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air drying

검색결과 431건 처리시간 0.027초

페인트 도장공사의 색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controlled of painter's work)

  • 심명섭;이현정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07-114
    • /
    • 2003
  • This study aims to find methods that prevents aging of buildings paint coating and that limits defects in construction. Defects in painting can occur in four stages: pure paint, during painting, after the paint coating has dried, and after some period of time has passed after coating. Paint may become bad due to precipitation of pigments, formation of membranes, and seeding during manufactur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paint is well mixed and kept airtight at a cool, dark place. Indents, paint brush strokes, orange peel, separation of colors, and paint running and spreading during the paint work process can be prevented by using high quality materials and applying a high-level of construction method. After the paint coating has dried, boiling, yellowing, poor drying, poor bonding, and/or glen deficiency may occur. These are influenced by the levels of cleanness of the dried product, drying temperature and hydration. Then, when the coating has been left dried for some period of time, cracking, peeling, scaling, swelling, discoloring, and/or rusting may develop due to the ultraviolet and contaminants in the air. Since these defects occur due to inappropriate construction schedule and/or hot and humid condition, one must use weatherproof materials. Furthermore, poor paint color may be caused by contamination in the sample plate, discoloration, and/or discrepancies in colors which are due to material differences, level of glossiness, degree of dispersion, dual color property of metallic colors, precipitation of pigments, etc. One should achieve reduction in construction cost and effectiveness in paint work by limiting contaminations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strictly observing to construction regulations.

수확 후 광 노출이 삼백초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Qualities of Italic as the Degree of Sunlight Exposure after Harvest)

  • 김인재;김민자;윤태;박성규;이우영;홍성수;황방연;남상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05-511
    • /
    • 2005
  • 삼백초 수확 후 광 노출정도에 따른 선도유지 및 유효성분 함량 변화를 구명하여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 건물율은 잎, 줄기, 꽃 모두 광노출 시간이 길수록 높았으며, 색도중 명도는 광노출시간이 짧을수록 높았으나, 적색도는 상반된 경향이었다. 황색도와 채도는 건조전에는 광노출 2시간시에, 건조후에는 광노출시간이 짧을수록 높았으나, 경엽 탕전시에는 상반된 경향이었고, 광노출 시간이 짧을수록 rutin, quercitri 의 함량과 떫은 맛이 많았고, 품질 선호도와 경엽 탕전 시 기호도도 우수하였다.

난황을 이용한 조미제품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Seasoned Product Containing Egg Yolk.)

  • 이성기;유익종;김영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5-51
    • /
    • 1988
  • 조미제품용으로 난황 이용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해 난황 첨가수준별 제품의 품질 및 건조특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난황 0 ,10 ,20 ,40%를 고기풀 (연육)과 향신료에 각각 섞어 갈은 다음 $90^{\circ}C$에서 1시간동안 가열하여 gel 화시키고 이어서 $55^{\circ}C$에서 5시간 동안 열풍 건조시켰다. 건조전 조미제품의 조직은 난황 10% 처리구에서 전단력 898g, 경도 415g으로 타처리구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난황첨가량이 많은 조미제품일수록 건조가 지연되었고 수분 활성도도 서서히 감소되었다. 건조 완료된 조미제품(에그저키)의 수분, 지방, 콜레스테롤 함량은 난황 첨가에 따라 증가했으나 단백질함량은 감소하였다. Phenylalanine, leucine, isoleucine을 제외한 대부분의 아미노산은 난황 첨가량에 따라 감소하였다. 각 아미노산중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순으로 다량 함유되었고 proline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이화학 및 관능시험에 의하면 조미제품에 이용될 수 있는 최적 난황 첨가량은 20% 수준이었다.

  • PDF

한국산 고추의 품종 및 재배지역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Attributes of Korean Red Pepper According to Cultivars and Growing Areas)

  • 신현희;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96-300
    • /
    • 1991
  • 품종과 재배 지역을 달리한 한국산 고추(Capsicum annuum L.)에서 매운 맛 성분, 붉은 색, 크기, 무게가 어떠한 가를 규명하였다. 품종에 따른 건고추의 길이는 $7.0{\sim}9.4\;cm$, 자실체의 무게는 $1.22{\sim}3.09g$, capsaicin 함량은 $11.5{\sim}45.0\;mg%$, dihydrocapsaicin 함량은 $8.5{\sim}35.1\;mg%$, 붉은 색은 $6,270{\sim}7,920$ conventional color unit으로 나타났다. 매운 맛 성분과 붉은 색은 7개 품종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나 두 성분간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추 3개 품종의 매운 맛 성분과 붉은 색은 5개 지역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태양건조와 열풍건조를 시킨 경우 매운 맛 성분의 함량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붉은 색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벼메뚜기의 항산화 효과와 항균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grasshopper, Oxya chinensis sinuosa)

