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ersion washing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4초

쌀 세척 및 취반 방법에 따른 isoprothiolane의 감소 효과 (Reduction effects of isoprothiolane during rice washing and cooking)

  • 김명헌;조미현;안소은;임무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72-482
    • /
    • 2023
  • 본 연구는 쌀의 세척 및 취반 방법에 따른 isoprothiolane 잔류량을 GC-µEC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세척 전 현미 잔류량은 17.03 mg/kg이었으며, 도정 후 백미는 1.67 mg/kg이었다. 세척 방법에서 물의 비율과 세척 횟수에 따라 현미와 백미의 isoprothiolane 잔류량은 19.3-59.3 및 43.1-66.5%이었으며, 세척물 온도가 5-40℃ 증가할수록 현미는 56.6-63.1%, 백미는 67.1-74.9% 감소하였다. 세척 방법을 손으로 살살 휘젓거나 비비는 방법으로(A, B 및 C)로 달리하였을 때 현미의 농약 감소율은 63.1-71.6%, 백미는 75.4-87.4%이었다. 현미를 압력밥솥과 전기밥솥을 이용하여 즉시 취반하였을 때 농약은 78.4 및 78.5%, 백미의 경우 94.0 및 94.0%로 감소하였으며, 30분간 불린 후 취반하였을 때 잔류농약은 현미에서 83.4%, 백미는 95.8% 감소하였다. 따라서 현미와 백미의 잔류농약 감소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세척 및 취반 방법은 40℃ 물, 7배 물로 6회 (2, 3회 차는 손으로 비벼서 세척) 세척 후 30분간 물에 불리기이다. 밥솥의 종류에 관계없이 취반할 경우 현미는 평균 83.4%, 백미는 95.8% isoprothiolane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해산화수에 의한 상치의 세척방법별 제균효과와 저장중 품질변화 (Microbial Removal Effects of Electrolyzed Acid Water on Lettuce by Washing Methods and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 정승원;정진웅;박기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511-1517
    • /
    • 1999
  • $5^{\circ}C$로 냉각한 전해산화수를 사용, 상치를 대상으로 하여 침지, 분사, 유수 및 다단침지법에 따른 세척방법별 살균효과 및 저장중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 세척방법에 따른 미생물 살균효과는 전해산화수로 2분간 3회 처리한 다단 침지방식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2분간 3회 처리한 다단 침지방식으로 처리한 후 포장하여 $10^{\circ}$ 저장시의 품질변화에 있어서는, 초기 총균수는 전해산화수 처리구가 무처리구 및 수도수 처리구에 비해 각각 1/300 및 1/100정도 낮았고, 대장균군수도 침지 초기에는 전해산화수 처리구가 $3.1{\times}10^3CFU/g$으로 무처리구의 1/3,000 수준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나 저장 3일 후부터는 무처리구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저장중의 색도변화는 전해산화수 처리구가 무처리 및 수돗물 처리구에 비해 L 및 b값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클로로필 함량은 초기에 무처리구보다 9% 적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무처리구와 거의 같은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폐기율은 저장 6일까지 전해산화수로 침지한 상치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종합적 기호도는 저장 3일까지, 외관적 품질은 저장 6일까지 전해산화수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과일류의 염소 소독 농도 및 세척 횟수에 따른 미생물 제거 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Washing and Chlorine Treatments on Fresh Fruits)

  • 박종숙;남은숙;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6-183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anti-microbiological effects of chlorine treatment on the surface of fresh fruits, in order to improve microbiological safety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Non-peeled fruit(strawberries) and peeled fruit(banana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hlorinated water and rinsing numbers, followed by microbiological testing. The fruits were immersed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hlorinated water(0 ppm, 50 ppm, and 100 ppm) and durations(3 min and 5 min), and were then rinsed with tap water(one time, two times, or three times). The total viable cell counts of both the strawberries and bananas ranged from $10^3$ CFU/g to $10^4$ CFU/g, and coliform levels ranged from $10^2$ CFU/g to $10^3$ CFU/g. As the chlorine concentration, immersion time, and rinsing number increased, anti-microbiological activity increased. The largest microbial reduction was shown with immersion for 5 min in 100 ppm chlorinated water and three rinsings. In the strawberries, this treatment reduced the initial population of total viable cells and coliforms by 3.29 log CFU/g and to an undetectable level, respectively, no total viable cells or coliforms were detected on the banana surface following this treatment. However, after a sterilization treatment with immersion for 5 min in 50 ppm chlorinated water and three rinsings, the total viable cell counts and coliform counts of the strawberries and bananas decreased to acceptable levels, based on the microbiological standards for ready-to-eat foods. Overall, it was shown that the sterilization treatment of 50 ppm chlorinated water, soaking for 5 min, and three rinsings provided an effective reduction in surface microbes, and enhanced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the fruit.

