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bridoma cell line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19초

하이브리도마 세포배양에서 암모늄 이온의 영향 및 고정화 흡착제에 의한 암모늄 이온의 동시제거 (Ammonium Ion Effects and Its In Situ Removal by Using Immobilized Adsorbent in Hybridoma Cell Culture)

  • 정연호;이해익
    • KSBB Journal
    • /
    • 제11권3호
    • /
    • pp.329-339
    • /
    • 1996
  • The effects of ammonium ion on cell growth kinetics, monoclonal antibody productivity, and cell metabolism of hybridoma cells were investigated. The mouse-mouse hybridoma cell line VlIIH-8 producing mouse IgG2a was used as a model system. Ammonium ion showed an inhibitory effect on cell growth and monoclonal antibody production. New immobilized adsorbents were developed for the reduction of the inhibitory effect of ammonium ion. The ammonium ion selective zeolite, Phillipsite-Gismondine was entrapped in calcium alginate bead or in dialysis membrane and applied to the hybridoma cell culture system for the in situ removal of ammonium ion from culture media. The effects of ammonium the both serum supplemented and serum free media on the cell growth were studied by applying immobilized adsorbents of calcium alginate bead type. The results demonstrated a substantial enhancement in cell growth. Applying immobilized adsorbents of dialysis membrane type to serum supplemented media also resulted in the stimulation of cell growth, cell viability and monoclonal antibody production.

  • PDF

Monoclonal antibody의 대량 생산을 위한 hybridoma cell의 생존능 증가에 관한 연구

  • 하성진;임선하;이종원;조무환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561-562
    • /
    • 2003
  • Monoclonal antibody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hybridoma cell의 생존능 개선을 위한 실험에서 각각의 항생제에 대해서 G418은 10ug/ml(figure 1), ciprofloxacin 은 lug/ml 또는10ug/ml 그리고 minocycline은 1ug/ml정도에서 가장 효과가 높아보였다. 다양한 산소 농도에서 실험과 각각 항생제의 monoclonal antibody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여서monoclonal antibody를 가장 경제적으로 대 량 생산할 수 있는 조건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ractionated Aged Black Garlic Extracts Enhance Growth of Anti-My-10 Hybridoma Cells and Production of IgG1 Antibody

  • Lee, Ji Young;Chung, Namhyun;Lee, Yong Kw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1호
    • /
    • pp.61-63
    • /
    • 2014
  • Aged black garlic (ABG) was extracted with 20% ethanol and water (crude extracts) and fractionated into three categories (>10, 3-10, and <3 kDa). The effect of crude extract supplements on anti-My-10 hybridoma cell growth and IgG1 antibody production was investigated in suspension culture with a chemically defined protein-free medium. We observed that supplementation of ABG to the cell culture medium stimulated anti-My-10 hybridoma cell growth and production of IgG1 antibody, particularly with fractionated ABG of low molecular weight. The stimulation depended upon the concentration and the size of the fractionated ABG. We also found that the growth-promoting activity was not correlated with high antibody produ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fractionated ABG is a novel and promising alternative as an animal cell culture supplement.

Hybridoma 배양을 위한 저혈청 배지의 개발 제2부: 혈청 대체 물질 선정을 통한 저혈청 배지 제조 (Develpment of Low-serum Medium(LSM) for Mouse-mouse Hybridoma Part II. Development of Low Serum Medium by Screening for Serum Replacement)

  • 제훈성;최차용
    • KSBB Journal
    • /
    • 제7권2호
    • /
    • pp.96-101
    • /
    • 1992
  • 저혈청 배지의 개발을 위해 혈청 대체 가능성이 있는 물질을 선정하여 각각의 필요성을 검색하였다. 검색 결과 결정된 물질들로 저혈청 배지를 제조하였으며, 기저 배지의 종류와 혼합에 따른 영향을 고찰 하였다. 개발된 배지는 1% FBS 첨가만으로 6개월 이상의 계대배양에서 만족할만한 안정성을 보였으며, 부유배양에도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개발된 배지에서 혈청은 필수적이었으나 균주의 장기적응후에 무혈청 배지의 개발이 보다 용이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하이브리도마 배양을 위한 저혈청배지의 조성 결정 (Low Serum Medium for CH07E02 Hybridoma)

  • 박상재;최차용
    • KSBB Journal
    • /
    • 제8권5호
    • /
    • pp.473-477
    • /
    • 1993
  • 하이브리도마 배양을 위해 첨가한 기존의 혈 청농도는 10% FBS였으나, 이 농도는 3%까지 줄여도 세포의 비성장속도와 최고세포농도에 차이가 없었다. 세포성장을 촉진한다고 알려진 물 질들을 1% FBS 배지에 첨가하였을 때 insulin, pyruvate, oxaloacetate, pluronic F-68 등에 의해 세포성장이 촉진되었다. 3% FBS는 2% CS로 대치할 수 있었고, 혈청의 농도는 IPOP의 첨가시 0.5 % CS에서도 active proliferation을 보였다. 최종 조성의 배지가격은 기존의 10 % FBS 배지의 1/10 정도였으며 배지조성을 cell line에 따라 달리 결정함으로써 배지의 가격은 현저히 낮출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하이브리도마 배양을 위한 lipids의 공급 (Lipids Supply for Hybridoma Culture)

  • 박상재;최차용
    • KSBB Journal
    • /
    • 제8권5호
    • /
    • pp.483-487
    • /
    • 1993
  • 기존의 무혈청 배지에 첨가하던 BSA/acid를 acid/Pluronic F-68 emulsion으로 대치하여도 세포성장에는 전혀 지장이 없었다. BSA를 제외함으로써 무혈청 배지에 첨가하는 단백질 함량을 최소하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한 세포농도 감소는 없었다. SFLSM은 0.2micron 필터로 여과 멸균하여도 SFLSM의 세포성장효과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 PDF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and Buhrer) Nickle]의 GaLectin에 대한 특이적인 단클론 항체 제작과 진단에의 활용 (Development of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to Galectin of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and Buhrer) Nickle and Their Utilization for Detection of Pine Wood Nematodes)

