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rovement of curriculum.

검색결과 1,006건 처리시간 0.029초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평생교육에서 학습자의 직무능력개발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arners' Job Competency Development on the Improvement of Their Vocational Key Competencies in Lifelong Education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 남기영;윤준상;임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30-141
    • /
    • 2017
  •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 평생교육에서 학습자의 직무능력개발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혀내는데 목적을 갖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원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4개 단위로 구분한 직업기초능력에 직무능력개발이 미치는 각각의 영향력을 검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평생교육 학습자들의 교육환경의 외부적 영향을 감안하기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표본조사를 위해 서울에 소재중인 평생교육 기관의 학습자 480명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1의 검증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은 단일 차원에서는 수리능력에 모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2의 검증 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 중 교육체계(F=3.021, p<.05)와 교육과정(F=6.684, p<.05)은 단일 차원에서 수리능력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3의 검증 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 중 교육과정(F=5.865, p<.05)만 단일차원에서 자원관리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 4의 검증 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은 단일 차원에서는 의사소통에 모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직무능력개발요인은 교수상호작용과 평생교육지원이 병행되는 과정에서, 교육체계와 교육과정이 조화되거나 혹은 교육체계, 교육과정, 평가관리 모두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었을 때, 의사소통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문화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중학교 역사교육과정기준 개발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History Curriculum Standards for Revitalization of Cultural Property Education)

  • 안대현;홍후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3호
    • /
    • pp.150-167
    • /
    • 2021
  • 3차 교육과정 이후 중학교 역사교육은 정치사 중심으로 실시되어왔으나 많은 학생들은 역사 과목을 단순 암기 과목으로 인식하며 추상적인 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점이 역사교육과정기준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중학교 역사교육과정기준에서 문화재 교육 활성화를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창의적 인재 양성과 학생 참여형 역사 수업 구현 등 문화재 교육의 유용성을 밝히고 현행 정치사 중심의 중학교 역사교육과정기준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후 중학교 3학년 학생들과 사회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역사교육 및 문화재 교육에 관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학생들은 현행 정치사 중심의 역사를 학습량이 많다고 생각하며 교사들도 이에 대해 동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집단에서 역사교육에서 문화재 교육의 필요성을 공감하였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정치사 중심의 역사교육과정에서 문화재 교육을 충분히 하기가 쉽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은 문화재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정치사를 중심으로 구성된 현행 역사교육과정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2015 개정 역사교육과정기준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성격' 부분에서는 문화재 관련 내용을 추가할 것과 역사 자료에 문화재를 포함할 것, '목표' 부분에서는 정치·경제·사회·문화를 포함할 것과 문화재 학습을 통해 우리 민족의 전통과 문화를 계승·보존·발전시켜 나간다는 것을 추가 기술할 것,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부분에서는 소주제에 문화재 관련 내용을 추가할 것과 성취 기준에 문화재 관련 내용을 좀 더 보강할 것, '교수·학습 및 평가' 부분에서는 사료 학습에 문화재 학습을 포함할 것과 문화재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안내를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이 현재 개발 중인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다면 문화재 교육이 강화되어 보다 생동감 있는 역사교육을 학생들에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고등학교 화학 Ⅰ교과서의 STS 교육 내용 및 구성 방식 개선 방안 (Improvement Schemes of STS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High School Chemistry Ⅰ Textbooks to be developed by the 7th Curriculum)

