에서는 지속하중 하에서 균열폭을 통해 직접적으로 균열을 제어한다. 즉, 균열 제어를 위해 고려하는 하중 상태가 상이하다. 그러나 도로교설계기준에서는 사용하중조합에서 균열을 제어하고, 유효탄성계수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고정 하중과 활하중의 비율을 반영할 수 있는 유효탄성계수를 적용한 설계 균열폭으로부터 최대철근간격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변수 해석을 수행하여 합리적인 균열 검증 방법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해석 결과 콘크리트구조기준으로부터 유도된 철근 간격은 도로교설계기준으로부터 유도된 값보다 작아 보수적인 설계를 유도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 제시한 최대철근간격은 직접균열제어와 간접균열제어 사이의 차이를 제거하여 해석의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Microstructural behavior and mechanics of nano-modified cementitious materials

  • Archontas, Nikolaos D.;Pantazopoulou, S.J.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3권1호
    • /
    • pp.15-37
    • /
    • 2015
  • Ongoing efforts for improved fracture toughness of engineered cementitious materials address the inherent brittleness of the binding matrix at several different levels of the material's geometric scale through the addition of various types of reinforcing fibers. Crack control is required for crack widths that cover the entire range of the grain size spectrum of the material, and this dictates the requirement of hybrid mixes combining fibers of different size (nano, micro, macro). Use of Carbon Nano-Tubes (CNT) and Carbon Nano-Fibers (CNFs) as additives is meant to extend the crack-control function down to the nanoscale where cracking is believed to initiate. In this paper the implications of enhanced toughness thus attained at the material nanostructure are explored, with reference to the global smeared constitutive properties of the material, through consistent interpretation of the reported experimental evidence regarding the behavior of engineered cementitious products to direct and indirect tension.

철근콘크리트 휨부재의 처짐 간접제어를 위한 한계 지간/깊이-비 연구 (Limit Span/Depth Ratio for Indirect Deflection Control in Reinforced Concrete Flexural Members)

  • 최승원;김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1A호
    • /
    • pp.35-41
    • /
    • 2011
  •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에서는 일반적으로 처짐을 제어하기 위해 직접처짐제어법과 간접처짐제어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때 처짐/깊이-비는 허용 처짐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된다는 점에서 간접처짐제어법이 더 효과적이다. 실제 처짐량은 많은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제 처짐량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은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사용한 계상태에서 처짐량을 직접 계산함으로써 한계 지간/깊이-비를 산정하였다. 이 때 처짐은 재료 모델로부터 산정된 휨곡률을 통해 산정하였다. 해석의 주요 변수는 인장증강효과 모델, 콘크리트 강도, 단면 크기 및 압축 철근의 유무이다. 해석 결과 2차식 형태의 인장증강효과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해석의 일관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계 지간/깊이-비는 단면 크기와 관계없이 재료 강도와 인장 및 압축 철근비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속 건조수축을 고려한 PSC BOX 거더교 상부플랜지 균열폭 산정 (Calculation of Crack Width of the Top Flange of PSC Box Girder Bridge Considering Restraint Drying Shrinkage)

  • 구영호;한상묵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30-37
    • /
    • 2023
  • PSCB 거더교는 상하부 플랜지와 복부가 일체화된 폐합된 단면으로 일반적으로 거더와 바닥판이 분리된 교량과 구조적 특성이 상이하여 PSCB 거더교의 특성을 반영한 유지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고속도로 PSCB 거더교의 정밀안전진단 보고서를 수집하여 손상 유형을 분석한 결과, 공용 중 발생되는 열화·손상은 대부분 상부플랜지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상부플랜지 하면의 교축방향 균열은 분석대상 PSCB 거더교의 약 70 %에서 발생되었고, 이는 외부하중에 의한 구조적 균열 보다 수화열, 건조수축 등 간접하중에 의한 균열로 판단된다. 공용중인 PSCB 거더교의 내구성 향상 및 유지관리 비용 절감 등을 위해서는 설계단계부터 구속 건조수축 균열의 제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SCB 거더교 상부플랜지 하면 균열의 주요 원인인 구속 상태에서의 건조수축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균열에 대하여 Gilbert Model을 이용하여 직접 계산하고, 철근량, 철근직경 및 간격 등 영향인자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간접하중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균열폭은 H16 철근 기준 철근비 0.01 이하, 철근비 0.01 기준 H19보다 직경이 큰 철근의 경우 허용 균열폭 0.2 mm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종적으로 균열폭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PSCB 거더교 상부플랜지의 균열폭 제어 방안을 제안하였다.

