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neybee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2초

Maxent 모델을 이용한 양봉꿀벌의 서울시 수분 잠재환경 분석 (The Analysis of Pollination Potential Environment for Apis mellifera in Seoul Using Maxent Modeling Approach)

  • 김윤호;조용현;배양섭;김다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5-96
    • /
    • 2020
  • The honeybee serves for most entomophilous flowers. They are a core species for maintaining the ecological system. Though the urban ecological system needs bees' mediation of pollination as well, we have little understanding on how the honeybee reacts to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an urban city.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to enhance the potential environment for pollination in an urban area and aims to review the urban environmental variables which are highly linked to the pollination mediations by the honeybee. The study composed a Maxent model by adopting nine urban environmental variables and the locations of the Apis mellifera's appearances around 52 spots in Seoul. The variables reflect the ecology of the Apis mellifera. Of the urban environmental variables used for the model composition, six variables were found as not having meaningful correlations with the Apis mellifera's appearances and finally, building coverage, actual vegetation and land cover were selected as the appearance variables of the Apis mellifera. The AUC, the reliability indicator of the final model was 0.791 (sd=0.077). And the importance data of the variables used for the model were 55.6%, 27.9%, and 16.5% for building coverage, actual vegetation and land cover,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building coverage h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appearance of the honeybee. And, as per the actual vegetation, the artificially tree planted area as well as the cultivated field and meadow in an urban area were functioning a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 honeybee to be inhabitable. The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e material for the urban planning and park green area planning to enhance the potential environment for pollination in an urban area.

Effect of Propolis Volatiles from a Stingless Honeybee(Apidae : Meliponinae) on the Immune System of Elderly Residents in a Nursing Home

  • Suzuki, Seiko;Amano, Kazuhiro;Suzuki, Koich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9권1호
    • /
    • pp.193-197
    • /
    • 2009
  • We report an evaluation of the immunostimulatory effect of propolis volatiles from a stingless honeybee. We studied 34 elderly residents at a special nursing home. Twenty-one subjects were treated with propolis, 8 with $Binch\hat{o}$ charcoal and 5 subjects acted as controls. Subjects treated with either propolis or Bincho charcoal were housed in rooms separated from the other non-study residents in the nursing home. The effects of each treatment on natural killer (NK) cell activity and lymphocyte levels were examined after 2 months and then for a longer peri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NK cell activ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to that within the normal range only after propolis treatment.

Bifenthrin과 Imidacloprid의 작물잎에서의 잔류량과 꿀벌에 대한 독성 (Residual Toxicity of Bifenthrin and Imidacloprid to Honeybee by Foliage Treatment)

  • 조경원;박현주;배철한;김연식;신동찬;이승열;이석희;정창국;박연기;김병석;이규승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26-234
    • /
    • 2010
  • 꿀벌(Apis mellifera)에 대한 급성접촉 독성이 강한 살충제인 합성 피레스로이드계통 농약인 bifenthrin과 급성경구 독성이 강한 살충제인 네오니코티노이드 계통농약인 imidacloprid 대상으로 엽상잔류의 특성과 꿀벌에 대한 독성을 조사하고자 꿀벌에 대한 엽상잔류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농약은 제형이 다른 제품농약인 bifenthrin WP와 bifenthrin EC 그리고 imidacloprid WP와 imidacloprid SL을 사용하였으며, 잎의 특성이 다른 알팔파와 사과나무에 동일한 농약을 살포한 후 시험농약 각각의 꿀벌에 영향이 없다고 판단되는 치사율 25% 미만수준의 독성치($RT_{25}$)와 시간 경과에 따른 엽상잔류량을 조사하였다. 시험결과 꿀벌 엽상 잔류독성은 bifenthrin WP를 제외한 3종의 농약에서 사과잎에 비해 표면적이 큰 알팔파잎에서의 꿀벌 치사율이 사과잎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에 경과에 따른 엽상 잔류량도 사과잎보다 알팔파잎에서 전체적으로 많은 양이 잔류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험약제 간의 엽상 잔류량은 imidaclprid의 경우 $4.9{\sim}25.4\;mg{\cdot}kg^{-1}$ 범위 이었으며, bifenthrin은 $0.6{\sim}12.7\;mg{\cdot}kg^{-1}$이었는데, 살포약량이 많고 약제의 특성상 침투이행성이 강한 imidacloprid에서 잎에서의 잔류량은 많았으나 접촉독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bifenthrin에 비해 꿀벌 독성은 짧게 나타났고 치사율도 낮았다. 결과적으로 꿀벌독성이 강한 농약은 작물체 잎 표변에 부착되어 잔류하면서 꿀벌에 직접 접촉하거나 휘발에 의해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며, 작물체 잎의 특성과 농약의 물리화학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농약제제의 형태도 작물체 잎에서의 잔류량에 영향을 주어 꿀벌에 대한 독성 영향을 지속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꿀벌과 서양뒤영벌에 대한 농약의 독성평가 (Evaluation of Toxicity of Pesticides against Honeybee (Apis mellitera) and Bumblebee (Bombus terrestris))

