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roved food

검색결과 3,012건 처리시간 0.034초

길경에서 추출한 polygalacin D가 근원세포 분화 및 근위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galacin D extracted from Platycodon grandiflorum on myoblast differentiation and muscle atrophy)

  • 송은주;허지원;장지희 ;김언미;정윤희;김민정;김성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6호
    • /
    • pp.602-614
    • /
    • 2023
  • 본 연구는 근생성 및 근위축 완화효능을 가진 유효소재 발굴의 필요성에 의해 polygalacin D가 근원세포 분화 및 미토콘드리아에 미치는 영향과 항암제 유도 근위축에 대한 완화효과를 각각 세포 및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polygalacin D는 다핵을 지닌 근관세포의 수와 분화 종결인자인 MHC isoforms의 발현량을 증가시켰고 근육 내 단백질 분해 인자인 MuRF1, Smad2/3의 발현량은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생합성 조절인자인 Pgc1α의 발현은 증가시키고 미토콘드리아 분열인자인 Drp1과 Fis1의 발현은 감소시켰다. 한편 zebrafish 동물모델을 통해 항암제 유도 근위축에 대한 개선효과를 확인한 결과, polygalacin D는 항암제에 의해 유도된 근위축과 미토콘드리아 손상을 완화시켰다. 이상의 결과들은 polygalacin D가 미토콘드리아 기능 증진을 매개로 근원세포 분화 촉진 및 근육 단백질 분해 저하 효과를 지닐 뿐만 아니라, 미토콘드리아 손상을 개선하여 항암제로 유도된 근위축에 대한 완화 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polygalacin D가 근생성 및 근위축 예방과 치료를 위한 잠재적인 유효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건조한 남은 음식물을 이용한 Aspergillus oryzae균주 배양조건과 그 배양물 급여가 닭의 영양소 이용률에 미치는 영향 (Culture Conditions of Aspergillus oryzae in Dried Food-Waste and the Effects of Feeding the AO Ferments on Nutrients Availability in Chickens)

  • 황보 종;홍의철;이병석;배해득;김원;노환국;김재황;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91-300
    • /
    • 2005
  • 남은 음식물에서 Aspergillus oryzae(AO)의 유용한 배양조건(시간, 수분함량, 접종균수)을 구하기 위하여 2가지 실험과 닭에서 그 배양물의 영양소 이용율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1> 적정 배양시간과 접종균수의 측정을 위하여 수분함량을 30, 40, 50, $60\%$로 정하였다. 잔반 사료에 접종하는 seed로서 1mL Aspergillus oryzae(AO) $(1.33\times10^5\;CFU/mL)$를 이용하였다. 배양을 위한 적정 수분함량은 $40\~50\%$였으며 배양시간은 72시간 이상이었다. 계속하여 AO 균수에 의한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AO seed 0.25, 0.50, 0.75, 1.00mL를 남은음식물 사료에 접종하였다. AFW의 AO균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72시간과 96시간 배양하였으나, 접종량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다. 다시 수준을 낮추어 0.01, 0.05, 0.10mL를 접종하고 72시간과 96시간동안 배양한 결과, 72시간 배양 AO colony 수는 0.1 mL 접종 처리 구에서 가장 많았다. <시험 2> FW의 배양조건을 결정한 후에, 20수의 5주령 Hubbard종을 공시하여 소화율 시험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T1-대조구, T2-기초사료 $60\%$+건조잔반 $40\%$, T3-기초사료 $60\%$+건조잔반 $20\%$+AO균 접종 건조잔반 $20\%$, T-4-기초사료 $60\%$+AO균 접종 건조잔반 $40\%$ 처리구 등 총 4처리구, 처리구당 5반복씩 20수를 인공항문 장착하여 소화율을 조사하였다.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 일반성분과 아미노산은 대조구에 비해 T2 처리구가 전성분에서 낮았고(p<0.05), AFW(T3, T4)처리구에 비해 조지방과 인의 소화율에서 차이를 보였다(p<0.05). T3와 T4는 T2에 비해 조섬유 및 조회분의 소화율이 증가하였다(p<0.05). 대조구는 T3와 T4에 비해 필수아미노산인 arginine, leucine, phenylalanine의 소화율이 높았으나(p<0.05), T3와 T4 처리구는 T2 처리구에 비해 필수아미노산 arginine, lysine 및 thereonine과 비필수아미노산 alanine의 소화율이 개선되었다(p<0.05).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건조 잔반의 AO 배양조건 구명과 영양소 이용율 시험을 통해 FW사료의 품질이 기초사료에 비해 영양소 이용율이 낮고, AFW 사료가 AO에 의해 개선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키틴분해효소를 분비하는 형질전환 Bacillus subtilis의 사료내 첨가가 비육돈의 성장,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tion with Transgenic Bacillus subtilis Secreting Chitinase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Characteristics, and Carcass Traits in Finishing Pigs)

