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air drying

검색결과 431건 처리시간 0.026초

분자압축탈수 방법과 탈수액을 이용한 건조생강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Ginger Dried using a Molecular Press Dehydration Method or Employing a Dehydration Liquid)

  • 이현석;김병삼;차환수;권기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78-486
    • /
    • 2010
  • 최적화된 분자압축 탈수건조 생강에 열풍건조, 동결건조, 재사용 탈수액을 사용한 탈수건조 생강을 비교하여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품질평가항목은 일반성분, 색도, 수분흡수지수(WAI) 및 수분용해지수(WSI), 총당, 환원당, DPPH 항산화활성 측정, gingerol 함량 측정을 통하여 생강의 품질을 비교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생강이 열풍건조 및 동결 건조한 생강보다는 낮았지만 이는 탈수액으로 성분이 용출되는 공정의 특성의 차이로 나타나는 현상이였다. 색도에서는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생강이 다른 건조조건의 생강보다 원물의 상태의 색을 유지하였다. 수분흡수지수(WAI) 및 수분용해지수(WSI)에서는 열풍 건조된 시료가 수분흡수지수가 가장 높았고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시료는 표면수분을 적용한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에 비교하여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하여 판단할 때 분자압축 탈수공정을 적용한 생강이 수분흡수지수(WAI)와 수분용해지수(WSI)에서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총당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생강이 비교적 높았다. 환원당은 열풍 건조한 생강시료가 비교적 높았으며 이는 갈변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DPPH를 통한 항산화활성 측정에서 BHA, BHT 보다 낮았지만 다른 건조방법 보다는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생강이 항산화활성이 높았다. Gingerol 함량 측정은 건조방법에 따라한 건조한 분말을 측정하였으며 동결건조가 가장 우수하였다. 하지만 분자압축 탈수건조한 생강의 경우 다른 건조방법 보다는 낮았지만 탈수액에 형성되는 gingerol이 발생하기 때문에 활용가치와 기능성면에서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이 처럼 모든 품질평가 항목의 결과를 통하여 분자압축 탈수건조가 이전에 열풍건조와 동결건조보다 품질이 우수하고 시설과 가격에서 경쟁적으로 우수하며 활용가치와 기존의 건조방법의 단점을 보완해 주는 건조방법으로 판단이 되어진다.

건조방법에 따른 삼채의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비교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Allium hookeri by hot air-and freeze-drying methods)

  • 이주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7-62
    • /
    • 2016
  • 본 연구는 삼채의 잎과 뿌리를 이용하여 열풍건조와 동결건조법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건조방법에 따른 삼채 잎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조회분, 조단백, 탄수화물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열풍건조 삼채 잎의 수분 함량과 조지방 함량은 동결건조 삼채 잎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열풍건조 삼채 뿌리의 수분, 조회분, 조단백, 탄수화물 함량은 동결건조 삼채 뿌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조지방 함량만이 동결건조 삼채 뿌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삼채 잎과 뿌리에서의 유기산 함량을 비교한 결과, 열풍건조 삼채의 뿌리는 동결건조 삼채 뿌리에 비해 oxal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lactic acid, formic acid, acetic acid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열풍건조 삼채의 잎은 tartaric acid를 제외한 모든 유기산 항목에서 동결건조 삼채의 잎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삼채 잎과 뿌리의 주요 무기질은 Ca, K, Mg이며, 이들은 열풍건조 삼채 잎에 비해 동결건조 삼채 잎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비타민 C의 함량은 동결건조 삼채의 잎과 뿌리에 비해 열풍건조 삼채의 잎과 뿌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비타민 E는 열풍건조 삼채 잎에 비해 동결건조 삼채 잎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뿌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polyphenol 함량은 동결건조 삼채의 잎이 열풍건조 삼채의 잎에 비하여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총 flavonoid 함량은 동결건조 삼채의 잎이 열풍건조 삼채의 잎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삼채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삼채 잎과 뿌리에서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삼채 뿌리보다 삼채 잎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이 더 뛰어남을 보였다.