  • 안기수;오만균;안희근;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2-390
    • /
    • 2008
  • 본 연구는 69종의 농약(살충제 41종, 살균제 18종, 살비제 10종)에 대한 꿀벌(A. mellifera)과 서양뒤영벌(B. terrestris)에 급성독성과 잔류독성을 평가하였으며, 국제 생물적 방제기구(IOBC)의 기준에 따라 30% 이하를 독성이 없음으로 분류하였다. 급성독성실험에서 41종의 살충제 중에 acetamiprid, chlorfenapyr, thiacloprid, milbemectin, buprofezin+amitraz 5종이 꿀벌에, methomyl, thiodicarb, acetamiprid, chlorfenapyr, thiacloprid, abamectin, spinosad, buprofezin+amitraz 8종은 서양뒤영벌에 대해서 독성이 낮아 안전하였다. 그리고 살균제 18종과 살비제 10종은 꿀벌과 서양뒤영벌에 대해 모두 안전하였다. 잔류독성실험에서 41종의 살충제 중 꿀벌에 대해서 약제처리 3일 이후부터 안전한 약제는 8종 (dichlorvos, methomyl, imidachlorprid, emamectin benzoate, spinosad, cartap hydrochloride, chlorfenapyr, endosulfan) 이고, 11일차까지도 독성이 높은 약제는 16종(dimethoate,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 pyraclofos, fenpropathrin, clothiamdin, dinotefuran, thiamethoxam, abamectin, acetamiprid+ethofenprox, acetamiprid+indoxacarb, bifenthrin+midacloprid, ethofenprox+phenthoate, imidacloprid+methiocarb)이었다. 서양뒤영벌에 대해서는 약제처리 3일 이 후부터 안전한 약제는 8종(dimethoate, methidation, a-cypermethion, ethofenprox, indoxcarb, chlorpyrifos+a-cypennethrin, esfenvalerate+ fenitrochion)이고, 7일차까지도 높은 독성을 나타낸 약제는 8종(pyraclofos, clothianidin, thiamethoxam, fipronil, acetamiprid+ethofenprox, chlorpyrifos+bifenthrin, ethofenprox+phenthoate, imidacloprid+methiocarb)이었다.

수벌번데기로부터 식중독 세균 및 곰팡이독소 안전성 평가 (Safety Investigation on Foodborne Pathogens and Mycotoxins in Honeybee Drone Pupas)

  • 김세건;우순옥;장혜리;최홍민;문효정;한상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99-40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양봉농가에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영양이 풍부한 꿀벌 수벌번데기를 새로운 식품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유해 미생물과 곰팡이독소에 대한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검사 시료는 국내 3지역의 양봉농가에서 직접 생산한 수벌번데기를 채취 후 곧바로 냉동 운반하여 동결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식품공전 시험법에 따라 대장균군(Coliforms), 살모넬라(Salmonella spp.),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장출혈성대장균(Enterohemorrhage Escherichia coli)에 대한 검출 여부를 조사한 결과 280개의 벌통에서 채취한 수벌번데기 전부에서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곰팡이 독소인 아플라톡신 $B_1$(aflatoxin), 오크라톡신 A (ochratoxin), 데옥시니발레놀(deoxynivalenol) 그리고 제랄레논(zearalenone)이 수벌번데기에서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벌통 내 소비에서 채취하여 곧 바로 냉동보관 한 수벌번데기는 유해 미생물과 곰팡이 독소로부터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어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꿀벌 6종 주요 병원체에 대한 초고속 다중 PCR 검출법의 개발 (Development of Ultra-Rapid Multiplex PCR Detection against 6 Major Pathogens in Honeybee)