  • 홍미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91-49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되어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중인 화학 I교과서에서 과학-기술-사회(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이하 STS) 내용 및 활동 유형, 제시 방식 등을 검토하고, 이 결과을 외국의 대표적인 고등학생용 STS 자료를 분석 한 결과와 비교하여, 장차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될 고등학교 화학 I교과서에서 적절한 STS 내용 및 구성 방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고등학교 화학 I교과서 중 임의로 5종을 선택하여 STS내용, STS 교수 학습 활동 유형, STS 내용 제시 양식, STS 내용의 포함 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외국의 STS 프로그램 중에서 Chemistry in the Community, 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 Chemistry; The Salter's Approach를 선택하여 구성 방식의 특징,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학습 주제 및 우리 나라 화학 I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학습 내용적인 살펴보면, 제 6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된 화학 I교과서에서는 주로 '사회적 문제','과학의 응용성', '과학의 다차원성'만 다루고 있고, '과학에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과 '실제 문제에 대한 협동 작업'과 관련된 내용은 전혀 없으므로 다양한 측면의 STS 내용을 다루고 있지 않다고 볼 수 있었다. 반면, 외국 교재에서는 과학${\cdot}$기술과 관련된 직업을 소개하는 난이 독립적으로 되어 있거나 실제로 의사 결정을 해야 하는 내용 등 다양한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활동 유형을 살펴보면, 지역에 대한 사례 조사, 역할 놀이, 다양한 의사 결정 활동 등 다양한 학생 활동을 제시하고 있는 외국 STS 교재에 비하여 우리나라 화학 I교과서는 설명 위주였으며, 조사와 토론 활동이 대부분이므로, 학생 활동이 상당히 빈약하다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비하여 STS 내용 포함 비율은 높아졌으며, 책마다 STS에 대하여 따로 소개하고 있어서 우리 나라의 화학 교과서가 STS적인 성격을 띠려고 시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우리 나라 제 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화학 I교과서에서의 STS 내용 및 구성 방식을 제안하였다.

  • PDF

CELL교육과정 참여가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ELL curriculum participation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flow,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양재훈;조보람;황인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55-67
    • /
    • 2020
  • 본 연구는 CELL교육과정 참여가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1학기에 K대학교 재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ELL교육과정 참여가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 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학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는 여학생의 경우에만 학습몰입,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학년별 분석에서는 2학년은 학습몰입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3학년은 모든 변인에, 4학년은 학업적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넷째, 참여학생 인터뷰를 통해 참여소감과 개선점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CELL교육과정의 효과를 살펴보고 체계적인 운영과 지원을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약사직능수행 향상을 위한 약사국사시험 개선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National Liscensing Examinaion for Improvement of Pharmacist)

  • Moon Sang Whang;Chang Jong Kim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1999년도 PharmWorld
    • /
    • pp.2-22
    • /
    • 1999
  • To maximize the services of phatmacists, we studied the best national liscensing examination for improvement of pharmacist. Among 650 Pharmacist who are posed the questions, 282 pharmacist such as professor in college of pharmacy(46), pharmacists in drug store and hospital (136), administrators in The Ministry of The Health and Welfare(48) and researchers and phamacists in pharmaceutical company (52) replied it. By analyzing these questiona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Korean national liscensing examination for medial care team, pharmacist has been examed over two times the subjects as compared with another national examinations for medical and public health liseneses and 6-year curriculum of medical school. Now,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pharmacy liscence have been tested the basic subjects such as pharmaceutical analytical chem-istry, medicinal chemistry, biochemistry, etc., but almost demander, pharmacist who has been engaged about over 80% in the drug stores and hospital pharmacy, want to have exam pharmacy practics which are clinical pharmacy, pathohysiology and pharma-cotherapy of diseases like The United State of America, but not basic chemisty and biology. If the Korean liscensing examination for pharmacy will be changed like America, pharmacy education in the college of phar-macy will be progressed in detail. There are no clerkships and internships in the pharmaceutical education program in Korea, and so most of pharmacist want to have 6-year curriculum for pharmacy education and to test the pharmacy practice for Doctor of Pharmacy(Pharm. D.) but not basic science.

  • PDF

대학 교과과정에서의 ERP교육 방안 (The Approach for ERP Courses into University Curriculum)

  • 윤철호;김상훈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9-51
    • /
    • 2004
  • Based on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ases of advanced foreign universities that have already included ERP courses in their education systems, this study proposed the ways of incorporating ERP courses into Korean universities' curriculums in terms of the following three areas: 1) development of ERP courses, 2)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ERP education environment, 3) continuous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ERP education implementation. As reasonable ERP courses, "Introduction to ERP" targeted to educating overall basic concepts in ERP system and business administration, "ERP System Implementation" for fostering business process design and system implementation skills, "ERP Programming" such as ABAP for the purpose of customizing ERP system, and "Strategic Use of ERP" dealing with ERP package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methodologies of effective utilization of ERP systems were suggested. Regarding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ERP education environment, single server architecture model that contained both database and application was proposed with the intention of set-up cost saving and maintenance efficiency. As for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n ERP education implementation, its methodologies were introduced through analyzing the advanced cases. Finally in addition to the above three areas,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effectively launching ERP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were suggested through reviewing the previous case studies.

