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uman-machine interface

Search Result 33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발음 변이와 개선된 편집 거리를 이용한 음성 인식 후처리 (Post-Processing of Speech Recognition Using Phonological Variables and Improved Edit-distance)

  • 김예진;박영민;강상우;정상근;이청재;서정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4년도 제26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9-1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오인식된 고유명사의 후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최근 음성 인식 후처리를 위해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고유명사의 음성 인식 후처리는 대용량의 데이터 수집에 많은 비용이 필요하므로 통계적 방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발음 변이 현상을 고려하여 편집 거리 알고리즘을 개선한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유명사의 음성 오인식 교정 성능을 검증하였고, 그 결과 P@3의 결과가 비교 모델보다 55%의 성능 향상률을 보였다.

  • PDF

햅틱 변형을 이용한 반응형 디지털 문화 체험 (Responsive Digital Heritage Experience with Haptic Deformation)

  • 이범찬;박정철;김종필;이관행;류제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210-218
    • /
    • 2006
  • 본 논문은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개발하고 있는 전남지역 '운주사'의 천불천탑 설화를 근간으로 한 반응형 가상 문화 체험 시스템(Responsive Multimedia System for virtual storytelling)의 햅틱 변형 상호작용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디지털 문화재 체험 시스템은 사실적인 체험을 제공하기 위해 시각 및 청각 기술 개발에 많은 연구 및 노력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최근 인간의 인지 체계의 중요 요소인 촉감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증대 됨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가상 문화재 체험을 위한 햅틱 변형 알고리즘 및 상호작용 시스템을 개발하여 가상 불상을 만져보고 그 표면을 변형시키게 함으로써 몰입감을 증대하고 재미를 주는 시스템을 제공하였다. 아울러 체험의 몰입감 증대를 위해 본 시스템은 시/청각과 더불어 청각 효과를 가미하여 체험 시 발생되는 주변 환경의 소리(새, 물, 바람소리)를 제공하고, 기존의 문화체험 시스템과의 차별성을 위해 3 차원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체험자가 직접 가상 불상을 변형시키면서 체험자 고유의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는 상호작용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안된 햅틱 변형 상호작용 시스템은 체험자의 능동적 참여 및 흥미 유발을 통하여 문화 유산에 대한 교육적 효과 및 관심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 PDF

원격 촉감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시스템 프로토타입 (A System Prototype for Remote Haptic Communication)

  • 차종은;이준훈;류제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238-243
    • /
    • 2006
  • 최근에는 통신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원격의 사람과 전화, 이메일, 메신저 또는 화상회의 시스템 등을 통해서 쉽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이 시스템들은 주로 음성, 그림, 동영상 또는 문자 기반의 시청각 정보를 서로 주고 받으며 자신의 의사 및 감정을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그러나 일상 생활에서 시청각 정보 외에 촉감 정보도 서로 의사소통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악수, 포옹 등의 촉감 상호작용은 사람 사이에서 친근감을 표시하는데 가장 직접적인 방법으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거나 느낌을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촉감 상호작용을 가능케 하는 의사소통 시스템의 연구는 아직 폭넓게 진행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일상에서와 같이 원격에서도 상대를 바라 볼 수 있고 자연스럽게 접촉할 수 있는 원격 촉감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로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대의 몸 특정 부위를 만질 수 있고 서로 그 촉감을 실시간으로 느낄 수 있다. 이 시스템은 크게 AR 시스템, 그래픽 시스템, 햅틱 시스템, 택타일 시스템의 부시스템들로 나눌 수 있다. AR 시스템에서는 몸의 한 부위에 사각형의 AR 마커를 부착한 원격 사용자를 웹카메라로 촬영하고 ARToolKit 을 사용하여 마커의 위치를 측정한다. AR 마커의 바로 밑에는 택타일 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부위를 통하여 원격의 사용자는 로컬사용자가 자신의 팔을 만지는 느낌을 받게된다. 그래픽 시스템은 로컬사용자에게 촬영된 원격 사용자와 측정된 마커의 위치가 대표하는 원격 사용자의 가상 피부, 그리고 자신의 가상 손가락을 보여준다. 햅틱 시스템에서는 촉감 장치를 사용하여 로컬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를 구하여 원격 사용자의 가상 피부와 접촉했을 때 그 충돌을 감지하고 접촉력을 계산하여 촉감 장치에 반영함으로써 그 접촉력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택타일 시스템에서는 원격 사용자의 AR 마커 밑에 장착된 배열 타입의 진동 촉감 장치에 접촉 정보를 주어 로컬 사용자와 접촉 했을 때 접촉 부위에 진동을 줌으로써 촉감을 느끼도록 한다.

  • PDF

개량형 정보표시 화면설계 지침의 일원화 방법론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an Integration Methodology for Design Guideline of Advanced Information Display)

  • 정성해;차우창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24
    • /
    • 2004
  • Human error has brought about accidents more than 50% in system of a large size and complicated expecially in nuclear power plants(NPPs). The technology of Man Machine Interface(MMI) has been changed to the digitalized controls employing computer-based technology. According to this trend. the human factors guidelines are becoming main issue for reliable supports to digitalized information displays. However. the existing human factors guidelines is not enough for advanced information display on NPP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reliable design and evaluation guidelines for advanced information display in main control room (MCR) of NPPs. In this study. the various general human factors guidelines concerning information display on CRT are integrated on data base management system. unified based on the integration rules. and applied in computer based procedures. The use of the integrated guidelines are expected to evaluate the existing information display on MCR in NPPs from the human factors point of view.