동결 및 열풍건조 아로니아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n Freeze-dried and Hot Air-dried Aronia (Aronia melanocarpa) Extracts)

  • 박미혜;김범식
    • 산업식품공학
    • /
    • 제22권4호
    • /
    • pp.315-32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열풍건조와 동결건조 2가지 방법으로 건조된 아로니아의 항산화 기능과 항염증 활성을 비교함으로써 아로니아의 최적 가공법과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동결건조는 $-18^{\circ}C$의 냉동고에서 8시간 냉동시킨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55^{\circ}C$에서 48시간 동안 실시하였고, 열풍건조는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50^{\circ}C$에서 48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아로니아 추출은 분말화된 원료에 70% 에탄올을 10배수로 가하여 2시간 동안 $70^{\circ}C$로 연속 3회 환류추출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동결건조 추출물이 155.76 mg GAE/g, 열풍건조 추출물이 134.93 mg GAE/g으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동결건조 추출물이 105.7 mg QE/g, 열풍건조 추출물이 82.29 mg QE/g으로 분석되어 동결건조 추출물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전 농도에 걸쳐 동결건조 추출물이 열풍건조 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동결건조 추출물이 열풍건조 추출물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RAW 267.4를 이용한 MTT assay를 통해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동결건조 및 열풍건조 아로니아 추출물 모두 100-300 ug/mL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항염활성 평가에서는 동결건조 추출물이 300 ug/mL 농도에서 LPS 처리군에 비해 NO 생성을 62.7% 감소시킨 데 비해 열풍건조 추출물이 33.5%를 감소시켜 동결건조 추출물이 열풍건조 추출물에 비해 더 높은 항염증 활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열풍건조보다는 동결건조 방법이 아로니아의 유효성분 함량 증대를 통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높이는 더 나은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단, 동결건조 방법이 산업적인 측면에서 장비 및 운용비용 등의 문제를 가진 만큼, 향후 열풍건조 대비 기능성분 및 기능성 개선과 함께 원가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가공법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열풍 및 동결건조에 따른 숙성 흑생강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from Hot-air and Freeze Dried Aged Black Ginger (Zingiber officinale))

  • 김훈환;이수정;정윤호;김성희;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3-161
    • /
    • 2018
  • 흑생강의 기능성 극대화와 산업화를 위하여 건조방법과 혼합비를 달리한 흑생강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료의 조제는 열풍 및 동결건조시킨 흑생강 분말과 이들의 혼합비에 따라 각각 시료 "A" (8:2), "B" (5:5), "C" (2:8), "D" (10:0) 및 "E" (0:10)로 구분하였다. 시료의 수분흡수지수와 수분용해지수는 동결건조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동결건조 시료의 비율이 클수록 수분흡수지수가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갈색물질의 함량은 동결건조에 비해 열풍건조한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시료의 색차는 모든 시료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은 열풍건조에 비해 동결건조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는데, 혼합시료 중 총당은 동결건조 시료의 함량이 많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동결건조보다 열풍건조 시료에서 많았으며, 혼합시료에서도 열풍건조 시료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Gingerol과 shogaol 함량은 혼합시료 "A"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6-gingerol은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 콜레스테롤 흡착활성은 동결건조 시료 "E"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차가 적었으나,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은 열풍건조 시료가 동결건조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혼합시료에서는 "A"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열풍건조된 흑생강은 동결건조에 비해 품질이나 기능성 측면에서 우수하였으며, 특히 열풍 및 동결건조 시료를 8:2(w/w)로 혼합한 경우 기능성이나 산업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작약근의 박피와 시료형태가 건조시간 및 Paeoniflorin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eling and Sample types on Drying Time and Paeoniflorin Contents of Peony Root)

