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band media synchroniza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8초

하이브리드 미디어 전송을 위한 MMT 프로토콜 기반의 대역내 미디어 동기화 기법 (In-band Media Synchronization Mechanism Based on MMT Protocol for Hybrid Media Delivery)

  • 원광은;안은빈;김아영;이홍래;서광덕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99-305
    • /
    • 2019
  • ISO MPEG에서는 향후 대용량의 초고해상도 영상을 이종(Heterogeneous)의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소비자에게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해 MPEG-H를 표준화 하였다. 그 중 MMT(MPEG Media Transport) 프로토콜은 이종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하이브리드 (hybrid) 미디어 전송을 할 수 있는 차세대 MPEG 미디어 전송 규격이다. 대용량 초고해상도의 영상을 이종의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원활하게 서비스하려면 전송된 미디어 간의 정확한 동기화 (synchronization)가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MMT 기술에서 제공하는 대역외 (out-of-band) 미디어 동기화 기법의 추가적인 세션 연결과 과도한 트래픽 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역내 (in-band) 미디어 동기화 기법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검증한다.

분산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모델 (A Multimedia Presentation Model in Distributed Environments)

  • 최숙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6-24
    • /
    • 2000
  • 분산 멀티미디어 문서 시스템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여러 서버에 있는 미디어들은 검색하여 제시된 시간 관계에 따라 미디어들을 프리젠테이션한다. 효과적인 프리젠테이션을 위해서는 동기화가 지원되어야 하며, 특히, 분산 환경에서의 프리젠테이션은 네트워크 대역폭과 지연시간 등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그러한 요소들이 고려되어 동기화가 지원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들이 각 서버로부터 전송 될때 네트워크의 상태와 자원을 검사하여 그에 따른 변화를 서버에 피드백시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조절함으로서 동기화를 지원하는 분산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모델을 제안한다.

  • PDF

전자악보 전송 시스템 (Electronic Musical Score Transmitting System)

  • 이준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640-1645
    • /
    • 2010
  • 오케스트라 연주에서 각 악기의 연주자가 연주중에 직접 악보를 넘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으로 악보를 넘길 수 있는 전자악보 시스템을 Mini-ITX와 LCD Panel을 이용하여 악보대에 일체화 시켜서 제작하였고, 신뢰성 있는 TCP/IP 소켓통신을 사용하여 메시지 및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이언트에서 자동으로 악보를 표현하는 기능을 구현하였고, 서버 프로그램에서는 악기별로 클라이언트의 개별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악보 동기화 기능 및 수동기능을 추가하였다. 그리고, 하나의 악단을 Access파일 하나로 관리 할 수 있기 때문에 악단별 관리가 수월하다. 이와 더불어 TCP/IP 방식의 신뢰성있는 통신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손실이 생기는 상황을 막아준다.

지상파 3D HDTV 방송 전송을 위한 VSB 변조방식에서의 심벌 타이밍 및 반송파 동기부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ymbol Timing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Scheme in VSB Systems for Terrestrial 3D HDTV Broadcasting)

  • 신성수;전영곤;오종규;김준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4-7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3D HDTV 방송 전송을 위한 VSB(Vestigial Side Band) 변조방식의 심벌 타이밍 및 반송파 동기부 구조를 제안하고 그 성능을 검증해 보았다. 제안하는 동기부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반송파 주파수 옵셋에 독립적인 심벌 타이밍 복구 알고리즘으로 타이밍 동기를 이룬다. 그리고 제안하는 프레임 검출 방법으로 프레임의 시작점을 알아내고, 반송파 주파수 옵셋 복구에 필요한 훈련 열을 얻어낸다. 마지막으로, 얻어진 훈련 열을 이용하여 반송파 주파수 옵셋과 반송파 위상 옵셋을 복구한다. 컴퓨터 모의실험 결과, 제안하는 동기부 구조는 이상적으로 동기를 이루었을 때의 BER(bit error rate)성능과 근접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

