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isor teeth loss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1초

근단 변위 판막술을 이용한 매복 상악 중절치의 맹출유도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WITH APICALLY POSITIONED FLAP)

  • 류현섭;권훈;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83-390
    • /
    • 2001
  • 상악중절치의 매복은 임상적으로 흔히 볼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중절치는 협측에 매복되어 있다. 이러한 협측매복은 치료가 무척 어렵다. 협측매복시 치은퇴축과 부착치은의 상실,치주낭이 발견된다. 따라서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외과적 술식을 통해서 부착치은의 소실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매복치의 위치와 부착치은의 양에 따라 수술방법으로 간단한 치은절제술(gingivectomy)외에도 필요하면 근단변위판막술(apically positioned flap), 측방변위판막술(laterally positioned flap), 유리치은 이식술(free gingival graft) 등과 같은 여러 판막술과 치아의 생리적인 맹출기전을 복제한 폐쇄 맹출법 (closed eruption technique)을 고려 할 수 있다. 하지만 치은절제술은 근단변위판막술에 비하여 부착치은의 양이 적어 많은 양의 부착치은 이 필요한 경우에는 근단변위판막술이 적응증이며 매복치아가 nasal spine근처에 있을 때는 폐쇄 맹출법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본 증례에서 두 증례에서는 근단변위 판막술을 한 증례에서는 폐쇄 맹출법을 사용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폐쇄 맹출법이 더 심미적이었으나 부착치은의 양은 작았다. 이에 상악 중절치의 매복의 경우에서 올바른 임상적, 방사선학적인 검사를 통해 적응증에 맞는 외과적 수술로써 외과적 견인후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 PDF

과도한 마모를 가진 환자의 수직 고경 증가를 동반한 전악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vertical dimension increase in patient with severely worn out dentition)

  • 정지혜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6호
    • /
    • pp.438-446
    • /
    • 2016
  • Severe tooth wear may cause the pathologic change of the TMJ and masticatory muscles, unesthetic facial appearance, pathogenic pulp and occlusal disharmony. Treating patients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often requires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Proper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are important for esthetic and functional definitive restorations and the long term stability of the neuromuscular system and the TMJ. In this case, 66 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generalized worn dentition. Based on assessment, pathologic destruction of teeth structure on entire dentition was caused by masticatory force and diet habit without loss of vertical dimension. Subsequently, 3 mm increase of vertical dimension that based on incisor for tooth restoration and esthetic improvement was determined. After 8 weeks stabilization period with temporary fixed prostheses, definitive prostheses were fabricated. After 6 months follow up period, satisfactory outcomes were attained both functional and esthetic aspects through this procedure.

  • PDF

Maxillary space closure using a digital manufactured Mesialslider in a single appointment workflow

  • Wilhelmy, Lynn;Willmann, Jan H.;Tarraf, Nour Eldin;Wilmes, Benedict;Drescher, Dieter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36-245
    • /
    • 2022
  • New digital technologies, many involving three-dimensional printing, bring benefits for clinical applications. This article reports on the clinical procedure and fabrication of a skeletally anchored mesialization appliance (Mesialslider) using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for space closure of a congenitally missing lateral incisor in a 12-year-old female patient. The insertion of the mini-implants and appliance was performed in a single appointment. Bodily movement of the molars was achieved using the Mesialslider. Anchorage loss, such as deviation of the anterior midline or palatal tilting of the anterior teeth, was completely avoided. CAD/CAM facilitates safe and precise insertion of mini-implants. Further, mini-implants can improve patient comfort by reducing the number of office visits and eliminating the need for orthodontic bands and physical impressions.

치조골 흡수가 포오스트로 인한 치근내 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법 분석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EFFECTS OF ALVEOLAR BONE LOSS ON STRESS DISTRIBUTION IN POST-RECONSTRUCTED TEETH)

  • 이기영;장익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74-696
    • /
    • 1997
  • There're many cases that should be reconstructed with post and core when clinical crown is destructed. But this post and core restoration may cause damaging stress on the teeth. Previous finite element study was restricted to normal bone model relatively close to cemen-toenamel junction. Moreover, the test of a model with diminished bone support was r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s of alveolar bone loss on the magnitude, stress distribution and displacement of post reconstructed teeth. In this study, it was assumed that the coronal portion of upper incisor was severely destructed. After conventional endodontic treatment, it was restored with post and core. The PFM restoration was made on it. This crown was cemented with ZPC. Alveolar bone was classified by 4 types of bone, such as normal, 2 mm, 4 mm, 6 mm bone, according to the bone loss. Meanwhile, the material of post are divided into 2 types of materials, such as gold, co-cr. Force was applied to two directions. One was fuctional maximum bite force (300 N) applied to the spot just lingual to the incisal edge with the angle of 45 degree to the long axis of the tooth, and the other one was horizontal force (300 N) applied to the labial surface. The results analyzed with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were as follows : 1. Stress was concentrated on the adjacent dentin of the post apex, one third portion of the post apex and the labial & lingual mid-portion of the root in all case. The stress of middle third of the root was apparently concentrated on the labial aspect. 2. The stress on adjacent dentin of the post apex and one third of the post apex increased as alveolar bone height moved apically. This increase was dramatic beyond 4 mm bone loss model. 3. The stress of the post apex was spreaded to the middle third of the post and greater than gold post in the case of metal post. 4. The displacement of the neck of post was the greatest in one of the post-cement interface and this increased as alveolar bone height moved apically. Besides the displacement of the metal post is slightly lower than one of the gold post.