  • 김기재;박준홍;박소득;김재철;박경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4-28
    • /
    • 2002
  • 작약의 양질약재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건조과정중 박피시간별 절단과 무절단 그리고 열풍건조 온도를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박피시간이 길어질수록 건조시간은 통뿌리보다 절단한 것이 건조온도가 단축되었으며, $30^{\circ}C$에서 $60^{\circ}C$까지의 건조온도에서 건조온도가 상승할수록 온도상승의 효과는 감소하였다. 작약의 주 약용성분인 paeoniflorin 함량은 무박피 절단형태로 열풍온도 $30^{\circ}C$에서 건조한 작약이 3.48%로 가장 높은 함량을 유지하였고, 120분 박피후 통뿌리로 $60^{\circ}C$에 열풍건조한 작약은 2.29%로 건조과정중 많은 양이 손실되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건조작약의 외부색택은 통뿌리로 $60^{\circ}C$에서 열풍건조했을 때 흑갈색으로 변하는 정도가 가장 심했다. 따라서 작약 수확후 건조과정 중 건조시간 단축과 약효성분 그리고 색택면에서 건조전의 처리 방법은 무박피 절단형태가 장시간 박피 원형형태보다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Infrared Assisted Freeze-Drying (IRAFD) to Produce Shelf-Stable Insect Food from Protaetia brevitarsis (White-Spotted Flower Chafer) Larva

  • Khampakool, Apinya;Soisungwan, Salinee;You, SangGuan;Park, Sung He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813-830
    • /
    • 2020
  • In this study, the potential of infrared assisted freeze-drying (IRAFD) was tested for the production of shelf-stable edible insects: Protaetia brevitarsis larva (larva of white-spotted flower chafer). The IRAFD system was customized using an infrared lamp, K-type thermocouple, controller, and data acquisition system. The infrared lamp provided the sublimation energy for rapid freeze-drying (FD). The IRAFD conditions were continuous IRAFD-5.0 kW/㎡ and IRAFD-5.0 kW/㎡ at different weight reduction (WR) (10%, 20%, and 30%). The continuous IRAFD reduced the drying time to 247 min compared to the 2,833 min duration of FD (p<0.05). The electrical energy could be reduced by more than 90% through infrared radiation during FD (p<0.05). The Page model resulted in the best prediction among the tested drying kinetic models. In terms of quality, IRAFD showed significantly lower hardness, chewiness, and higher protein levels than hot air drying and FD (p<0.05). IRAFD better preserved the glutamic acid (6.30-7.29 g/100 g) and proline (3.84-5.54 g/100 g). The external product appearance after IRAFD exhibited more air pockets and volume expansion, which might result in a good consumer appeal. In conclusion, this study reports the potential of IRAFD in producing shelf-stable and value-added edible insects.

Inhibi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Nitric Oxide (NO) by Gelidium elegans Using Alternative Drying and Extraction Conditions in 3T3-L1 and RAW 264.7 Cells

  • Jeon, Hui-Jeon;Choi, Hyeon-Son;Lee, OK-Hwan;Jeon, You-Jin;Lee, Boo-Y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2호
    • /
    • pp.122-128
    • /
    • 2012
  • Gelidium (G.) elegans is a red alga inhabiting intertidal areas of North East Asia. We examined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 elegans, depending on drying and extraction conditions, by determining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nitric oxide (NO) in 3T3-L1 and RAW 264.7 cells. Extraction yields of samples using hot air drying (HD) and far-infrared ray drying (FI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using natural air drying (ND). The 70% ethanol extracts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compared to other extracts (0, 30, and 50% ethanol) under tested drying conditions. The scavenging activity on 2,2-diphenyl- 1-picrylhydrazyl (DPPH) and nitrite correlated with total phenol or flavonoid content in the extracts. The greatest DPPH scavenging effect was observed in 70% ethanol extract from FID and HD conditions. The production of ROS and NO in 3T3-L1 and macrophage cells greatly decreased with the 70% ethanol extraction derived from FID. This study suggests that 70% ethanol extraction of G. elegans dried by FID is the most optimal condition to obtain efficiently antioxidant compounds of G. elegans.