새로운 이동 채널 모델 및 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동 DTV 수신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Improvement of DTV Signal Reception Performance Using New Mobile Channel Modelling and Estimation Algorithm)

  • 이종현;김광호;김광호;차재상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521-532
    • /
    • 2006
  • 최근 ATSC 방식의 DTV 수신기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빔형성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수신 성능을 개선하려는 많은 연구는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이동 채널을 모델링 할 수 있는 이동 채널 모델을 제안하고, 필드 동기에 있는 PN511을 이용한 이동 채널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채널 추정 알고리즘은 IF 대역에서 비동기적으로 자기상관함수의 최대점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동기획득이 필요치 않는 알고리즘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속도가 고려된 채널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채널 모델을 이용하여 최적의 수신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수신기 구조 및 빔형성 결합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구조는 상용화된 수신기 전단에 추가하여 수신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이다. 제안된 모델, 추정기법 및 시스템의 성능은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하여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MB-OFDM 방식 UWB 모뎀의 SoC칩 설계 (MB-OFDM UWB modem SoC design)

  • 김도훈;이현석;조진웅;서경학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8C호
    • /
    • pp.806-813
    • /
    • 2009
  • 본 논문은 고속 무선 통신을 위한 모뎀 설계에 관한 것이다. 고속 통신을 위한 기술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넓은 주파수를 사용하고 여타 서비스에 주파수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기술인 MB-OFDM (Multi-B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의 UWB (Ultra-Wideband) 모뎀의 SoC (System-on-Chip) 칩을 설계하였다. 개발된 모뎀 SoC 칩의 기저대역 시스템은 WiMedia에서 정의한 표준안을 따라서 설계되었다. 설계된 SoC 칩은 코어 부분인 FFT/lFFT (Fast Fourier Transform/l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송신부, 심볼동기 및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 비터비 디코더, 그리고 기타 수신부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도체 공정은 90nm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공정을 사용하였고, 칩 사이즈는 약 5mm x 5mm 이다. 2009년 7월 20일에 fab-out되었다.

수정된 ATSC 전송 시스템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동기부 설계에 관한 연구 (A Carrier Frequency Synchronization Scheme for modified ATSC Systems)

  • 전영곤;김준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96-107
    • /
    • 2011
  • 최근 들어 3D HDTV (3-Dimensional High Definition Television)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3D HDTV 방송 서비스를 위하여 기존의 HDTV 전송 방식인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8-VSB (8-Vestigial Side Band) 시스템을 수정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프레임헤더에 PN (Pseudo-Noise)심볼을 삽입하여 반송파 주파수 오차와 반송파 위상 오차 복구를 이루도록 하는 프레임 구조와 VSB 변조방식을 채택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시스템을 수정된 ATSC 전송시스템이라 부르려 한다. 수정된 ATSC 전송시스템의 수신기는 방송 신호의 원활한 수신을 위하여 반송파 주파수 오차(심볼속도 대비 최대 1%)를 정확하게 추정하고 복구하여야 한다. 기존 ATSC 시스템이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여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복구 하였다면, 수정된 ATSC 시스템은 별도의 파일럿 신호 첨가 없이 PN심볼을 이용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수정된 ATSC 전송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반송파 주파수 복구 방식을 소개한다. 제안된 방식은 Fitz 알고리즘을 이용한 거친 반송파 주파수 오차 복구부과 간단한 PN심볼 상관 알고리즘을 이용한 미세 반송파 주파수 오차 복구부를 가진다. 그리고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변조된 신호는 심볼 정보가 동위상 채널과 직각위상 채널에 존재하는 반면 VSB 변조된 신호는 심볼 정보가 동위상 채널에만 존재하고 직각위상 채널은 단지 동위상 채널의 힐버트 변환된 값이다. 그러므로 VSB 변조된 신호는 QAM 변조된 신호와 같은 고정된 위상을 가지지 못하고, 반송파 주파수 옵셋에 더욱 민감하게 된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상적인 송수신 시스템에서 수신된 PN 심볼을 이용한 수신된 신호의 위상보정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