단체급식소에서 이용되는 일부 생채소의 소독방법 및 저장에 따른 품질연구 (A study for the Quality Depending on Sanitization and Storage Method of Raw Vegetables in Foodservice Operation)

  • 김혜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84-69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quality of some raw vegetables and suggest safer methods of sanitization and storage for foodservice operations. Three sanitization methods were utilized during pre-preparation (tap water, chlorine water and electrolyzed water). Leek and Chicory were monitored as ingredient, with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3,\;10^{\circ}C)$ and periods (1, 2, 3, 4 and 7 days). The largest reduction in the microbial counts was shown with the electrolyzed water and for the case before immersion in chlorine water, performing a first washing was more effective in reducing the microbial counts than with no wash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orage temperature, pH, moisture content and microbial loads we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vegetables.

저온처리 전해산화수로 세정한 쑥갓과 케일의 저장중 품질변화 (Changes in Quality of Crown Daisy and Kale Washed with Cooled Electrolyzed Acid Water during Storage)

  • 정승원;정진웅;이승현;박노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17-423
    • /
    • 1999
  • 쑥갓과 케일을 시료 중량 50배의 5$^{\circ}C$로 냉각한 전해산화수에 2분 3회 다단침지 처리한 후 저장중의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 쑥갓의 경우 총균수는 무처리 쑥갓에 비해 평균 1/130, 대장균군수는 평균 1/1,170, 케일의 경우 총균수는 무처리 케일에 비해 평균 1/870, 대장균구수는 평균 1/470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1$0^{\circ}C$ 저장 6일후 부터는 무처리, 수도수 침지 처리구와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저장중 중량감소율은 쑥갓과 케일 모두 저장 3일까지는 무처리구에 비해 낮은 감소율을, 그리고 저장 3일 이후부터 무처리구에 비해 다소 높은 중량감소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폐기율은 전해산화수로 침지한 쑥갓과 케일이 저장 6일까지는 무처리와 수도수 침지구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케일의 경우 rupture srenth 는 저장 초기에는 무처리와 수도수 침지 처리구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저장기간 동안에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중 색도는 쑥갓과 케일 모두 저장 초기부터 무처리구보다는 수도수 침지구가, 수도수 침지구보다는 전해산화수 처리구가 다소 높은 L, b값과 낮은 a값을 나타내었으며, 클로로필 함량 변화도 쑥갓과 케일 모두 침지 직후에는 전해 산화수로 침지한 처리구가 다소 적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저장 3일부터 무처리구, 수도수처리구, 전해산화수 처리구의 순으로 감소속도가 빨랐다. 저장기간 중 관능적인 특성도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 쑥갓과 케일 모두 변색, 조위, 폐기율, 종합적 기호도에서 무처리와 수도수 처리구에 비해 다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 PDF

이산화염소수 생성기의 생성효율 및 과.채류에 대한 침지 세정 살균효과 (Effect of an Aqueous Chlorine Dioxide Generator and Effect on Disinfection of Fresh Fruits and Vegetables by Immersion Washing)

  • 박기재;정진웅;임정호;장재희;박희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6-242
    • /
    • 2008
  • 이산화염소수 발생 최적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생성원료인 $NaClO_2$ 농도(0.01-0.1%)와 $Cl_2$ gas 투입량(100-1,000 g/hr)에 따른 chlorite, chlorate, FAC 및 chlorine dioxide의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Chlorate, FAC 및 chloride dioxide 생성량은 $NaClO_2$$Cl_2$ 투입량이 증가할 수록 생성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산화염소수 최적 생성조건은 0.1% $NaClO_2$, 900 g/hr $Cl_2$ gas 농도였으며 발생한 이산화염소수의 $ClO_2$는 882 ppm, FAC는 8.0 ppm, chlorite는 검출되지 않았고 chlorate는 43.32 ppm이었다. 이때의 수율과 순도는 각각 97.0%, 96.0%였다. 상추, 치콘, 깻잎, 케일의 채소류에 대한 세정 침지 살균에서는 이산화염소수 농도의존성 감균 효과를 나타내어 3-4 log의 총균수 감소 효과가 있었다. 과일의 경우에도 농도 의존성 감균 효과는 동일하였으며 대략 3-5 log의 총균수 감균 효과가 있었다.

흑색 황화염료와 초극세사 나일론 스웨이드 부직포 직물의 Pad-steam 염색 및 염색성 평가 (Dyeing Properties of Ultra-fine Nylon Suede Non-woven Fabric with Sulphur Black Dye by Pad-steam Process)

  • 김민석;정대호;이미경;고재왕;이정훈;이승걸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11-222
    • /
    • 2017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yeing properties of the ultra-fine nylon suede non-woven fabric with Sulphur black dye regarding to the effect of dye concentrations, reducing agent contents, sodium carbonate contents, antioxidant contents, immersion temperature and exposure time in air by pad-steam process. The optimal conditions of dyeing for the ultra-fine nylon suede non-woven fabric were determined with dye concentration of 30% o.w.f., reducing agent content of $9{\sim}13g/{\ell}$, sodium carbonate content of $1{\sim}4g/{\ell}$, antioxidant content of $1{\sim}5g/{\ell}$, immersion temperature of $70^{\circ}C$, exposure time of 20 minutes in air and immersion time of 1 minute, respectively. Meanwhile, the colorfastness to washing, the colorfastness to light, and the colorfastness to perspiration for dyed ultra-fine nylon suede non-woven fabric were achieved in the range of 4-5 grades. The formaldehyde and arylamine were not detected on the ultra-fine nylon suede non-woven fabric by KC tests.

