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air drying

검색결과 431건 처리시간 0.025초

건조방법에 따른 고춧가루의 품질특성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Quality of Red Pepper Powder)

  • 임용래;경예나;정헌상;김혜영;황인국;유선미;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315-131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건조방법에 따른 고춧가루의 품질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한 가지 품종의 고추를 PE House 건조, 열풍건조, 원적외선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한 다음, 건조조건별로 고춧가루의 수분함량 변화, pH, ASTA value 및 capsaicinoids와 vitamin C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건조 후 고춧가루의 수분함량은 12.05~14.01%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pH는 건조 전 생고추인 4.93보다 다소 높은 5.00~5.54를 나타내었다. 고춧가루의 매운맛을 나타내는 총 capsaicinoids의 capsaicinoids의 함량은 PE House 건조에서 224.40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열풍 $70^{\circ}C$ 건조에서 191.87 mg/100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건조방법에 따른 capsaicinoids 함량이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매운맛 함량의 변화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고춧가루의 대표적 항산화제인 vitamin C 함량은 다른 건조방법 및 조건에 비해 PE House, 열풍 $60^{\circ}C$과 원적외선 $60^{\circ}C$에서 596.60~648.31 mg/100 g으로 높은 수준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소비자가 고춧가루를 선택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ASTA value는 126.68~156.77로 건조방법 및 조건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고추의 건조방법 및 조건을 낮은 온도 조건에서의 열풍, 원적외선 건조방법으로 결정한다면 고춧가루의 vitamin C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PE House 건조에 비해 신속하며 오염을 예방하는 고품질의 고춧가루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삼의 마이크로파 진공 건조 후 사포닌 조성 및 미세구조의 변화 (Changes in Saponin Composition and Microstructure of Ginseng by Microwave Vacuum Drying)

  • 금준석;박광장;이창호;김용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27-432
    • /
    • 1999
  • 마이크로파 진공 건조 방법을 달리하여(3분 건조-2분 정지를 반복하여 24시간 건조하는 방법 ; MWVD 1,5분 건조-2.5분 정지를 반복하여 24시간 건조하는 방법 : MWVD2,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45^{\circ}C$에서 12시간 예비 건조 후 마이크로파 건조기를 이용하여 3분 건조-2분 정지를 반복하여 12시간 건조하는 방법 : HMWVD1, 5분 건조-2.5분 정지를 반복하여 12시간 건조하는 방법 : HMWVD2) 인삼을 건조한 후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마이크로파 진공 건조 후 수축현상 없이 수분활성도 0.54, 수분함량 16.82%까지 건조되었다. 건조 후 일반성분의 차이는 조단백질, 회분은 차이가 없었으나 조지방의 함량은 감소되었다. 유리당 조성에서 포도당(glucose)은 증가한 반면 자당(sucrose)은 감소하였다. $Ginsenoside-Rb_1$ 및 Rc는 건조 후 감소하였으며 $Ginsenoside-Rg_1$의 함량은 MWVD2와 HMWVD2 처리구에서 각각 0.15, 0.17로 MWVD1와 HMWVD1 처리구보다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미세구조 관찰에서 MWVD1 처리구가 건조 후 가장 치밀한 내부 구조를 나타내었다.

  • PDF

다양한 건조방법과 감의 성숙도에 따른 반건시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Semi-dried Persimmons with Various Drying Methods and Ripeness Degree)