  • 김효진;조진호;진영걸;유종상;왕원;황염;김인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1-186
    • /
    • 2008
  • 본 시험은 키틴분해효소를 분비하는 형질전환 B. subtilis의 사료내 첨가가 비육돈의 성장,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3원교잡종(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비육돈 64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 개시시 체중은 $50.82{\pm}0.82kg$이었고 84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1) CON(basal diet without antibiotics), 2) AD(basal diet + 0.1% Virginiamycin), 3) CD0.5(basal diet + 0.5% transformed B. subtilis) 및 4) CD1.0(basal diet + 1.0% transformed B. subtilis)로 4 처리로 하였으며 처리당 4반복, 반복당 4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본 사양시험에 사용한 B. subtilis 농도는 $3{\times}10^8cfu/g$이었다. 성장에 있어서 0-4주 동안에는 일당증체량과 사료효율에서 CD1.0 처리구가 AD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4-8주 동안에는 일당증체량과 사료섭취량에서 있어 AD 처리구가 CON 처리구와 형질전환 B. subtilis 첨가구에 비해 향상되었다(p<0.05). 8-12주 동안의 일당사료섭취량에서 CON 처리구가 형질전환 B. subtilis 첨가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사료효율에서는 형질전환 B. subtilis 첨가구가 AD 처리구 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전체 사양기간 동안에는 일당사료섭취량에서 AD 처리구가 형질전환 B. subtilis 첨가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사료 효율에서는 형질전환 B. subtilis 첨가구가 CON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육색에 있어서 명도를 나타내는 L 값은 CD0.5 처리구가 CON 처리구 및 AD 처리구에 비해 개선되었으며(p<0.05), 적색도를 나타내는 a 값은 CON 처리구가 AD 및 CD0.5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관능검사에서 육색은 CON 처리구, 형질전환 B. subtilis 첨가구가 AD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근내지방도는 CON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경도에서는 CD0.5 처리구가 AD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본 시험결과, 사료효율, 육색에서 키틴분해효소를 분비하는 형질전환 B. subtilis의 첨가급여로 항생제의 부분적 대체가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죽초액의 첨가가 육용오리의 생산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lemental Bamboo Vinegar on Production and Meat Quality of Meat-type Ducks)

  • 국길;김정은;정광해;김재필;고홍범;이재일;김창렬;김광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93-300
    • /
    • 2002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upplemental Bamboo vinegar on production and meat quality of broiler ducks for 35 days. One hundred broiler ducks were divided into 4 groups of 25 ducks. Dietary levels of bamboo vinegar 0%, 1%, 2% and 4% were added to experimental diets ot each of the groups. The wei핌t gain and feed intake of ducks f3d with supplemental bamboo vinegar significantly high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The carcass rate of the ducks fed with supplemental Bamboo vinegar 1% and 2%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control, but the ducks fed with 4% treatment was decreased in carcass rate. The lipid and cholesterol content of breast meat of the ducks f3d bamboo vinegar 2% and 4%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The color values in redness and yellowness were increased by supplemental Bamboo vinegar. Palmitic acid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breast meat was decreased by supplemental bamboo vinegar groups, whereas linoleic acid was increased, this difference was especially observed in supplemental Bamboo vinegar 2% (P<0.05). The odor, appearance and taste of sensory evaluation were improved by supplemental bamboo vinegar, especially in supplemental bamboo vinegar 1% and 2%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upplemental bamboo vinegar 1% and 2% may improve the production and meat quality of broiler ducks.

$CCl_4$를 투여한 랫드에서 헛개나무 열수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와 신기능 개선 작용 (Water Extract of Hovenia dulcis Suppressed Lipid Peroxidation and Improved Renal Function in $CCl_4$ Intoxicated Rats)

