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water soluble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초

쌀의 열수 가용성 물질과 밥의 텍스처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Hot Water Solubles of Rice and Texture of Cooked Rice)

  • 김관;강길진;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98-502
    • /
    • 1991
  • 일반계와 통일계 쌀의 가열에 따른 가용성 물질과 밥의 텍스처와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가열에 의한 쌀 또는 쌀가루의 가용성 물질 또는 가용성 아밀로오스 함량은 일반계는 품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통일계는 품종간에 차이를 보였다. 같은 가열조건에서 일반계는 통일계 보다 가용성 물질의 함량이 높았고 가용성 아밀로오스함량도 높았다. 쌀 또는 쌀가루의 가용성 물질과 아밀로오스 함량은 밥의 경도와는 부의 상관을, 부착성과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 PDF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판상엽 화학성분 평가 (Evaluation of Chemical Composition in Reconstituted Tobacco Leaf using Near Infrared Spectroscopy)

  • 한영림;한정호;이호근;제병권;강광원;이기열;어성제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6
    • /
    • 2013
  • Near InfraRed Spectroscopy(NIRS) is a quick and accurate analytical method to measure multiple components in tobacco manufacturing proces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calibration equation of near infrared spectroscopy for the prediction of the amount of chemical components and hot water solubles(HWS) of reconstituted tobacco leaf. Calibration samples of reconstituted tobacco leaf were collected from every lot produced during one year. The calibration equation was formulated as modified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 method (MPLS) by analyzing laboratory actual values and mathematically pre-treated spectra. The accuracy of the acquired equation was confirmed with the standard error of prediction(SEP) of chemical components in reconstituted tobacco leaf samples, indicated as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and prediction error of sample unacquainted, followed by the verification of model equation of laboratory actual values and these predicted results.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standard error of prediction(SEP) were 0.25 % for total sugar, 0.03 % for nicotine, 0.03 % for chlorine, 0.16 % for nitrate, and 0.38 % for hot water soluble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were 0.98 for total sugar, 0.97 for nicotine, 0.96 for chlorine, 0.98 for nitrate and 0.92 for hot water solubles. Therefore, the NIRS calibration equation can be applicable and reliable for determination of chemical components of reconstituted tobacco leaf, and NIRS analytical method could be used as a rapid and accurate quality control method.

찰흑미와 일반찰벼의 열수가용성 물질 (Hot-water soluble on Waxy Black Rice and Waxy Rice Flours)

  • 오금순;김관;최경철;나환식;강길진;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43-345
    • /
    • 2002
  • 가용성 탄수화물 함량은 찰흑미와 일반찰벼 쌀가루를 $90^{\circ}C$에서 10분, 20분 및 30분 동안 열처리한 결과 찰흑미는 17.1%, 21.5%, 24.7%이였으며, 일반찰벼는 18.6%, 21.7%, 23.4%의 함량을 보여 두 시료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찰흑미와 일반찰벼 모두 가용성 탄수화물 함량의 대수값은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다. 쌀가루를 가열온도($80^{\circ}C,\;90^{\circ}C,\;95^{\circ}C$$98^{\circ}C$)에 따라 일정 시간(10분, 20분 및 30분) 가열하여 얻은 가용성 탄수화물의 Sepharose CL-2B 컬럼에 의한 용출양상은 찰흑미와 일반찰벼 모두 void volume($V_0$) 부근에서 대부분 용출되었으며,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가열온도가 높아질수록 가용성 탄수화물의 용출양상은 증가하였다. 또한 $180{\sim}210\;mL$ 부근에서도 일부가 용출되었다.