다중지능을 활용한 학습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s by multiple-Intelligence)

  • 홍순원;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6-8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higher grades in elementary the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s by multiple-intelligence. To verify research problem,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sixth-grade students selected from two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1san : the search group is composed of twenty-nine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multiple-Intelligence situation, and the other is composed of thirty-two students(comparison group) who were participated in teacher map based learning situation. During six weeks, the multiple-Intelligence was executed in th search group while the teacher map based instruction in comparison group Post-test showed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ce process skill compared th the comparison group. Second, the search group did not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tific attitudes compared th the comparison group. In conclusion, multiple-Intelligence teaching model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eacher map based teaching model on science process skill. However, since the study has a limit on an object of the study and the applied curriculum, the additional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an extended comparative group and curriculum.

  • PDF

WIDA 평가 고찰을 통한 한국어(KSL) 교육과정 진단평가 개선 방안 탐색 (Suggestions for Improvement for KSL Screening Tests: From an Analysis of WIDA Tests)

  • 이인혜
    • 한국어교육
    • /
    • 제29권1호
    • /
    • pp.163-197
    • /
    • 2018
  • The present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Korean proficiency screening test through an analysis of WIDA tests. A review of WIDA Screener, WIDA MODEL, and W-APT reveals that each of these three tests consists of four or five tests, corresponding to grade-level clusters. In addition, the WIDA screening tests assess both English for social communication and academic English, according to WIDA's five English Language Development (ELD) standards. Thematic folders of the ELD standards have different ranges of item difficulty, and the WIDA screening tests are adaptive tests. Lastly, the writing tests consist of performance-based tasks, and the rubric is holistic. A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for Korean screening tests of the KSL curriculum, this study proposes (a) to devise items to assess academic Korean, so as to evaluate students' overall proficiency more accurately, (b) to utilize an adaptive method to screen students' proficiency more efficiently, and (c) to revise the writing tasks and rubric of the current KSL screening tests.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들의 만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비교 (Perceptions for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 Olds between Mothers Whose Children go to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 유제;황혜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07-133
    • /
    • 2013
  •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만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누리과정의 발전과 정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382명(유치원 192명, 어린이집 190명)이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자녀의 재원 기관에 관계없이 어머니들은 누리과정이 시행 중인 것과 누리과정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들을 위한 공통 교육과정인 것을 알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들은 누리과정이 필요하며, 누리과정에 대해서 만족을 나타냈다. 셋째, 누리과정이 갖추어야 할 환경적 요소에 대한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누리과정을 담당하는 교사의 자질에 대해서는 어머니 간 차이가 있었으나, 학력과 연령에 대한 선호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누리과정이 유아교육 보육의 질적 수준 향상에 비교적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여섯째, 어머니들은 만 5세 누리과정이 시행된 이후 자녀가 다니고 있는 기관을 옮기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선택을 앞둔 유아와 학부모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PBL통합교과과정에서 학습한 간호학생의 문제중심학습 효과 (The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ning(PBL) in Nursing Students Studying through PBL Curriculum)

  • 황윤영;주민선;박창승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5-161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PBL) in nursing students.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70 junior nursing students who studied through PBL curriculum from C college, by 3 times from August to December 200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0.0.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study related characteristics; appropriateness to nursing, interest in nursing knowledge, interest in clinical practicum and evaluation PBL learning course; satisfied with teaching content, satisfied with teaching method, and self-confidence in nursing.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metacognition, self 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Conclusion: Based on above results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ing about subject of diverse nursing students who are studying PBL, development of PBL practice package and evaluation it's effects, and exploration to many elements that influenced evaluation PBL learning cour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