  • 박연우;양시용;이민경;진주영;조정희;김기영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868-873
    • /
    • 2004
  • Renal dysfunction could be developed as the secondary disease of liver cirrhosis. Delayed or suppresed lipid peroxidation by the treatment with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could be explained as the antioxidative and protective effect in tissue damag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 antioxidative effect and renal function improvement of Hovenia dulcis in liver fibrosis(cirrhosis) induced rats. The female Sprague-Dawley rats (180∼210 g) were divided into 3 groups (Normal, AC: CCl₄ mixture treated group, AC-HV: CCl₄ mixture+ Hovenia dulcis treated group) and renal damage was developed by CCl₄ mixture administration in 4 weeks (0.8 ㎖/rat). The tissue of kidney and liver and sera were used for quantitative measurement of enzyme activity, MDA and Hyp. The histological change and gene expression of collagen α1(III) mRNA and a1(IV) mRNA were observed by Masson's trichrome staining and RT-PCR. As a result, the clinical biochemical parameters of liver function (AST and ALT) in sera of AC-HV group showed significantly 46.4% and 104.8% lower (p<0.005), and the level of ALP and BUN as the parameter of protein urine and azotemia showed 17.8 % and 25.8 % lower than in AC group. In AC-HV group, the concentration of MDA in kidney and liver was decreased significantly 15.8% and 21.3% when compared with AC group (p<0.01 -0.005). The content of Hyp in kidney of AC-HV group is merely higher than in AC group, in contrast to liver tissue. The expression of collagen α1(III) mRNA and collagen α1(IV) mRNA was decreased in AC, but both of collagen mRNA in normal and AC-HV group expressed fast similar. More massive lipid droplets, thicker collagen fiber bundles in portal triads and more formation of portal central septum were observed in the liver of AC group than in AC-HV group. In conclusion, CCl₄ mixture intoxication could be developed not only liver fibrosis(cirrhosis) but also renal dysfunction by the massive lipid peroxidation and suppression of interstitial collagen and basement membrane collagen synthesis. And the water extract of Hovenia dulcis may be possessed the antioxidative and protective effect and improvement of kidney function in renal dysfunction induced rats.

벼의 낱알 특성에 관여하는 양적형질유전자좌 분석 (Genetic Mapping of QTLs that Control Grain Characteristics in Rice (Oryza sativa L.))

  • 홈레지나와세라;피카아유사피트리;이현숙;윤병욱;김경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925-931
    • /
    • 2015
  • 미립 품질 향상을 위하여 미립 형태를 결정하는 특성을 위한 분자육종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미립과 관련된 양적형질 유전자좌를 탐색하고, 이들 환경요인과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디카 품종인 ‘청청’과 자포니카형인 ‘낙동’이 교배된 조합 F1의 약배양에 의해 양성된 120 계통(DH 집단)과 217개의 DNA 마커를 이용하여 전체 길이가 2,067cM이고, 마커간 평균거리가 9.5cM인 유전자 지도를 작성하였다. 미립형태 관련 유전자좌 분석에서 미립의 외형인 길이, 폭, 두께, 장폭비, 천립중과 관련하여 14개의 QTL이 탐색되었다. 현미의 미립길이 관련 3개의 QTL (qGL2, qGL5, qGL7), 미립 폭 관련 3개의 QTL (qGW2-1, qGW2-2, qGW2-3), 미립 두께 관련 1개의 QTL (qGT2), 장폭비 관련 6개의 QTL (qLWR2-1, qLWR2-2, qLWR2-3, qLWR2-4, qLWR7, qLWR12) 및 천립중 관련 1개의 QTL (qTGW8)이 선발되었다. 미립 장폭비 관련 4개의 QTL은 미립길이와 미립두께에서 동일한 염색체 상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명된 QTL 마커들은 쌀 품종개량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해동 후 돼지고기 저지방 부위 뒷다리살과 등심의 냉장 중 물리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of Ham and Loin from Low-Fat Pork Cuts during Chilling after Thawing)

  • 문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87-495
    • /
    • 2013
  • 돼지고기의 저지방 부위인 뒷다리살과 등심을 진공포장하여 $-20^{\circ}C$에서 3개월간 동결한 후 해동하였다. 해동육을 $3^{\circ}C$에 냉장하면서 냉장기간에 따른 생육과 가열육의 물리적 특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생육의 경우, 뒷다리살은 해동직후(냉장 0일)에 비하여 냉장 4일에 pH 값, $L^*$값, 드립 감량, 보수력, 점성이 상승한 반면, 가열감량, 경도 및 저작성은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다(p<0.05). 등심은 해동 후 냉장 2일에 이와 같은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가열육의 물리적 특성 변화는 두 부위 모두 생육의 경우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pH 값, $L^*$값 및 $a^*$값은 해동 후 냉장 중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육과 가열육의 탄력성 및 응집성은 두부위 모두 해동 후 냉장 중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뒷다리살과 등심은 각각 해동 후 냉장 4일과 2일에 연도가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p<0.05).

