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isor teeth loss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6초

유절치 조기 상실 후 공간 상실 (SPACE LOSS AFTER PREMATURE LOSS OF PRIMARY INCISOR)

  • 최병재;한연선;김성오;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07-412
    • /
    • 2002
  • 유치에서의 조기 상실은 부위에 따라 주된 원인이 다르다. 구치부의 조기 상실은 주로 치아우식증에 의해 일어나지만, 전치부에서 나타나는 조기 상실의 대부분은 유아가 서고 걷는 것을 배울 시기에 외상을 받아 유발되며, 다발성 우식증 등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 유치의 조기 상실시 치열궁 길이 감소가 나타날 경우에는 계승 영구치의 맹출을 방해하여 영구치의 총생, 매복 및 치열궁 비대칭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공간 유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유구치가 조기 상실된 경우에는 인접치아의 근심 또는 원심 이동으로 공간 상실이 유발되므로, 공간유지장치의 장착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유절치의 경우에 있어서는 치아간의 접촉이 긴밀하거나 총생이 있는 유치열의 경우와 유견치의 맹출 전에 유절치가 상실된 경우에는 공간 상실이 일어날 수 있으나, 그 이외에 치간 공간이 있는 유치열의 경우, 유견치의 맹출 후에 유절치가 상실된 경우에서는 공간의 상실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절치 조기 상실 시에는 주로 공간유지 목적보다는 심미 발음장애, 치아결손 부분으로의 혀내밀기 등의 구강습관 방지 등의 목적으로 장치의 장착이 권장되어져 왔으며, 유절치 조기 상실시 공간상실 문제에 대한 증례보고 또한 많지 않다. 본 증례들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아에게서 유절치의 조기 발거로 인해 장기적 관찰 결과 공간상실이 유발되었기에 이를 통하여 유절치 조기 상실시 공간 상실 가능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디지틀 카메라를 이용한 치아색상 측정 (NEW EVALUATION TECHNIQUE IN TEETH COLOR USING DIGITAL CAMERA)

  • 이문영;신동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1호
    • /
    • pp.325-333
    • /
    • 1997
  • In addition to their function,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esthetics of restorations for teeth from fracture and loss. Because the perception of color depends on a lot of factors such as light source, object, observer and so on. It is difficult to make an objective expression. Therefore the using of mechanical equipment is recommended to exclude these variables and observer's via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teeth color with a newly developed digital camera and to suggest a way to solve its flaws. After photo-taking and storaging the images of normal teeth into a computer, color spaces were examined with an image analysis system, Adobe Photoshop 3.04 and a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between groups in term of teeth positions and ages. Results were as follow ; 1. Central incisor looked darker than lateral incisor(p<0.05), but lateral incisor and canine showed a similar lightness. 2. Central incisor showed more greenish color than lateral incisor and canine(p<0.05). 3. Canine showed higher yellowish value than central and lateral incisors(p<0.05). 4. Central incisor and canine showed no difference with aging. But in lateral incisor, teeth in fifth decade were lighter than those of third(p<0.05) and teeth in third decade were more reddish and yellowish than those of fourth decade(p<0.05).

  • PDF

Open-face Stainless Steel Crown을 이용한 유전치의 치료에 대한 증례보고 (A CASE REPORT ON PRIMARY INCISOR TREATMENT USING OPEN-FACE STAINLESS STEEL CROWN)