  • PDF

Short-term evaluation of dental implants in a diabetic population: an in vivo study

  • Inbarajan, Athiban;Veeravalli, Padmanabhan Thallam;Vaidyanathan, Anand Kumar;Grover, Manita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4권3호
    • /
    • pp.134-138
    • /
    • 2012
  •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implant supported tooth replacement in diabetic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volved placement of implants (UNITI implants, Equinox Medical Technologies, Zeist, Holland, diameter of 3.7 mm and length 13 mm) in five diabetic patients (three females and two males) of age ranging from 35-65 years with acceptable metabolic control of plasma glucose. All patients included in the study were indicated for single tooth maxillary central incisor replacement, with the adjacent teeth intact. The survival of the restored implants was assessed for a period of three months by measurement of crestal bone heights, bleeding on probing and micro flora predominance. Paired t-test was done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the microbial colonization, bleeding on probing and crestal bone loss. P values of less than 0.05 were taken to indicate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bleeding on probing and colonization at the end of three months and the bone lo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study explores the hypothesis that patients with diabetes are appropriate candidates for implants and justifies the continued evaluation of the impact of diabetes on implant success and complications.

교정적 치아 재배열을 포함한 다학제적 접근(multidisciplinary approach)을 통한 상악 전치부의 나사 유지형 임플란트 보철 수복 증례 (Cases of screw-retained implant prosthesis in the anterior maxilla through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cluding orthodontic teeth alignment)

  • 김효선;이원섭;이수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44-250
    • /
    • 2020
  • 상악 전치부에서 임플란트의 순구개측 식립 위치는 보철물의 심미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상악 전치부의 얇은 순측골은 발치 후에 상당한 양이 흡수되어, 임플란트가 이상적 식립 위치보다 구개측에 식립될 수 있다. 본 상악 중절치 상실 증례들에서 다소 구개측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보철 수복을 위하여 UCLA 지대주를 이용하였다. 또한 타과와 협진으로 발치 후 흡수된 치조골 외형과 치은의 형태 회복을 위하여 골유도재생술을 시행하였고, 인접전치를 재배열 하였다. 충분한 임시 보철물 수복 기간으로 치은 형태의 심미적 회복을 확인한 뒤에 최종 보철 시행하였으며, 임플란트 보철을 통한 치아 상실 부위의 기능, 심미 회복이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골성 고정원과 편측 분절호선을 이용한 정출된 상악 중절치의 압하 치료 (Intrusion of the extruded maxillary central incisor using skeletal anchorage system and unilateral segmental intrusion arch)

  • 권은영;백영재;박수병;김성식;김용일;최윤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3호
    • /
    • pp.180-190
    • /
    • 2019
  • 병적 치아 이동된 상악 전치를 가진 중등도 치주염 환자에서는 치태 관리를 통한 치주 염증의 해소뿐만 아니라 치아를 재위치 시키기 위한 교정치료가 함께 필요하다. 이 때의 교정치료는 더 적은 힘의 적용과 치아의 저항중심, 최적의 힘 등을 세심하게 고려해야 하는데, 이동하고자 하는 치아에만 적용되는 분절호선은 이동의 예측성을 높여주고, 힘을 조절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이다. 또한 교정치료 시, 고정원으로 사용되는 치아의 원치 않는 움직임을 차단하여 구치 교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치 설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골성 고정원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정출되고 변위된 상악 전치를 가진 환자에서, 철저한 치주 치료와 적절한 힘과 역학이 설계된 교정 장치로,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므로, 소개하고자 한다.

외상으로 유착된 영구 전치에서의 치관 절제술 (DECORONATION ON ANKYLOSED PERMANENT INCISOR AFTER DENTAL TRAUMA)