  • 김아영;김영하;최보혜;트랑뉴겐;윤경재;이시혁;한혜림;고영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7-13
    • /
    • 2018
  • 소나무재선충(pine wood nematode, PWN) 감염 소나무를 현장에서 신속하게 진단을 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재 없다. 본 연구에서는 PWN특이적인 항원으로 알려진 PWN-GaLectin을 baculovirus발현체계로 발현시켜서 총 1,464개의 fusion hybridoma 세포 주 라이브러리를 제작 하는 항원으로 이용하였다. 총 1,464개의 fusion hybridoma 세포 주 중, PWN-GaLectin에 대한 높은 반응을 보이는 62개의 fusion hybridoma 세포 주를 선별했다. 이들 중, 표준 PWN 감염소나무 PBS추출물과 PWN 단백질 추출물에 강한 반응을 보이는 세포 주 12개를 선별하여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Mab) 분비세포 주 확립을 위한 limited dilution을 실시하였다. Mab분비세포 주 확립을 위해서 표준 PWN 감염소나무 추출물에 대한 반응이 표준 정상 소나무 추출물 보다 높은 세포 주들을 선별했다. 그리고 추가로 PWN 단백질 추출물에 대해서 3종의 비 병원성 선충 단백질 추출물 보다 높은 반응을 보이는 세포 주들도 선별, 확립했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Mab들을 우리는 현장과 실험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속진단키트의 개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Hybridoma 세포의 세포성장, 항체생산 및 세포대사에 미치는 Glucose의 영향 (Glucose Effects on Cell Growth, Antibody Production, and Cell Metabolism of Hybridoma Cells)

  • 정연호
    • KSBB Journal
    • /
    • 제10권3호
    • /
    • pp.323-334
    • /
    • 1995
  • Hybridoma 세포의 세포 성장 속도, monoclo nal antibody의 생산성 및 세포 대사에 미치는 glucose의 영향이 조사되었다. IgG2,를 생산하는 m mouse-mouse hybridona VIII H-8 세포가 모델로 이용되었다. Glucose 농도에 따른 바성장속도의 변화는 기질저해형식 (substrate inhibition type) 의 성장모델로 나타낼 수 있었다. 초기 glucose 농도 4g/f까지는 최대 세포밀도의 증가를 보여 주었다. Glucose는 세포사망속도에 큰 영향을 나타내었고 glucose 농도와 비사망속도 간에는 반비례의 관계가 성립됨을 보였다. Glucose 농도가 증가될수록 세포의 생존율과 monoclonal an tibody의 생산이 증가되었다. Glucose 놓도가 증가될수록 glucose의 비소비속도가 증가되 었고, 초기 glucose 농도의 증가는 lactate의 총괄 비 생산속도의 증대를 가져왔다. 암모늄 이온의 총괄비 생산속도는 초기 Glucose의 농도에 의존하 였지만 암모늄 이온의 전반적인 생성속도는 초기 glucose 농도에 거 의 무관함을 보여 주었다.

  • PDF

하이브리도마의 회분식배양에서 아미노산과 비타민의 첨가에 따른 세포성장과 대사의 변화 (Influence of Amino Acid and Vitamin Addition on the Growth and Metabolism of a Hybridoma in Batch Culture)

  • 이동섭;박홍우
    • KSBB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89-294
    • /
    • 1998
  • The effects of various step-fortifications of the initial medium with amino acids, glucose, and vitamines on the growth and metabolism of a hybridoma cell line in batch cultures were quantified. Comparisons between the metabolic rates of the various cultivations were made for the exponential growth phase. Fortification of the basal medium resulted in higher cell densities through a prolonged growth phase, but the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was not affected. The uptake rate of glutamine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amino acids but did not change upon the addition of glucose or vitamines. The specific glucose consumption decreased slightly with the addition of amino acids but increased production of lactate and {{{{ { NH}`_{4 } ^{ +} }}}}. A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yields of {{{{ { NH}`_{4 } ^{+ } }}}} and lactate indicated a joint regulation of glycolysis and glutaminolysis.

  • PDF

Fusarium sp.가 생성하는 zearalenone에 대한 단크론성 항체생산 (Production of Monoclonal Antibody against Zearalenone Produced by Fusarium sp.)

  • 강성조;정덕화;강진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09-1414
    • /
    • 1998
  • Zearalenone에 특이한 단크론성 항체를 개발하기위하여 형질세포종세포인 myeloma cell $(P3{\times}63Ag.V653)$과 zearalenone-oxime-bovine serum albumin (BSA) 결합체를 항원으로 면역시킨 BALB/c female mice의 비장세포를 융합시켜 hybridoma cell을 생산하였다. 그들의 항체가를 indirect competitive ELISA법으로 측정한 결과 zearalenone에 대하여 높은 친화력을 갖는 5세포주를 얻었다. 그중 Z-2-M26 hybridoma cell line이 생산하는 단크론성항체는 특히 zearalenone과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alpha}-zearalenol$과도 약간의 교차반응을 보였으나 ${\beta}-zearalenol,\;{\alpha}-zearalenol,\;{\beta}-zearalenol$ 및 DON과는 거의 반응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개발된 항체는 앞으로 zearalenone에 대한 민감하고 정량적인 효소면역측정법의 개발을 위한 중요한 면역시약으로 사용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