  • 김종민;최형준;이제호;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81-787
    • /
    • 1997
  • In spite of the improvements of the techniques in the field of preventive dentistry, many children still present with extensive destruction of primary anterior teeth. Not only the practioner must consider the pulp state of the primary incisor, but also restore the form, function and esthetics of the tooth. Restorative treatment of primary incisor tooth requires durability, retention and esthetics. Stainless steel crowns used in restoring primary anterior teeth is retentive and durable in comparison with the composite resin, celluloid crown. But they are not esthetic. To enhance the esthetics of the anterior stainless steel crown without reducing its superior retention, an open-face stainless steel crown has been suggested. Several authors have suggested cutting away the labial portion of the stainless steel crown and placing the composite resin in that area. By following this technique, the practioner can prepare a retentive, durable, and esthetic restoration for primary teeth which have suffered from extensive loss of teeth structure. In addition, the single missing primary anterior teeth can be successfully restored by soldering the stainless steel crown together. Open-face stainless steel crown is indicated in the areas of large interproximal lesions involving incisal edge, crown fracture with pulp exposure and congenital malformation of the teeth. By this technique, the practioner can restore primary anterior teeth successfully regardless of the amount of remaining tooth structure, bruxism habit and presence of attrition. In this case, rampant caries with extensive loss of tooth structure and single missing of primary anterior tooth hart been successfully treated with open-face stainless steel crown.

  • PDF

성장기 어린이에서 상악 중절치 조기 상실 후 치조골 소실 (ALVEOLAR BONE LOSS AFTER THE EARLY LOSS OF UPPER CENTRAL INCISOR IN GROWING CHILDREN)

  • 나혜진;송제선;이제호;최형준;김성오;손흥규;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1-57
    • /
    • 2012
  • 어린이는 8-10세 경에 외상을 자주 받으며 구강 내에서는 상악 절치부가 호발하는 부위이다. 외상으로 인하여 상악 절치가 상실되면 어린이에게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상악 절치를 유지해야 하지만 조기 상실되는 경우가 있다. 상악절치의 조기 상실로 인한 합병증으로는 심미적 문제나 치조골의 수직적 높이와 수평적 너비의 감소, 인접치의 경사, 악궁 장경 감소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치조골이 소실되면 보철적 수복 시에 기능성과 안정성, 심미적인 면에 영향을 준다. 이 증례는 외상으로 인하여 상악 중절치가 조기 상실된 9세 여아와 6세 남아에서 각각 5년 5개월, 3년 7개월 후의 치조골소실 정도를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와 진단 모형 상에서 관찰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Conventional Anchorage Reinforcement vs. Orthodontic Mini-implant: Comparison of Posterior Anchorage Loss During the En Masse Retraction of the Upper Anterior Teeth

  • Baek, Seung-Hak;Kim, Young-Ho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5-10
    • /
    • 2010
  • This study sought to compare the amounts of posterior anchorage loss during the en masse retraction of the upper anterior teeth between orthodontic mini-implant (OMI) and conventional anchorage reinforcement (CAR) such as headgear and/or transpalatal arch. The subjects were 52 adult female patients treated with sliding mechanics (MBT brackets, .022" slot, .019X.025" stainless steel wire, 3M-Unitek, Monrovia, CA, USA). They were allocated into Group 1 (N=24, Class I malocclusion (CI), upper and lower first premolar (UP1LP1) extraction, and CAR), Group 2 (N=15, Cl, UP1LP1 extraction and OMI), and Group 3 (N=13,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upper first and lower second premolar extraction, and OMI).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before (T0) and after treatment (T1). A total of 11 anchorage variables were measured.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reatment duration and anchorage variables at T0 among the three groups. Groups 2 and 3 showed significantly larger retraction of the upper incisor edge (U1E-sag, 9.3mm:7.3mm, P<.05) and less posterior anchorage loss (U6M-sag, 0.7~0.9mm:2mm, P<.05; U6A-sag, 0.5mm:2mm, P<.01) than Group 1. The ratio of retraction amount of the upper incisor edge per 1 of anchorage loss in the upper molar made for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1 and 2 (4.6mm:7.0mm, P<.05). Group 3 showed a relatively distal inclination of the upper molar (P<.05) and the intrusion of the upper incisor and first molar (U1E-ver, P<.05; U6F-ver, P<.05) compared to Groups 1 and 2. Although OMI could not shorten the treatment duration, it could provide better maximum posterior anchorage than CAR.