  • 정경미;송인규;조두현;추연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89-194
    • /
    • 2004
  • 다양한 건조방범과 감의 성숙도에 따른 반건시의 품질을 알아보기 위해 자연건조, 열풍건조, 원적외선 건조, 제습식건조 방법과 미숙, 적숙, 과숙과를 구분하여 반건시를 제조하였다. 자연건조의 경우 건조 기간 중 과습때문에 건조대에서 떨어지거나 미생물에 의한 오염으로 발생한 손실율이 7.0%이었으나, 열풍건조 등 인공건조를 하였을때는 손실율이 0.0%였다. 건조소요일은 자연건조 17∼18일, 원적외선건조 6∼7일, 열풍과 제습식 건조 7∼8일 소요되어 자연건조에 비해 11∼12일 정도 건조일수를 단축시킬 수 있었다. 반건시 과육부의 수분함량이 전체의 수분함량 변화에 비해 다소 완만하게 진행되었고 건조완료 시점에서 자연건조와 제습식 건조구의 수분함량이 비슷하였다. 건조가 완료될 때까지 반건시의 표피부 경도는 제습식 건조 130.3, 자연건조 107.1g/$\textrm{cm}^2$로 가장 낮았으며 조직감과 저작감이 우수하였다. 반건시의 전체 기호도에서는 제습식 건조 3.9, 자연건조 3.4 로 가장 우수하였다. 감의 숙도별 반건시 품질 비교 실험에서는 숙도에 관계없이 제습식 건조를 통해서 7∼8일 정도 소요되었고, 전체수분함량은 미숙과가 가장 낮았다. 미숙과의 표피부와 과심부 경도가 가장 높았고, 적숙과와 과숙과의 색도가 미숙과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기호도 조사에 있어서도 미숙과에 비해 적숙과와 과숙과의기호도가 우수하였다. 고품질 반건시 생산으로 지역 특산물의 이미지를 계속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과정부가 적황색이고 과기부가 녹황색인 적숙과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

효소식품으로서 발아유색미의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Microwave Vacuum Drying of Germinated Colored Rice as an Enzymic Health Food)

  • 김석신;김상용;노봉수;장규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619-624
    • /
    • 1999
  • 품질이 우수하고 경제성이 있는 건강지향성 식품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유색미를 발아시킨 후 마이크로파 진공건조를 적용하여 건조하고 그 건조특성과 품질특성을 열풍건조, 진공건조, 또는 동결건조의 경우와 비교해 보았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 및 2의 경우 열전달속도가 빨라 건조개시후 5분 이내에 $60^{\circ}C$에 도달한 후 건조시간 내내 $60{\pm}2^{\circ}C$를 유지하였으나 열풍건조의 경우는 건조개시 30분 경과 후, 진공 건조의 경우는 3시간 30분 경과 후에야 $60^{\circ}C$에 도달하였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의 경우 건조 3시간 후 수분함량 0.08 kg water/kg solid까지 감소하였으나,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2의 경우 총건조시간 2시간만에 수분함량 0.07 kg water/kg solid까지 감소하였다. 열풍건조의 경우 건조시간 4시간만에 수분함량 $0.17{\sim}0.18\;kg\;water/kg\;solid$까지 감소하였으나 최소한 2시간은 더 건조시켜야 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 및 2의 경우는 건조 초기 건조속도는 0.055 kg water/kg solid/min이었으며 처음부터 건조속도가 계속 감소하는 감률건조를 보였다. 열풍건조의 경우는 건조 초기 건조속도가 0.0057 kg water/kg solid/min으로서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 및 2의 경우의 1/10수준이었으며 건조개시 60분까지 항률건조를 보이다가 임계수분함량 0.76 kg water/kg solid 부근부터 감률건조가 시작되었다. 건조시료의 ${\alpha}-amylase$ 함량은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2,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 동결건조, 진공건조 및 열풍건조의 순서를 보여 마이크로파 진공건조의 품질보존효과를 잘 보여 주었다.다. 순으로 나타났으며 $FB_2$의 경우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EX> 수준이었으며, 전발효 종료시 알코올 생성은 모두 14% (v/v) 정도로 비슷하였다. 포도주의 숙성기간 중 잡균 오염 방지를 위해 potassium metabisulfite를 40 ppm 이상 첨가하였을 때에는 포도주의 색이 탈색되었다.Gram (-)균으로는 Aeromonas hydrophila, 효모로는 Candida pelliculosa가 각각 분리 동정되었다. 배추 물김치의 경우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citrum, Leu. mes.ssp.mesenteroides/dextranicum, Streptococcus facium이 동정되었으며, Pediococcus는 역시 미확인되었다. Gram (-)균은 Pseudomonas fluorescens, Pseu. aureofaciens가 각각 분리 동정되어 주재료간 차이를 보여주었다.되고 있는 국제환경 속에서 소비자들에게 방사선조사 식품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식품구입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더욱이 본 연구결과 우리 나라 소비자들은 방사선조사 식품에 대한 낮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어 소비자로서의 알권리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국내에서 방사선조사 식품이 상업적으로 널리 보급되기에 앞서 방사선조사 식품에 대한 소비자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년령군별 발생양상은 외국의 그것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무과립구증 발생양상의 기준상황 자료(baseline data)로써 유용하리라고 판단 된다. 한편 본 조사연구에서 적용한 방법론은 앞으로 특정 질병, 특히 희귀한 중증질환의 전국적인 발생율을 타당하고 신뢰성있게 추정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의 하나라고 평가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 적용하였던 방법을 앞으로 우리