  • 강유진;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52-259
    • /
    • 2010
  • 외상으로 치주 인대의 손상이 심한 치아에서는 치아-치조골 유착이 흔히 나타난다. 성장기 아동에서의 치아 유착의 경우 치조골의 성장 중단을 초래하여 저위 교합이 나타나며 이로 인하여 청소년기에 심미적 불만족이 생길 뿐 아니라 인접치의 경사가 발생한다. 이는 교정 또는 보철 치료를 어렵게 만들 수 있으므로 유착된 치아는 비교적 조기에 치료한다. 하지만 저위 교합된 치아를 발치할 경우 치조제의 상당한 소실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상악 전치부의 얇은 순측골의 위축을 가져와 심미적인 보철물을 형성하기가 어려워진다. 이러한 치조골의 소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치아의 치관부는 제거하고 유착된 치근은 골에 의해 대체되도록 치조골에 남겨두는 치관절제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증례에서는 만 9세와 10세에 상악 전치부 치아의 외상을 받은 후 치근 유착이 발생하여 저위 교합을 보이는 성장기 남아에서 추후 예상되는 보철적, 교정적 합병증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치관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저위교합이 2-3 mm 정도 진행되었을 때 술식을 행하였으며, 환아의 성장을 고려하여 한국인의 최대 성장 완료 시기인 16세 이전에 술식을 행하였다. 계속적인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수평적 치조골의 소실이 방지될 뿐 아니라, 치조골의 수직적 증가를 보이며, 남겨진 치근은 서서히 흡수되는 양상을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20년전과 비교한 한국청년의 미소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ile of Korean Youth compared with twenty years ago)

  • 범승균;정지혜;김태영;이경은;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62-168
    • /
    • 2012
  • 연구 목적: 일반적으로 치아는 미소 지을 때 가장 많이 노출되며, 미소 시에 나타나는 치아와 연조직과의 관계 등은 심미적인 보철 수복에 있어서 중요한 지침이 된다. 본 연구는 20년 전 한국 청년들의 미소와 현재 한국 청년들의 미소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신체적인 발육 상태가 정상적이고 전신적 또는 유전적 질환이 없으며, 안모가 양호하고 치아의 결손이 없으며 교정 및 보철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고, 교합상태가 비교적 정상적인 20-29세 사이의 청년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을 대상으로, Cephalometer에 사용되는 두부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피검자의 F-H plane이 지면에 평행하도록 한 후, 35 mm 카메라(400D. Cannon, Japan), 120 mm 렌즈 그리고 삼각대를 사용하여 피검자의 midsagittal plane에 카메라 렌즈의 중심을 맞추고 상악 중절치 절단과 렌즈와의 거리를 930 mm로 하여 안정위 및 full smile 시의 안모 정면 사진을 3회씩 촬영하였다. 1991년 윤 등이 촬영한 대학생 240명 중 무작위로 선택한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의 미소사진과 함께 개인용 컴퓨터 및 V-ceph 6.0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Hulsey의 미소 계측 방법을 참고로 하여, 상순의 형태, 상순과 치아와의 관계, 하순과 상악 전치 절단연과의 평행 관계, 하순과 상악 전치 절단연과의 접촉 관계, 미소시 나타나는 치아 등을 계측하고 분석하였다. 한편 치과의사 10인이 남,녀 각 2회씩 미소에 대한 미적평가를 시행하여 미소평점을 기록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지난 20년간 한국 청년의 미소가 크게 향상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주로 상순의 형태가 영향을 준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입꼬리가 위로 올라가는 형태의 미소가 괄목할 만한 증가를 보인 반면 입 꼬리가 아래로 처지는 형태의 미소는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결론: 지난 20년간 한국 청년의 미소가 크게 향상되었는데 이러한 변화는 주로 상순의 형태가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치조골 상실에 따른 상악 치아군 저항중심의 변화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Finite-element analysis of the shift in center of resistance of the maxillary dentition in relation to alveolar bone loss)

  • 성상진;김인태;국윤아;전윤식;김성훈;모성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278-288
    • /
    • 2009
  • 효과적인 교정치료계획의 수립을 위하여 치열군의 저항중심의 위치에 대한 평가는 필수적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상악 치열군(4전치, 6전치, 14치아)에서 치조골 손실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변화를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상악 전치열 14개 치아와 치주인대 및 0 mm, 2 mm, 4 mm 손실된 치조골의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고 각 치아군(4전치, 6전치, 14치아)별로 치관부를 협측, 설측호선 및 splint wire로 고정하여 치아군 모델을 제작한 후 상악 중절치의 절단연 중점에서 연장된 splint wire에 4전치와 6전치군에는 200 g, 14치아군에는 400 g의 후방 견인력과 압하력을 적용하여 저항중심의 수직적, 수평적 위치를 분석하였다. 4전치군에서 저항중심의 수직 위치는 치조골 0 mm, 2 mm, 4 mm 손실에 따라 중절치의 절단연에서 치근방향 13.5 mm, 14.5 mm, 15 mm, 수평 위치는 후방 12 mm, 12 mm, 12.5 mm, 6전치군에서는 치근방향 13.5 mm, 14.5 mm, 15.5 mm, 후방 14 mm, 14 mm, 14.5 mm, 14치아군에서는 치근방향 11 mm, 13 mm, 14.5 mm, 후방 26.5 mm, 27 mm, 25.5 mm에 위치하였다. 모든 치아군에서 저항중심은 치조골 손실에 따라 치근첨 방향으로 이동하였으나, 치조정과의 거리는 가까워졌고, 4전치군과 6전치군에서 저항중심은 치조골 손실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14치아군에서는 치조골 2 mm 손실 시에는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4 mm 손실 시에는 전방으로 이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