취반중 쌀의 수분 흡수 및 열수 가용성화 특성 (Hydration and Hot-water Solublilization of Milled Rice During Cooking)

  • 강길진;노일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02-508
    • /
    • 1998
  • 우리나라 쌀로서 계통이 다른 일반계와 통일계 쌀의 취반 및 가공 적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취반 중 백미의 수분 흡수 특성과 열수 가용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100^{\circ}C$에서 취반 중 백미의 수분 흡수 속도는 일반계가 $0.43{\sim}0.47m^{-1/2}$이고 통일계가 $0.49{\sim}0.53m^{-1/2}$로서 일반계가 통일계보다 더 느린 속도로 일어났다. 쌀의 취반에 따른 열수 가용화 특성은 가용성 물질 뿐만 아니라 가용성 아밀로오스 모두 통일계 쌀이 일반계 쌀보다 더 빠른 속도로 가용화가 일어났다. 가용성 물질에 대한 가용성 아밀로오스의 비율은 취반 30분 후에 일반계 쌀이 $51{\sim}55%$, 통일계 쌀이 $44{\sim}48%$로서 일반계 쌀이 다소 높았으며, 30분 이전까지는 그 비율이 점차 감소하였으나 30분 이후에는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취반 중 백미의 수분 흡수 및 열수 가용화 특성은 취반 및 가공 적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판상엽 펄퍼 운전 조건에 따른 펄핑특성 변화 (Effects of Pulping Conditions in the Reconstituted Tobacco Sheet Making Process on the Properties of the Pulp Slurry)

  • 성용주;한영림;김근수;이문수;하인호;이기열;이영애;김유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7-123
    • /
    • 2006
  • The pulping process in a papermaking process for a reconstituted tobacco sheet (RECON) was evaluated. For the practical information,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real mill. Two pulping conditions were chosen and changed depending on the feasibility, such as the pulping temperature and the properties of pulping water. The higher pulping temperature resulted in the easier dissolution of solubles from the raw materials. However, the efficiency of screw press process was decreased by the higher pulping temperature, which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the HWS and the concentration in the #1 screw press filtrate. The addition of SEL(Strong extracted liquor) to pulper affected the efficiency of dissolution and the final concentration of #1 screw press filtrate. Although the higher SEL resulted in the less dissolution of the solubles from the raw materials, the concentration of the #1 screw press filtrate was greatly increased by the higher addition of SEL, which could provide much better efficiency to the following evaporation process of the filtrate and could increase the whole productivity.

전자빔으로 처리한 폐면의 버섯배지효과 (Utilization of Electron Beam-Radiated Cotton Waste for Agaric Mushroom Cultivation Bed)

  • 손효정;정선영;이종신;서영범
    • 펄프종이기술
    • /
    • 제41권3호
    • /
    • pp.71-75
    • /
    • 2009
  • Cotton waste is usually used for cultivating agaric mushroom after outdoor fermentation for a few months. Electron beam was used to break down the polymer chaims of cotton waste for increasing low molecular weight soluble sugars, which may enhance the agaric mushroom cultivation. By increasing electron beam radiation, alpha cellulose content of the cotton waste was decreased while beta cellulose content and hot water solubles were increased. Electron beam radiation over 240 kGy on cotton waste caused significant increase of mushroom yield without lowering mushroom quality.

Biomass 자원의 활용 (I) - 율추의 유효이용을 위한 화학적 조성분의 HPLC 분석 - (Utilization of Biomass Resources(I) - HPLC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for Utilization of Chestnut Inner Bark -)

  • 김윤근;조종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58-64
    • /
    • 2004
  • 임산바이오매스 자원 이용의 일환으로 율추(栗皺) 열수추출물의 디에틸에테르 가용부의 HPLC 분석결과, 표준물질과의 retention time이 일치한 것을 RI detector로 얻어진 각 피크의 스펙트럼을 표준물질과 비교하고, 순도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피크의 동정을 실시하였다. 피크의 동정 결과, phenolic acids와 aldehyde류로는 gallic acid, 3,5-dihydroxybenzoic acid, 2,4,6-trihydroxybenzoic acid, 그리고 protocatechualdehyde이었으며, flavonoids는 catechin과 epicatechin으로 모두 6종이 확인되었다.