  • PDF

열풍 건조온도에 따른 산국의 휘발성 성분 변화 (Effect of Hot-air Drying Temperature on Volatile Compounds in Chrysanthemum boreale M. Flowers)

  • 배성문;이승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66-469
    • /
    • 2008
  • 방향성 약초인 산국을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각각 4O, 50, $60^{\circ}C$ 에서 수분함량 $23{\pm}1%$ 에 도달할 때까지 건조하였다. 건조시간은 8.5-69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소요된 건조시간의 log값은 건조 온도와 높은 역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건조온도 상승에 따라 산국의 색도 L 값과 b 값은 감소하였고, a 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국의 휘발성분 함량의 총합을 $60^{\circ}C$ 건조조건의 것을 100% 로 하였을 때 $50^{\circ}C$ 건조에서는 98.4%, $40^{\circ}C$ 건조에서는 85.4%로 건조 온도가 낮을수록 낮은 휘발성분이 검출되었다. 모든 건조조건의 산국에서 가장 많이 검출된 휘발성분은 germacrene D이었으며, 가장 높은 함량은 $60^{\circ}C$ 건조에서 33.9%이었고, 같은 조건에서 camphor는 23.1%가 검출되었다.

건조방법 달리하여 제조한 더덕 생식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in the Codonopsis lanceolata Saengsik, Uncooked Foo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 김철암;권오영;왕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21-725
    • /
    • 2008
  • 더덕을 생식 원료로 동결건조 및 열풍건조를 통하여 생식을 제조하여 제조된 생식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기능성 성분의 함량 조사를 통하여 합리한 제조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수분,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회분 등 일반성분 함량은 동결건조 및 열풍건조를 실시한 시험구들 사이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색도는 동결건조는 실시한 시험구가 열풍건조를 실시한 시험구에 비해 L값은 높게, b값은 낮게 나타났다. 식이섬유 함량은 열풍건조를 실시한 시험구가 동결건조를 실시한 시험구보다 높게 나타났고 총 페놀성 화합물과 조 사포닌 함량은 동결건조를 실시한 시험구가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동결건조를 실시한 시험구가 색, 맛, 향, 전체적 기호도 등에서 모두 열풍건조를 실시한 시험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부터 더덕을 원료로 생식을 제조 시 동결건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honey coating semi-dried mulberry fruit using hot air dryer

  • Kim, Hyun-bok;Kwon, O-Chul;Ju, Wan-Taek;Kim, Yong-Soon;Sung, Gyoo Byung;Hong, Seong-jin;Kim, Doo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7권2호
    • /
    • pp.63-68
    • /
    • 2018
  • Semi-dried mulberry fruit can be distributed at room temperature and maintained its chewy texture and shape. It can be used for its own itself or food materials. We develop the honey coating semi-dried mulberry fruit manufacturing method through hot air dryer. After extracting the moisture from the thawing process, honey was coated and dried. Drying time for semidried mulberry fruit was shortened by manufacturing on the day of work without going through aging process. The first the mulberry fruit juice was separated from the frozen mulberry fruit at room temperature of the laboratory or in the dryer of $60{\sim}90^{\circ}C$, then the first dried by a hot air drier at $60^{\circ}C$ for 3 to 4 h. Next, it is coated with honey, which is equivalent to 20% weight of the first dried mulberry fruit, and then the second dried at a temperature of $38^{\circ}C$ for 20 ~ 30 h. The honey coating semi-dried mulberry fruit by above method was shiny on the surface and retained its shape. The moisture content was about 15%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be stored at room temperature.