  • 임수진;김정민;이칠우;윤병수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7-39
    • /
    • 2017
  • 꿀벌 6종 주요 감염성 질병을 동시 진단하기 위한 PCR-chip 기반 초고속 다중 PCR 진단법을 개발 하였다. 6종 주요 꿀벌 감염성 병원체들은, 세균성 질병인 미국부저병의 원인균, Paenibacillus larvae와 유럽부저병의 원인균인 Melissococcus plutonius, 또한 진균인 Ascosphaera apis(백묵병), Aspergillus flavus(석고병)와 Nosema apis, Nosema ceranae(노제마병)를 선발하였다. 개발된 PCR-chip 기반 초고속 다중 PCR은, 꿀벌 주요 병원체 6종에 대하여 각기 $10^3$ 분자이상이 존재할 경우 모두 성공적 증폭을 보였으며, 증폭여부의 확인에 걸린 시간(Ct-time)은 6종 중 4종은 9분 내외, 2종은 7분 내외이었으며, 총 40회전의 PCR은 11분 42초, 융점분석 1분 15초로 총 PCR분석에 소요된 시간은 12분 57초(40회전 및 융점분석)이었다. 표준 DNA 기질을 사용한 PCR-chip 기반 초고속 다중 PCR은 100%에 근접한 정확도를 보였으며, 꿀벌 genomic DNA를 사용한 실험에서 false-amplification은 발견되지 아니하였다. PCR-chip 기반 초고속 다중 PCR은 실험실 내 초고속 진단 뿐 아니라 양봉 현장에서도 신속하고 효율적인 병원체 검출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꿀벌의 독에 의한 생쥐 피부의 조직병리학적 및 미세구조적 변화 (Histopathological and Fine Structural Changes in Mouse Skin after Injection of Honeybee Venom)

  • 신상희;정문진;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27권2호
    • /
    • pp.145-153
    • /
    • 1997
  • 꿀벌(Apis mellifera)의 독에 의해 야기되는 포유동물 피부의 조직병리학적 및 미세구조적 변화와 그 수복과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용 생쥐의 피부에 직침법으로 꿀벌의 독을 주입한 후, 회복된 시점까지 일정시간 간격으로 조직의 표본을 제작하여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독 주입 직후의 표본에서는 표피의 상피세포와 진피의 결합조직에서 현저한 염증반응이 유도되었고, 일부세포의 괴사가 관찰되었다. 고배율의 전자현미경상에서 교원섬유의 직경이 크게 증가되었으며, 면역 단백물질로 추정되는 전자밀도가 높은 grain의 침착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조직병리현상은 독 주입 후 12시간이 경과된 조직의 표본에서 서서히 회복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봉침 주위 피부조직의 조직학적 및 미세구조적 변화는 수 일간 지속되었으나, 병리학적 반응은 3일 이내에 거의 거의 소멸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생쥐 피부에 대한 꿀벌 독의 병리반응은 다른 절지동물의 독에 비하여 비교적 경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자돈에 투여한 봉독 및 생균제의 효과 (Effects of honeybee (Apis Mellifera L) venom and probiotic in piglets)

  • 한상미;이광길;여주홍;권해용;우순옥;오백영;백하주;박관규;장영채;김순태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29-237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oneybee venom, purified using bee venom collector, and feeding of probiotics on the body weight gain, growth rate and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gs. A total of 120 pigs were examined and divided into 4 groups 1) Control (basal diet), 2) BV (basal diet + bee venom), 3) PB (basal diet + probiotics), 4) BVPB (basal diet + BV + PB). Average daily weight gain improved significantly in all test groups, especially BVPB (P < 0.05) compared to the control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eed conversion rate (P < 0.05) and efficiency (P < 0.05) between BVPB and control pigs. Weight gain and survivability was higher in the tests than the controls, but white blood cell count was not. Serum total protein, albumin and IgG concentration of BVPB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eated honeybee venom and probiotics should be used together to effectively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pigs.

신생송아지의 봉독 처리가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blood chemistry of honeybee (Apis mellifera L.) venom on the Hanwoo calves)

  • 오백영;한상미;오용익;김순태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7-93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honeybee venom (Apis mellifera L. BV) on the calving, the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chemistry occurrence of Hanwoo calves. A total of twenty, a 3 day old male experimental calves were allocated into four groups, BV treated (0.05 mg/kg, 0.1 mg/kg and 0.2 mg/kg BV, n=5, respectively) and non-treated (n=5, Control) of Hanwoo calves in Icheon, Kyonggi province. Treatment of BV in calves increased body weight and weight gain during 60 day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concentrations of IgG in bloo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BV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at 60 days after treatment with BV. Cholesterol and glucose concentrations in BV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with control at 60 day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lasma biochemical components including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lkaline phosphate (AKLP), total protein, albumin, globuline, total bilirubin, creatinine, blood urea nitrogen (BUN) and $Ca^+$. In conclusion, the BV treatment had effect on growth, the score of the calf scours and blood biochemical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