자동차 항법장치의 인간공학 평가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Human Factors Evaluation System for Car Navigation System)

  • 차두원;박범
    • 산업공학
    • /
    • 제12권2호
    • /
    • pp.294-304
    • /
    • 1999
  • This paper describ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detailed structure of Navi-HEGS (Navigation system Human factors Evaluation and Guideline System) which has been developed for the human factors and HMI(Human-Machine Interface) researches for a CNS (Car Navigation System) and a digital map. Navi-HEGS is and integrated system that consists of a digital map UIMS(User Interface Management System), a CNS simulator, various evaluation tools, and a design guideline system. If Navi-HEGS is properly applied and utilized,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substantial users requirements and preferences of a CNS and a digital map and then, these requirements can be simulated and evaluated with various human factors evaluation techniques. Applications of Navi-HEGS can improve the CNS usability, drivers safety and performance that directly affect the success of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Also,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establish the standards and design guidelines for the driver-centered CNS design.

  • PDF

루미노 햅틱 디바이스의 색상 사용성 연구 (A Study on the Color Usability of Lumino Haptic Device)

  • 이상진;김병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1-26
    • /
    • 2012
  • 햅틱 장치는 기존 장치대비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며 직관적 조작이 가능한 인간-기계 교류 장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햅틱 장치의 색상을 독립적인 설계 변수로 고려한 설계 인자의 운전자 반응을 정의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촉각 피드백을 이용한 햅틱 장치의 인지능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기존의 차량용햅틱 장치에 색상 피드백을 더한 루미노 햅틱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감성 분석을 통하여 운전자가 갖는 햅틱 디바이스에 대한 감성분석을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운전자를 만족시키는 설계 방향의 제안이 가능하였다.

Interactive Adaptation of Fuzzy Neural Networks in Voice-Controlled Systems

  • Pulasinghe, Koliya;Watanabe, Keigo;Izumi, Kiyotaka;Kiguchi, Kazu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2년도 ICCAS
    • /
    • pp.42.3-42
    • /
    • 2002
  • Fuzzy Neural Network (FNN) is a compulsory element in a voice-controlled machine due to its inherent capability of interpreting imprecise natural language commands. To control such a machine, user's perception of imprecise words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words' meaning is highly subjective. This paper presents a voice based controller centered on an adaptable FNN to capture the user's perception of imprecise words. Conversational interface of the machine facilitates the learning through interaction. The system consists of a dialog manager (DM), the conversational interface, a Knowledge base, which absorbs user's perception and acts as a replica of human understanding of imprecise words,...

  • PDF

원격 조종 작업에서 3가지 시각 궤환 조건하의 작업 수행도 (Task performance under three visual feedback conditions in a teleoperation task)

  • 윤완진;김진;조암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12
    • /
    • 1995
  •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ree visual feedback conditions (direct viewing, one-monitor viewing, and tow-monitors viewing) on the task performance of human operator in teloperation task. The three different level of task difficulties under each concitions were performed by thirty-six subject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s was analysed by the task difficulties, and the measurements of performance are the task completion time and the frequency of task errors. In a teleoperator, the participation of a human operator is always required, and the man-machine interface and the operator's abilities is an important issue. Recently, the different types of sensory feedback conditions(force, vision, sound, tactile, etc) for teleoperation is a very active research area in ergonomics. Among them, visual feedback conditon is an important sense that can provide the information of task environment. Therefore, the sufficient understandings and investigation for human ability under various visual feedback conditions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efficient man-machine interface of teleoper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visual feecback conditions and the level of task difficul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ask performance. For three level of task difficulties, the task completion time was the shortest under the condition of direct viewing. The number of task errors under the conditions of direct viewing and two-monitors viewing were reduced by more than half compare to that of one-monitor viewing.

  • PDF

Support Vector Machines을 이용한 시선 방향 추정방법 (Gaze Direction Estimation Method Using Support Vector Machines (SVMs))

  • 유정;우경행;최원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79-384
    • /
    • 2009
  • A human gaze detection and tracing method is importantly required for HMI(Human-Machine-Interface) like a Human-Serving robot. This paper proposed a novel three-dimension (3D) human gaze estimation method by using a face recognition, an orientation estimation and SVMs (Support Vector Machines). 2,400 images with the pan orientation range of $-90^{\circ}{\sim}90^{\circ}$ and tilt range of $-40^{\circ}{\sim}70^{\circ}$ with intervals unit of $10^{\circ}$ were used. A stereo camera was used to obtain the global coordinate of the center point between eyes and Gabor filter banks of horizontal and vertical orientation with 4 scales were used to extract the facial features. The experiment result shows that the error rate of proposed method is much improved than Liddell's.

컬러 시각을 이용한 사람 손의 검출 (Human Hand Detection Using Color Vision)

  • 김준엽;도용태
    • 센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8-33
    • /
    • 2012
  • The visual sensing of human hands plays an important part in many man-machine interaction/interface systems. Most existing visionbased hand detection techniques depend on the color cues of human skin. The RGB color image from a vision sensor is often transformed to another color space as a preprocessing of hand detection because the color space transformation is assumed to increase the detection accuracy. However, the actual effect of color space transformation has not been well investigated in literature. This paper discusses 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pixel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hand skin detection in four widely used color spaces; RGB, YIQ, HSV, and normalized rgb.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using the normalized red-green color values is the most reliable under different backgrounds, lighting conditions, individuals, and hand postures. The nonlinear classification of pixel colors by the use of a multilayer neural network is also proposed to improve the detection accu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