수은(水銀)으로 오염(汚染)시킨 해산물(海産物)의 조리(調理)에 따른 변화(變化) -(II) 해조류(海藻類)- (Changes in Cooking of Marine Products Polluted with Mercury -(II) See weeds-)

  • 박영선;김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8-151
    • /
    • 1986
  • 해조류(海藻類) 중에서 대표적인 김, 다시마, 미역을 대상으로 인위적(人爲的)으로 오염(汚染)시킨 다음 수세(水洗), 초산침지(醋酸浸漬) 등 조리법(調理法)을 달리할 때 수은함량(水銀含量)의 변동(變動)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은처리(水銀處理)를 하지 않은 시판(市販) 김 중의 수은함량(水銀含量)은 $0.052{\pm}0.002\;ppm$이며, 다시마는 $0.048{\pm}0.005\;ppm$, 미역은 $0.078{\pm}0.010ppm$이었다. 2. 1ppm의 수은용액(水銀溶液)에 24시간(時間) 침지(浸漬)하였을 때 가장 높은 오염상태(汚染狀態)를 보인 것은 미역이고 다음은 다시마, 김의 차례였으며, 수세(水洗)에 따른 경시적(經時的)인 용탈효과(溶脫效果)는 다시마>미역>김의 순(順)이었다. 3. 1ppm의 수은용액(水銀溶液)에 침지(浸漬)한 후 1%, 3%, 5%의 초산용액(醋酸溶液)에 침지(浸漬)한 경우 수은(水銀) 잔존량(殘存量)은 김, 다시마, 미역 모두가 농도(濃度)에 따른 큰 영향을 볼 수 없었다.

  • PDF

고문헌 보존처리의 클리닝 방법에 따른 인공열화지 물성 변화 - 침적 습식클리닝을 중심으로 - (The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of Artificial aging Paper in the Cleaning Process for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Historical Paper Documents - Focusing on Immersion Wet Cleaning -)

  • 정선화;조안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1호
    • /
    • pp.228-237
    • /
    • 2013
  • 지류문화재는 유기질이라는 재질의 특성상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가지 복합적인 손상인자(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인위적 원인)에 의해 유물의 보존성에 영향을 받고 있다. 그리하여 그 손상 정도에 따라 적절한 보존처리를 실시하게 되는데 그중 유물의 오염원을 제거하는 습식클리닝 처리가 지류문화재를 구성하는 주 원료인 한지의 재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공시재료로 인공열화지를 사용하였고 습식클리닝(침적식)을 적용하여 처리 전 후의 색차와, 내절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습식클리닝(침적식)에 의한 색도의 변화와 내절강도는 30분 침적을 2회 반복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따라서 이때가 클리닝의 효율과 재질의 안정성이 가장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Polysorbates를 첨가한 전해산화수의 미생물학적 세정효과 (Microbiological Cleaning Effect of Electrolyzed Acid Water by Containing Polysorbates)

  • 정진웅;박기재;정승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029-103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전해산화수의 세정 및 살균력 상승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계면활성제중 친수성을 지닌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polysorbate 20, 60 및 80을 농도별(10 ppb, 100ppb, 1 ppm, 10 ppm 및 100 ppm)로 시료중량 50배의 전해산화수에 10분간 침지한 처리구와 전해산화수 만을 사용한 처리구에 있어 총균수와 대장균군수를 비교 검토한 결과, polysorbate 20을 10 ppm첨가한 처리구는 무첨가 처리구에 비하여 총균수는 1/250 수준, 대장균군수는 약 1/4 수준으로 감소되며, polysorbate 60을 10 ppm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총균수가 1/20 수준, 대장균군수는 약 1/6 수준으로 감소되므로써 그다지 효과가 없었다. 반면에 polysorbate 80을 1 ppm 첨가한 처리구에 있어 총균수는 $2.3{\times}10^{2}$ CFU/g, 대장균군수는 $1.5{\times}10^{1}$ CFU/g으로 총균수의 살균율은 1/300 수준, 대장균군은 약 1/1,700 수준으로 감소 시키므로써 현저한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상치를 1 ppm의 polysorbate 80을 첨가한 전해산화수에서 침지시간에 따른 처리 결과, ORP, pH 및 표면색도의 변화는 미미하였으나 HCIO 함량은 초기 10.28 ppm에서 침지처리 20분후에는 8.51 ppm으로 감소하였으며, 살균효과는 총균수가 침지처리 20분에 $6.5{\times}10^{3}$ CFU/g으로 무처리한 초기시료에 비해 약 1/1,800 수준으로 감소되었고, 대장균군수는 침지처리 30분에 $9.0{\times}10^{1}$ CFU/g으로 약 1/5,550 수준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