  • 김현진;강성주;김선곤;김정은;구희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30-13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벼메뚜기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벼메뚜기의 성충을 실험재료로 하여 항산화 활성, 항균활성, 항균 물질의 열 안정성, pH 안정성, total polyphenol 함량 등을 측정하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항균력은 E. coli 균주의 경우 ethanol 혼합용매에서 가장 높은 항균력을 보였다. 항균 활성은 열풍건조 $40^{\circ}C$와 동결건조 조건에서 가장 높았으며 암수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항균 물질은 열과 pH에 안정하였다. 벼메뚜기의 항산화 활성은 50% ethanol 추출물과 70% ethanol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이 나타났고 total polyphenol은 12 ~ 17 mg/100 g으로 건조조건이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건조방법에 따른 검은비늘버섯의 향기특성 (Aroma Characteristics of Pholiota adiposa (Geumbongi) with Different Drying Methods)

  • 윤향식;오은희;주선종;김기식;정은경;장후봉;김숙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53-557
    • /
    • 2004
  • 검은비늘버섯(Pholiota adiposa)의 향기성분을 조사하기 위해 생버섯을 SDE로 추출하여 농축한 후 GC/MS로 정성하였다. GC/MS로 정성된 화합물은 총 41종이었으며 관능기별로 보면 알콜류 11개(8.23%), 알데하이드류 8개(32.70%), 에스테르류 4개(5.69%), 케톤류 4개(5.42%), 알칸류 9개(17.91%), 기타 5개(11.64%)화합물로 구성되었다. 함량이 높은 화합물로는 hexanal(8.55%), n-heptaldehyde(13.02%), 2-pentyl furan(4.82%), bonzeneacetaldehyde(3.34%), (E,Z)-2,4-decadienal(3.06%)과 hexacosane(5.04%)이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향기성분은 SPME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하였으며 열풍건조시 건조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2-phenylethanol, benzeneacetaldehyde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70^{\circ}C$에서는 2(5H)-furanone(0.16%), 2H-1-benzopyran-2-one(7.63%), 2-acetylpyrrole(5.49%), 4-phenyl-pyridine(5.61%)이 높게 나타났다.

쌀가루의 건조방법에 따른 Bacillus cereus와 Enterobacter sakazakii 생육 억제 특성 (Effect of Drying Methods of Rice Flour on Growth Properties of Bacillus cereus and Enterobacter sakazakii)

  • 최봉규;박신영;하상도;금준석;이현유;박종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95-298
    • /
    • 2007
  • 본 연구는 쌀가루의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병원성 미생물 생육특성을 조사하고 안전성과 유효성을 고려한 상업적 열풍 및 마이크로파 처리방법을 사용하여 쌀가루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저장성 및 품질유지를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마이크로파 처리(700 watt/30 sec, MT)와 열풍 처리($65^{\circ}C$/15 min, HT) 후 쌀가루의 처리전과 대비한 색차변화값(${\Delta}E$)은 각각 0.15와 0.27로 측정되어 마이크로파 건조가 열풍 건조보다 색깔의 변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B. cereus와 E. sakazakii의 살균력은 MT 처리 후 각각 0.54 log CFU/g, 1.45 log CFU/g으로 감소하여 HT 처리 보다 살균효과가 강하였다. 대조구(NT) 쌀가루의 B. cereus는 4, 10, $20^{\circ}C$ 모든 온도에서 빠른 성장을 보였으나, MT 처리시 성장이 최소화 되었다. E. sakazakii는 4, 10, $20^{\circ}C$ 모든 온도에서 그리고 HT, MT 모든 처리구에서 성장하지 못하였는데, MT 처리시 생존균수가 가장 적었다. 결론적으로 쌀가루의 품질면에서나 미생물학적 안전성 측면에서 마이크로파 처리는 열풍건조 처리를 대체할 수 있는 건조방법으로 평가되었다.