  • PDF

The effects of alveolar bone loss and miniscrew position on initial tooth displacement during intrusion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Finite element analysis

  • Cho, Sun-Mi;Choi, Sung-Hwan;Sung, Sang-Jin;Yu, Hyung-Seog;Hwang, Chung-Ju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310-322
    • /
    • 2016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loading conditions for pure intrusion of the six maxillary anterior teeth with miniscrews according to alveolar bone loss. Methods: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was created for a segment of the six anterior teeth, and the positions of the miniscrews and hooks were varied after setting the alveolar bone loss to 0, 2, or 4 mm. Under 100 g of intrusive force, initial displacement of the individual teeth in three directions and the degree of labial tilting were measured. Results: The degree of labial tilting increased with reduced alveolar bone height under the same load. When a miniscrew was inserted between the two central incisors, the amounts of medial-lateral and anterior-posterior displacement of the central incisor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in the other conditions. When the miniscrews were inserted distally to the canines and an intrusion force was applied distal to the lateral incisors, the degree of labial tilting and the amounts of displacement of the six anterior teeth were the lowest, and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was distributed evenly across all the teeth, regardless of the bone loss. Conclusions: Initial tooth displacement similar to pure intrusion of the six maxillary anterior teeth was induced when miniscrews were inserted distal to the maxillary canines and an intrusion force was applied distal to the lateral incisors. In this condition, the maximum von Mises stresses were relatively evenly distributed across all the teeth, regardless of the bone loss.

상악 전치부 견인시 치근 흡수 발생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 OF THE ROOT RESORPTION FOLLOWING MAXILLARY INCISOR RETRATION)

  • 기세호;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1-447
    • /
    • 1996
  • 본 연구는 상악 전돌증을 보이는 환자에게서 상악 제 1 소구치를 발치한 후 견인시 bracket 종류에 따른 치근흡수 차이, 이동양상에 따른 치근 흡수 차이, 각 치아간에 따른 전치부의 치근 흡수 정도를 연구하기 위해 단국 대학교 부속 치과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남녀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 전치 후방 견인시 치근 흡수를 보이지 않는 것은 31.77%, 약간의 흡수는 33.33%, 치근의 1/4이하 흡수는 23.96%, 1/4이상은 10.94%를 보였다. 2. Apical tipping, lingually bodily movement, ant-post apical displacement 의 세가지 이동 양상은, 치근 흡수와의 상관 관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Standard br.을 사용한 환자는 많은 치축 변화를 보이고 치근첨의 이동은 적었으나, straight br.을 사용한 환자는 적은 치축 변화를 보이고 치근첨의 이동량은 많았다. 4. Standard br.과 straight br.의 치근흡수에서 standard br.을 사용한 환자가 더 많은 치근 흡수를 보였다. 5. Standard br.을 사용시 치근 흡수정도는 2>1>3=0순을 보이고, straight br.을 사용시에는 0>1>2>3으로 나타났다.

  • PDF

상악 전치 intrusion시 저항중심의 위치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LOCATION OF CENTER OF RESISTANCE DURING INTRUSION OF UPPER ANTERIOR TEETH)

  • 박춘근;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59-272
    • /
    • 1997
  • Segmented arch mechanics를 적용하여 상악 전치에 intrusive force를 가할 때 저항중심의 전후방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상악 6전치와 치근막 및 치조골의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하였다. intrusion시키고자 하는 치아의 수, 치축의 경사도 및 치조골의 흡수 정도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 변화를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축경사도와 치조골의 높이가 정상일 경우, 치아의 수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는 다음과 같았다. 1) 중절치 2개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측절치 브라켓의 원심면 부위에 위치하였다. 2) 중절치와 측절치 4개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측절치와 견치 브라켓 사이 공간의 후방 2/3 부위에 위치하였다. 3)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 6개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견치 브라켓 후방 약 3mm 부위로 견치와 제1소구치의 치간부에 위치하였다. 4) 치아의 수가 증가할수록 저항중심은 후방으로 이동하였다. 특히 4전치군 보다는 6전치군에서 후방 이동량이 크게 나타났다. 2. 절치의 순측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저항중심은 후방으로 이동하였다. 3. 치조골의 흡수량이 증가할수록 저항중심은 후방으로 이동하였다.