열풍건조 및 분무건조 공정을 이용한 생 고구마와 찐 고구마 분말제조 및 물리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Hot Air-Dried and Spray-Dried Powders Process of Sweet Potato and Steamed Sweet Potato)

  • 구율리;채호용;홍주헌
    •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0-11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베니하루카 고구마를 식품가공용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열풍건조 및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하여 생 고구마 및 찐 고구마 분말을 제조하였고 다양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고구마 분말의 수분함량은 1.66~2.19%이고, 색도는 열풍건조 분말보다 분무건조 분말의 L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b값이 낮게 나타났다. 전분함량은 52.65~57.41%로 찌는 과정을 통해 증가하였으며, 열풍건조 분말(52.65 및 53.61%)보다 분무건조 분말(54.44 및 57.41%)의 전분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수분흡수지수 및 수분용해지수는 찌는 과정을 통해 증가하였고 분무건조 분말이 열풍건조 분말에 비해 수분흡수지수는 낮고 수분용해지수는 높게 분석되었다. 분말의 입자크기는 분무건조 분말(46.18 및 $65.53{\mu}m$)이 열풍건조 분말(175.35 및 $620.87{\mu}m$)보다 유의적으로 크기가 작게 나타났으며, 입자표면구조는 열풍건조 분말보다 분무건조 분말의 입자 크기가 균일하고 미세한 분말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분말의 열적 특성에서 호화개시온도, 최대호화온도, 호화종결온도 및 호화엔탈비 값은 열풍건조 분말보다 분무건조 분말이 높게 나타났다. 용해도는 열풍건조 분말보다 분무건조 분말이 낮게 나타났으나, 팽윤력은 열풍건조 분말보다 분무건조 분말이 높게 나타났다. 고구마분말의 amylose 함량은 11.67~19.06%로 열풍건조 분말(19.01 및 19.16%)보다 분무건조 분말(11.67 및 12.51%)이 낮게 나타났으며, 식이섬유 함량은 열풍건조 분말(1.12 및 1.64%)보다 분무건조 분말(1.34 및 2.02%)에서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스팀 처리후 분무건조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구마 분말은 가공적성이 향상되었고, 전분 및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증가하여 기능성이 증진된 식품가공용 소재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Microwave drying characteristics of squash slices

  • Lee, Dongyoung;So, Jung Duk;Jung, Hyun Mo;Park, Sung Hyun;Lee, Seung Hy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847-857
    • /
    • 2018
  • Recently, customers' demand and attention to dried agricultural products or foods have increased due to their convenience and nutritional values. Conventional drying methods such as solar drying and hot air drying have been most widely used for producing a large amount of dried agricultural products; however, those methods require quite a long time and high energy consumption. To compensate for these issues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methods, dielectric heating such as microwave and radio frequency heating has been used as a supplemental method in the drying procedu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crowave drying characteristics of squash slices with different thicknesses under different microwave power intensities and determined the best drying model that could precisely describe the experimental drying curves of the squash slices. The squash was cut into slices with two different thicknesses (5 and 10 mm), and then, they were dried under different microwave power intensity ranges between 90 and 900 W with an increase interval of 90 W. Six drying models were tested to evaluate the fit to the experimental drying data, and the effective moisture diffusivity ($D_{eff}$) values of the squash slices under microwave drying were determined. The results clearly show that as the microwave power was increased, the drying time of both squash slice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slope of the drying rate increased. The effective moisture diffusivity was also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microwave power intensities and thicknesses of the slices. In addition, the Page model was most suitable to delineate the drying curves of both squash slices under different microwave power intensities.

추출 방법에 따른 강황 잎 추출물의 향장 활성 비교 (Comparison of Cosmetical Activities of Curcuma longa L. Leaf Extracts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김남영;임혜원;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5-261
    • /
    • 2014
  • Cosmetic activities of the leaves of Curcuma longa L. were compared according to different drying methods, to expand the use of the by-products of Curcuma longa L.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of 29.4% was obtained from vacuum drying process (VD), whose value was very close to 29.2% from freeze drying process (FD). Relatively lower extraction yield were observed as 24.5% and 25.3% from the raw leaf (RL) as control and hot air drying process (HD). The cytotoxicity was observed lower FD and VD than RL and HD. It shows that cytotoxicity was closely related to cosmetic activities such as tyrosinase and melanin inhibition activities by showing much better cosmetic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both FD and VD than those from the RL and HD. It was interesting that was differences of the cosmetic activities and cytotoxicity between FD and VD, which implies that VD method should be a more efficient process than FD method in terms of drying time and operation costs: 6 hours vs 24 hours and 3-5 times higher extraction costs in drying. It was observed that VD is more excellent dry method than others. This result could be utilized to effectively dry other soft plant biom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