전기히터식 및 지열원 히트펌프식 농산물 열풍건조기의 에너지 성능 비교 (Energy Performance Comparison of Electric Heater and Geothermal Source Heat Pump type Agricultural Hot Air Dryers)

  • 양원석;김영일;박승태
    •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7-12
    • /
    • 2018
  • Energy performance of electric heater and geothermal source heat pump type hot air dryers are compared in this study. For set temperatures of $30^{\circ}C$, $35^{\circ}C$ and $40^{\circ}C$, radish is dried from initial mass 60 kg until it gets 5 kg, where the difference equals the amount of water removed. As set temperature is increased, drying time is shortened for both electric heater and heat pump types, however energy efficiency is decreased due to increasing electricity consumption. Moisture extraction rate(MER) of electric heater is 2.58~2.84 kg/h, and for heat pump type 2.56~2.71 kg/h, showing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Specific moisture extraction rate (SMER) of electric heater is 0.94~0.96 kg/kWh, and for heat pump type 1.72~2.21 kg/kWh. SMER of heat pump type is greater by 0.78~1.25 kg/kWh than the electric heater hot air dryer, which is 1.8~2.3 times better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저출력 및 Pulse 마이크로파 건조 후 인삼의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Ginseng Dried with Lower Power and Pulse Microwave)

  • 금준석;박광장;이창호;김용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2-127
    • /
    • 1999
  • 저출력 및 pulse를 이용한 마이크로파 건조 방법을 달리하여(3분 건조-2분 정지를 반복하여 24시간 건조하는 방법 : MW1, 5분 건조-2.5분 정지를 반복하여 24시간 건조하는 방법 : MW2,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45^{\circ}C$에서 12시간 예비 건조 후 마이크로파 건조기를 이용하여 3분 건조-2분 정지를 반복하여 12시간 건조하는 방법 : MWH1, 5분 건조-2.5분 정지를 반복하여 12시간 건조하는 방법 : MWH2) 인삼을 건조한 후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수분함량과 온도에 따른 수삼의 유전특성은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유전상수값이 증가하였으며 유전손실계수와 침투깊이는 약간의 증가만 나타내었다. 온도에 따른 유전특성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40^{\circ}C$에서 53.4로 유전상수값이 급격히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유전손실 계수와 침투깊이는 수분함량과 비슷한 증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건조 후 일반성분의 차이는 조단백질, 조지방, 회분, 수분활성도 등은 차이가 없었으며 식이섬유(SDF)의 경우 MWH2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차이가 없었다. Ginsenoside-Rb1의 함량은 MW1와 MW2 처리구에서 각각 0.65, 0.64로 MWH1와 MWH2 처리구 보다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유리당의 함량은 각 처리구에 따라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미세구조 관찰에서 MW2 처리구가 건조 후 가장 치밀한 내부 구조를 나타내었다.

  • PDF

제조방법에 따른 마 스낵의 성분 변화 (Changes on the Components of Yam Snack by Processing Methods)

  • 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16-521
    • /
    • 2004
  • 본 연구는 각종 약리 및 기능성을 함유한 마의 소비증대와 부가가치 증대를 위하여 새로운 마의 가공식품인 마 스낵을 개발하고자 당절임 최적조건에서 당절임한 마스낵의 제조방법에 따라 성분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열풍, 진공 건조한 것에 비해 동결건조한 것이 높았고, 탄수화물 함량은 반대되는 경향이었다.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동결건조한 것에서 6.43 mg/100 g으로서 열풍 및 진공 건조한 것에 비해 낮았으나, 총당과 환원당의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주요 유기산은 malic, acetic, citric acid이었고, acetic acid와 citric acid의 함량은 동결 건조한 것에 비해 열풍, 진공 건조한 것에 많았고, malic acid는 열풍 및 진공 건조한 것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구성아미노산 중대부분의 아미노산과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진공 건조한 것에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열풍, 동결 건조한 순이었으며,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총 비타민 C의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환원형 비타민 C는 열풍, 진공 건조한 것에 비해 동결 건조한 것에서 많았고, 산화형 비타민 C는 동결건조한 것에서 가장 낮았다. 무기질의 함량은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