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xypropylated corn starch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화학적 변성전분 및 라면 전분질의 In Vitro 소화율 (In Vitro Digestibility of Chemically Modified Starches and Ramen Starches)

  • 김수연;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75-478
    • /
    • 1994
  • 식품에 사용되는 화학적 변성전분류와 acetyl화 전분이 사용된 라면의 돼지 췌장 ${\alpha}-amylase$에 의한 in vitro 소화율($37^{\circ}C$에서 6시간)을 비교하였다. Native potato starch와 acetylated potato starch의 가수분해율은 각각 64.5%와 59.3%, native와 hydroxypropylated corn starch는 70.5%와 60.4%, 그리고 native와 hydroxypropylated high amylose corn starch는 65.2%와 57.3%로서 native한 것들이 유도체들보다 높았다. Waxy corn starch들의 소화율은 pregelatinized(74.3%)>native(72.1%)>acetylated(66.5%)>acetyl distarch adipate(56.4%)>hydroxypropyl distarch phosphate(50.7%)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국내에서 생산, 판매되고 있는 5개 회사의 봉지라면과 용기라면에 대한 실험에서는 실제 조리조건에서 소화율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화학적 변성전분의 소화율은 천연전분보다 낮지만 상용식품에서의 사용량이 매우 낮으므로 식품 섭취에 따른 전분질의 소화율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하이드록시프로필화 및 가교화 시킨 옥수수 전분의 호화 및 겔 특성 (Gelatinization Behaviours and Gel Properties of Hydroxypropylated and Cross-linked Corn Starches)

  • 육철;백운화;박관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0-73
    • /
    • 1992
  • 옥수수 전분을 하이드록시프로필화 및 가교화시켜 변성 전분을 제조한 후 DSC, Amylograph 등을 이용하여 호화특성을 연구하고 호화액의 gel 특성을 조사하였다. 하이드록시프로필화에 의하여 옥수수 전분의 호화온도는 크게 떨어졌으며 가교화만을 시킨 전분은 호화온도가 약간 상승하였으며 호화엔탈피는 약간 감소하였다. 하이드록시프로필화와 가교화를 동시에 시켰을 때는 호화온도가 크게 떨어져 하이드록시프로필화만 시킨 것보다는 약간 높았으나 팽윤이 억제되었고 gel 조직강도는 증가하였다.

  • PDF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옥수수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ydroxypropylated Corn Starches)

  • 육철;백운화;박관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5-182
    • /
    • 1991
  • 옥수수 전분을 propylene oxide와 반응시켜 치환도가 $0.031{\sim}0.147$되는 hydroxypropyl 옥수수 전분을 제조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Hydroxypropylation에 의하여 팽윤력, 용해도 및 물결합 능력이 증가하고 생전분의 효소 분해력이 높아졌으며 요오드 흡착강도가 낮아졌다. 아울러 hydroxypropylation에 의하여 전분의 결정화도도 감소되었다. 한편, 옥수수 전분을 hydroxypropylation시켰을 때 분자량 $1.34{\times}10^7$ 이상의 큰 분자는 감소하였고 $1.34{\times}10^7{\sim}1.18{\times}10^5$의 전분 분자는 증가하였다. Hydroxypropylation에 의하여 옥수수 전분 입자의 형태에는 별 변화가 없었으나 입자크기는 평균입경이 $13.9\;{\mu}m$에서 $16.0\;{\mu}m$로 증가하였다.

  • PDF

천연옥수수전분과 hydroxypropyl화 옥수수전분의 RVA특성과 필름 물성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RVA Properties and Film Physical Properties of Native Corn Starch and Hydroxypropylated Corn Starch)

  • 한윤정;김석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023-1029
    • /
    • 2002
  • 본 연구는 천연전분과 hydroxypropyl화 전분에 가소제를 0, 16, 33, 50, 66% 비율로 첨가하여 RVA점도를 측정하고 필름을 제조한 후 물성을 측정하여 두 물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행하였다. 필름의 인장강도는 가소제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감소하였고 신장율과 수증기투과도는 증가하였으며 glycerol이 sorbitol보다 큰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Hydroxypropyl화 전분이 천연전분에 비해 강도는 떨어지나 신장율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증기투과도는 2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소제를 혼합하여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sorbitol은 유연성보다는 필름의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그리고 glycerol은 필름의 신장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VA물성과 필름 물성의 관계에서 가장 연관성이 높은 것은 peak viscosity, 인장강도, 수증기투과도인 것으로 판명되었고 peak viscosity와 인장강도, peak viscosity와 수증기투과도의 관계는 각각 직선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RVA 물성 중 peak viscosity를 활용하여 필름의 인장강도, 수증기투과도를 예측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옥수수 전분의 호화 및 겔 특성 (Gelatinization Behaviours and Gel Properties of Hydroxypropylated Corn Starches)

  • 육철;백운화;박관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7-324
    • /
    • 1991
  • 옥수수 전분을 propylene oxide와 반응시켜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옥수수 전분을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DSC, Amylograph 등을 이용하여 호화특성을 조사한 결과 치환기가 증가할수록 호화온도가 낮아져 치환도가 DS 0.068 이상에서는 호화개시온도가 $59^{\circ}C$로 감자 전분의 호화온도인 $62^{\circ}C$ 보다도 낮았으며 DS $0.120{\sim}0.147$에서는 $53^{\circ}C$까지 떨어졌다. 호화시킨 전분을 $4^{\circ}C$에 저장하면서 노화속도를 측정한 결과 DS 0.120 이상에서는 $4^{\circ}C$에서 7일간 방치하여도 거의 노화가 일어나지 않아 하이드록시프로필화에 의하여 크게 억제되었다. 또한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시킨 옥수수 전분은 빛 투과도 증가 시작온도가 낮아졌으며 빛 투과도는 현저히 증가되었다. 옥수수 전분을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시켰을때 gel 형성시간은 늦어졌으며 gel 조직이 연해지고 겔 강도도 떨어졌다.

  • PDF

변성 전분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dded Modified Starch)

  • 김효숙;이승주;이승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74-483
    • /
    • 2015
  • 밀가루에 3종의 변성 전분(초산 감자 전분, 알파화 찰옥수수 전분, 히드록시프로필화 타피오카 전분)의 첨가량(3, 6, 9, 12, 15%)을 달리하여 제조하고, 이의 텍스쳐 특성과 기호도를 분석하였다. 첨가한 변성 전분 종류별 기호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알파화 찰옥수수 전분은 3% 이상 6% 이하 사용 시, 초산 감자 전분의 경우 사용량 6%까지, 히드록시프로필화 타피오카 전분은 9%까지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밀가루에 변성 전분을 첨가할 때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식빵의 firmness가 낮아지며, 변성 전분 종류 별로 일정 사용량의 범위에서 기호도가 상승되었다. 최근 식빵 텍스쳐에 대한 기호도가 기존의 일반 식빵보다 찰지고 보습성이 있는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변하고 있어 밀가루에 변성 전분을 첨가하여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텍스쳐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변성 전분 첨가 식빵이 대조군에 비해 firmness가 낮아짐으로서 변성 전분의 첨가가 식빵의 노화 지연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또한 변성 전분 첨가 시에 식빵의 텍스쳐는 향상될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지는 특성이 수반됨을 알 수 있었으나, 이들 전분류의 특성을 파악하여 제빵에 적정량을 첨가할 경우 다양한 텍스쳐의 빵 제품들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