An Application of a Magnetic Camera for an NDT System for Aging Aircraft

  • Kim, Jung-Min;Jun, Jong-Woo;Lee, Jae-Sun;Lee, Jin-Yi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2-224
    • /
    • 2010
  • The usefulness of the magnetic camera for non-destructive testing of aging aircraft is discussed in this paper. The magnetic camera can be used f magnetic particle testing(MT), magnetic flux leakage testing(MFLT), eddy current testing(ECT) and penetration testing(PT). It measures the distribution of a magnetic field and visualizes the magnetic pattern. Near and far side cracks, fatigue, thickness degradation, and cracks under rivets have been detected. The possibility of quantitative evaluation was also examined. Using indirect experiments, we verified the detection ability of the sensor for cracks in titanium and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하천 시설물 균열 검사를 위한 수중 ROV 개발 (Development of Underwater ROV for Crack Inspection of River Facilities)

  • 성호환;이장명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29-136
    • /
    • 2021
  • River facilities and port structures require a regular inspection and diagnosis due to obsolescence. Currently, most river facilities are undergoing indirect inspection and diagnosis by divers. The underwater inspections are not feasible due to safety issues of divers and restrictions on working hours and environment. To overcome these issues, it is intended to conduct inspections of river facilities using underwater drones. In this research, an underwater ROV (Remote Operated Vehicle) has been developed, which is a kind of drone with propellers. As a key device of this research, an injection device has been attached to the underwater drone to conduct an operation test, a stable operation test of an underwater drone, and a test of attached sensors. The river facility inspection can be carried out optimally using the hovering control of the drone and injection systems. With the developed ROV system, hovering test and injection test have been performe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is development.

네오아소진의 국부처리에 의한 사과나무 부란병의 방제 (Control of Apple Valsa Canker by Localized Spraying with Neoasozin Solution, an Arsenic Fungicide)

  • 엄재열;손형락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16
    • /
    • 1995
  • Undiluted neoasozin solution (6.5% a.i.), an arsenic fungicide, was sprayed on 169 cankers of apple trees from early March to September in 1987 twice at intervals of one week without scraping off the affected barks. Among the treated cankers, 79.9% ceased to grow within 1∼7 weeks, 13.0% showed partial development, and 7.1% grew continuously to girdle the branches. The partially developed cankers, however, could also be cured by an additional spray after slightly piercing at the edge of cankers to facilitate the penetration of the chemical. When the canker growth was blocked, cankers were encircled by cracks developed at the marginal area of the cankers. If the cracks developed once, very few cankers grew beyond them.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crack development may be the consequence of the host defense activity to wall off the pathogen. In addition to the curative efficacy, the neoasozin solution inhibited sporulation of the pathogenic fungus almost completely. However, the pathogen survived for more than three months in some cankers that externally appeared to be cured, suggesting that an indirect mode of action of the chemical against apple Valsa canker seems to be still more persuasive than the direct fungicidal effect. In the final examination conducted in the mid April of the next year, 72.7% of the cankers were completely cured by the two successive neoasozin treatments. Moreover the cure rate became 83.1% if that of partially developed cankers which were also completely cured by an additional treatment was also taken into account. Since 1989 when this method was widely applied in apple orchards in Korea, apple Valsa canker has been effectively controlled to reach a tolerable level.

  • PDF

함안 용산리 함안층 새발자국 화석산지의 보존과학적 진단 및 평가 (Conservation Scientific Diagnosis and Evaluation of Bird Track Sites from the Haman Formation at Yongsanri in Haman, Korea)

  • 이규혜;박준형;이찬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3호
    • /
    • pp.74-93
    • /
    • 2019
  • 함안 용산리 함안층 새발자국 화석산지(천연기념물 제222호)에서는 Koreanaornis hamanensis와 Jindongornipes kimi로 명명된 두 종의 새발자국이 발견되었으며, 용각류 발자국과 생흔화석 Cochlichnus도 보고되었다. 특히 Koreanaornis hamanensis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기록된 새발자국 화석종으로 학술적 가치가 매우 뛰어나다. 이 일대는 구들장용 판석의 채석장이었으며, 1969년에 세계적 희귀 화석지로 알려지면서 크게 훼손되어, 현재는 지정 당시의 25% 정도가 잔존한다. 함안층은 경상누층군의 하양층군에 속하며 주로 적회색의 미사암과 흑색의 이암이 교호하는 암상을 보인다. 미사암과 이암의 경계는 점이적이며, 연흔과 건열 등의 퇴적 구조가 뚜렷하다. 연구 지역의 퇴적암은 퇴적순서와 구조 및 암상에 따라 총 7개의 지층으로 구분되며, 새발자국 화석은 최상부층에서 나타난다. 비파괴 손상도 평가 결과, 화학적 생물학적 손상은 7개 지층에서 모두 매우 낮게 나타났다. 물리적 손상도의 경우 박락 0.49%, 박리 0.04%, 탈락 0.28%로 매우 낮은 손상률을 보였다. 그러나 절리 등 불연속면의 균열지수는 6.20으로 비교적 높으며, 배면과 북서측의 표면은 하등생물의 피복이 심하여 지층의 단면을 중심으로 염에 의한 백화현상이 관찰된다. 화석산지의 초음파 물성은 전반적으로 중간풍화단계(MW)를 보였다. 특히 공룡발자국이 있는 남서측 부근이 상대적으로 신선하며, 보호각 기둥 주위로 풍화가 진전된 양상을 보였다. 이 화석산지에 발달한 불연속면은 5종류로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 불연속면은 층리면이다. 평사투영으로 사면의 안정성을 분석한 결과, 평면 및 쐐기파괴에는 안정적이지만 전도파괴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화석산지의 종합적인 손상 정도 및 안정성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나, 화석층의 물리화학적 풍화와 보호각 기둥과 접하는 모르타르의 백화현상 등은 제어하기 어려운 상태로 보여,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존처리 및 관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