반사 및 분산 기능을 가진 원적외선-진공 건조에 의한 건조복원식품의 품질변화 (The Effect of Far Infrared Ray-Vacuum Drying Having Reflection and Dispersion Functions on the Quality Changes of Dried-Rehydrated Food)

  • 이진원;성기석;박장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38-545
    • /
    • 2012
  • 가공식품 제조 시 건더기 스프 및 조미 식품에 사용되고 채소류를 건조기 내부 반사 분산 기능을 가진 원적외선-진공 건조기와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할 경우, 건조 조건에 따른 갈변도, 색도, 산도 및 pH 변화와 같은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수화복원성 및 전자현미경 관찰과 같은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총균수 측정에 따른 미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건조 채소류들의 품질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채소 원재료의 품질 저하 요소인 색의 변화 및 갈변도의 경우 RD-FRVD를 이용한 경우, HAD를 이용한 경우보다 색 및 갈변 현상이 적게 나타났다. 특히, 숙주의 경우에는 건조 전 상태와 갈변 정도가 크게 다르지 않게 나타났다. 산도 및 pH 측정 결과는 채소류의 수분함량 및 건조방법에 따라서 건조 전 상태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큰 유의차는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저장성을 위한 미생물 사멸 효과 역시 RD-FRVD를 이용하여 건조한 경우 총균수 사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초로 더 많은 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원재료 채소 건조 시 품질저하 현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건조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며, 미생물에 대한 저장 안전성 및 영양성분 손실 최소화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경제성 있는 건조방법이 건조 채소식품 이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현 식품 업체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오픈 소스 기반의 아두이노를 이용한 건조기 내 유기 시료의 실시간 수분측정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l-Time Monitoring for Moisture Measurement of Organic Samples inside a Drying Oven using Arduino Based on Open-Source)

  • 김정훈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2호
    • /
    • pp.85-99
    • /
    • 2022
  • 시판되고 있는 실험용 및 산업용 건조기는 일반 드라이오븐, 열풍 순환 건조기, 진공건조기, 동결건조기 등으로 구분되고 기능, 크기 및 용량 등에 따라 그 종류도 다양하다. 그러나 제품의 품질 제어 및 성능 개선을 위해 중요한 요소인 수분측정이 적용되지 않아 현재는 건조 종료 후 임의로 중량을 칭량하기 때문에 매우 수동적이다. 일반적으로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직접적인 측정법과 간접적인 측정법으로 구분되고 수분 분리 전.후의 질량 또는 부피 변화와 같은 직접적인 측정법이 주로 이용된다. 상대적으로 열전도도, 마이크로파 등과 같은 간접적인 측정법은 측정 장비를 활용하기 때문에 적용이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픈소스 기반의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비교적 손쉽게 수분측정 시스템을 설계하여 외부 환경요인에 영향 받지 않고 수분 변화량 및 무게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였다. 구체적으로 수분 민감도 물질 및 식품 건조에 적합한 60℃와 80℃에서 작동할 수 있는 온.습도 및 로드셀 측정 센서를 건조기 내부에 패키징하여 각종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바나나, 배, 톱밥의 유기 시료를 이용한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서도 건조시간 및 온도에 따른 증발율 변화와 로드셀 측정값에 있어 안정적인 응답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성능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향후 온.습도 범위의 확대와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프로그램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열처리 방법에 따른 가공 인삼 열수추출물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t water extracts of processed ginseng based on different heat treatments)

  • 강윤한;저우뤠이;김효진;김지은;신일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5-163
    • /
    • 2018
  • 본 연구는 고온 고압의 autoclaving 조건에서 2시간 내외로 증삼한 인삼과 그 용출액으로 2단계 열풍건조법으로 제조한 홍삼을 분말로 하여 그 열수추출물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즉 시료로 사용한 홍삼의 제조는 고온 고압으로 증삼한 용출액을 건조시 증삼 표면에 바르고 건조하여 외형이 흑삼 모양으로 변하였다. 홍삼 분말로부터 열수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당, 산성다당체, 조사포닌 등의 함량을 분석하고, 색차계와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미 성분을 측정하였다. Autoclave를 이용한 홍삼 열수추출물(ARG)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9.06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3.38 mg NE/g, 총당 35.22 g/100 g, 산성다당체 10.90 g/100 g, 조사포닌 10.22 g/100 g으로 나타났다. 본 홍삼제조법에 의해 얻어진 홍삼을 이용한 열수추출물은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조사포닌 등의 최종 함량이 다른 홍삼 제조법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고온 고압으로 단시간에 얻은 증삼액인 용출액은 진세노사이드 조성이 다양하였다. Rb1을 포함한 인삼의 주요 진세노사이드 총 함량은 ARG에서 가장 낮은 10.69 mg/g으로 나타났으며 가공 조건이 홍삼 특유의 진세노사이드로의 전환에 영향을 주었다. Autoclave로 얻어진 홍삼 및 용출액은 홍삼성분의 저분자량으로의 변환을 통해 색의 강화 등 향미성분이 개선되어 식품 뿐만 아니라 비식품의 소재 및 제품을 위한 수요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