천파석(穿破石)이 콜라겐유도 생쥐관절염에 미치는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Cudraniae Tricuspidatae Radix on Collagen-induced Arthritis in Mice)

  • 조영두;한효상;이영종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37-143
    • /
    • 2010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Cudraniae Tricuspidatae Radix(CTR), which is the radix part of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on cytokine secretion from the joint cells and spleen cells of mice with arthritis induced by collagen and verify its efficacy against rheumatoid arthritis. Methods : Three kinds of extract were prepared from CTR through extraction with hot-water and ethanol. The levels of cytokine secreted from the cells were measured, after the mice knee joint cells were cultured with each extract. Results : The three kinds of extracts from CTR decreased the growth rate and levels of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1{\beta}$, IL-6, and TNF-${\alpha}$ from knee joint cells of mice. All of the organic-soluble fraction, such as hexane, ethyl ether, ethyl acetate, butanol, and residual water-soluble fraction decreased the levels of IL-$1{\beta}$, TNF-${\alpha}$, IL-6, and IL-10.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TR had some effects on rheumatitis, with fat and water-solubles in organic solvent considered as the effective element.

Biomass 자원의 활용(II) 율추로부터 폴리페놀 성분의 분석과 항산화활성 (Utilization of Biomass Resources(II) Analysis of Polypheno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from Chestnut Inner Bark)

  • 조종수;김윤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6호통권134호
    • /
    • pp.71-78
    • /
    • 2005
  • 임산바이오매스 자원 이용의 일환으로 율추(栗皺) 열수추출물의 디에틸에테르 가용부 및 초산에틸 가용부로부터 칼럼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이용하여 3종의 물질을 단리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한 결과, 3,5-dihydroxybenzoic acid, 3,4,5-trihydroxybenzoic acid 그리고 (+)-catechin을 확인하였다. 이들 단리화합물의 항산화활성을 DPPH 라디칼 전자공여능(EDA)으로 측정한 결과, 10 ppm에서 화합물 3,4,5-trihydroxybenzoic acid (gallic acid)와 (+)-catechin은 대조구인 ascorbic acid와 $\alpha$-tocopherol 보다 높게 나타났고, 특히 화합물 gallic acid는 ascorbic acid보다 약 21배, $\alpha$-tocopherol보다 약 6배 높게 나타났으며 화합물 catechin보다 약 2.7배 높게 나타났다.

김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or Alcohol Soluble Extracts from Laver, Porphyra yezoensis)

  • 홍상필;구재근;조길석;김동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16
    • /
    • 1997
  • 김의 유용성분을 식품가공에 응용키 위한 기초적 연 구로 건조김과 배소김을 에탄을 농도를 달리 하여 추출하고 추출물의 수율, 단백질, 다당, 핵산, 타우린, 클로로필 및 카로티노이드의 함량, 갈색도 및 주요 추출처리구의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단백질, 다당질 및 핵산 성분은 에탄을 농도가 낮을수록 높은 추출성을 보였으나 단백질의 경우 건조김이, 다당 및 핵산의 경우에는 배소김이 상대적으로 3배 이상 높은 추출성을 보였다 타우린은 건조김이나 배소김에 관계없이 0~70%에탄을 범위에서 1,000mg%이상의 높은 추출성 을 보였다. 카로티노이드의 경우는 95% 에탄을 농도에서 건조김 146.6mg%, 배소김 138.4mg%로서 최대를 보였으나 이 수준은 메탄올/아세톤을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경우의 66~80% 수준이었다. 유리 당과 아미노산 의 반응을 반영하는 갈변도는 배소김을 대상으로 한 경 우 50~60% 에탄을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추출수율은 물만을 용매로 한 경우가 26.3~27.5%로 최대를 보였다. 한편 주요추출물의 관능특성을 조사한 결과, 배소김의 추출물이 맛과 향 등 관능적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어 배소김을 대상으로 한 물/에탄을 추출물이 각종 식품소재로서 응용가치가 클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