  • PDF

치조골 상실에 따른 three-piece base arch appliance를 이용한 상악전치부 intrusion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n intrusion of upper anterior teeth by three-piece base arch appliance according to alveolar bone loss)

  • 하만희;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2호통권85호
    • /
    • pp.209-223
    • /
    • 2001
  • 치조골 결손을 갖는 환자의 상악전치부 압하(intrusion)시 필수적인 pure intrusion을 위해 three-piece base arch appliance와 후방견인력의 적용이 필요하게 된다. Three-piece base arch appliance를 적용한 상악전치부 압하시의 상악 6전치, 치근막 및 치조골의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하였다. Three-piece base arch appliance를 이용한 상악 전치부압하시 치아 수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 치조골 흡수에 따른 pure intrusion을 위한 후방견인력 변화 양상, 그리고 이때의 치조골 높이에 따른 저항중심의 수직적, 수평적 위치 변화의 상관관계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축 경사도와 치조골 높이가 정상이고, 압하시 three-piece base arch appliance를 이용한 경우 압하 하중점이 전후방적으로 저항중심을 통과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2 전치군(중절치군)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중절치 브라켓 원심면에서 후방 6mm 지점으로, 측절치 브라켓 전방 1/3부위에 위치 하였다. 2) 4 전치군(중절치와 측절치군)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측절치 브라켓 원심면에서 후방 5mm지점으로, 측절치와 견치 브라켓 사이 공간의 후방 2/3부위에 위치하였다. 3) 6 전치군(중절치, 측절치와 견치군)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견치 브라켓 원심면에서 후방 7mm 지점으로, 제 1소구치 브라켓 중앙부위에 위치하였다. 4) 치아 수 증가에 따른 저항중심의 후방이동을 관찰할 수 있었고, 4 전치군 보다 6 전치군에서 후방 이동량이 크게 나타났다. 2. 치조골 높이가 정상일 때, pure intrusion을 위한 후방견인력을 적용할 경우 수직 압하점은 저항중심과 같거나 약간 전방에 위치했다. 3. 동일한 압하력과 압하점 적용시 치조골 상실 증가에 따른 압하시 pure intrusion을 위한 후방견인력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2 전치군과 4 전치군의 후방 견인력은 6 전치군의 후방 견인력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2) 치조골이 상실됨에 따라 각 치아군 후방견인력은 증가됨을 보였다. 4. 상악 전치부 치아군과 치조골 높이에 따른 저항중심의 수평적, 수직적 위치간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1) 2 전치군일 때, 치조골 상실에 따른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변화에 대한 수평적 위치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치아 수가 증가할수록 치조골 상실에 따른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 변화에 대한 수평적 위치변화는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2) 치조골 상실량이 커짐에 따라서는, 치아 수에 관계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변화에 대해 수평적 위치변화가 커졌다.

  • PDF

Interdisciplinary rehabilitation of a root-fractured maxillary central incisor: A 12-year follow-up case report

  • Bonetti, Giulio Alessandri;Parenti, Serena Incerti;Ciocci, Maurizio;Checchi, Luigi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17-225
    • /
    • 2014
  • Single-tooth implantation has become a common treatment solution for replacement of a root-fractured maxillary incisor in adults, but the long-term esthetic results can be unfavorable due to progressive marginal bone loss, resulting in gingival recession. In this case report, a maxillary central incisor with a root fracture in its apical one-third was orthodontically extruded and extracted in a 21-year-old female. Implant surgery was performed after a 3-month healing period, and the final crown was placed about 12 months after extraction. After 12 years, favorable osseous and gingival architectures were visible with adequate bone height and thickness at the buccal cortical plate, and no gingival recession was seen around the implant-supported crown. Although modern dentistry has been shifting toward simplified, clinical procedures and shorter treatment times, both general dentists and orthodontists should be aware of the possible long-term esthetic advantages of orthodontic extrusion of hopelessly fractured teeth for highly esthetically demanding areas and should educate and motivate patients regarding the choice of this treatment solution, if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