Amphotericin B Aggregation Inhibition with Novel Nanoparticles Prepared with Poly(${\varepsilon}$-caprolactone)/Poly(N,N-dimethylamino-2-ethyl methacrylate) Diblock Copolymer

  • Shim, Yong-Ho;Kim, You-Chan;Lee, Hong-Joo;Bougard, Francois;Dubois, Philippe;Choi, Ki-Choon;Chung, Chung-Wook;Kang, Dae-Hwan;Jeong, Young-I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1호
    • /
    • pp.28-36
    • /
    • 2011
  • Diblock copolymers composed of 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 and poly(N,N-dimethylamino-2-ethyl methacrylate) (PDMAEMA), or methoxy polyethylene glycol(PEG), were synthesized via a combination of ring-opening polymerization and atom-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in order to prepare polymeric nanoparticles as an antifungal drug carrier. Amphotericin B (AmB), a natural antibiotic, was incorporated into the polymeric nanoparticl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AmB-incorporated polymeric nanoparticles with PCL-b-PDMAEMA and PCL-b-PEG were studied in relation to morphology and particle size. In the aggregation state study, AmB-incorporated PCL-b- PDMAEMA nanoparticles exhibited a monomeric state pattern of free AmB, whereas AmB-incorporated PCL-b- PEG nanoparticles displayed an aggregated pattern. In in vitro hemolysis tests with human red blood cells, AmBincorporated PCL-b-PDMAEMA nanoparticles were seen to be 10 times less cytotoxic than free AmB (5 ${\mu}g$/ml). In addition, an improved antifungal activity of AmBincorporated polymeric nanoparticles was observed through antifungal activity tests using Candida albicans, whereas polymeric nanoparticles themselves were seen not to affect activity. Finally, in vitro AmB release studies were conducted, proving the potential of AmB-incorporated PCL-b-PDMAEMA nanoparticles as a new formulation candidate for AmB.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Acai(Euterpe oleracea Mart.) 기능성분의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Functional Components from Acai (Euterpe oleracea Mart.)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홍주헌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13-722
    • /
    • 2011
  • 본 실험은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추출조건에 따른 Acai 에탄올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모니터링하였다. 추출조건에 따른 수율의 최대값은 2.84%이었고, 중심합성계획에 의한 Acai 추출조건별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식의 $R^2$는 각각 0.9596와 0.9356로 1% 이내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전자공여능에 대한 회귀식의 $R^2$는 0.8842로 5% 이내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추출온도보다는 에탄올 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에 대한 pH 조건별 추출조건의 영향은 에탄올 농도가 가장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조건별 anthocyanin 함량은 74.421~291.841 mg/L의 범위였으며, 결과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식의 $R^2$는 0.9792로 1% 이내의 유의수준에서 인정되었고, 추출온도와 시료에 대한 용매비보다는 에탄올 농도에 많은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ORAC은 137.73~562.94 ${\mu}moles$ TE/g의 범위였으며, 시료에 대한 용매비가 낮을수록, 에탄올농도가 높을수록 함량이 증가하였다. Acai의 추출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추출물의 특성인 추출물의 수율, 총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anthocyanin 함량 및 ORAC에 대해 contour map을 superimposing하여 얻은 최적추출조건의 범위는 에탄올 농도 28~58%, 추출온도 $60{\sim}68^{\circ}C$, 시료에 대한 용매비가 10~12 mL/g이었다.

한국 서해 폐기물 투기해역의 하계 수질인자 분포특성과 장기 투기행위로 인한 영양염 농도 변화 (Variation of Nutrients due to Long-Term Effects of Ocean Dumping and Spatial Variability of Water Quality Parameters in Summer at the Ocean Waste Disposal Site Off the West Coast of Korea)

  • 고혁준;최영찬;박성은;차형기;장대수;윤한삼;이충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389-1402
    • /
    • 2013
  • This paper focuses on the impacts of waste dumping on inorganic nutrients in the dumping area of the Yellow Sea, and the effect of an governmental regulation of pollution in dumping areas. The environmental variables and parameters of the dumping and reference areas in the Yellow Sea were measured during July 2009 and analyzed. In addition, the analyzed data for inorganic nutrients over the last 10 years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Coast Guard (KCG) and th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The chemical environment of the study area revealed increases in concentrations of inorganic nutrients,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Volatile Suspended Solids (VSS) in the bottom layer. On the contrary, the pH level was decreased. Most notably, the time series data of inorganic nutrients showed gradual increase over time in the dumping area, and thus, the oligotrophic waters trend toward eutrophic waters. The increases appears to be due to the disposal of large amounts of organic waste. In recent times, the wastes disposed at the area were largely comprised of livestock wastewater, and food processing waste water. The liquefied waste, which contains an abundance of nutrients, causes a sharp increase in concentrations of inorganic nitrogen in the dumping area. On the one hand, the dumping sites have been deteriorated to such an extent that pollution has become a social problem. Consequentially, the government had a regulatory policy for improvement of marine environmental since 2007 in the dumping area. Hence, the quality of marine water in the dumping site has im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