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okary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247초

Neurospora crassa ars-1 프로모터의 발현율 조사 (Transcription level of the ars-1 promoter of Neurospora crassa)

  • 이병욱;구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1-196
    • /
    • 2003
  • Arylsulfatase를 암호화하는 Neurospora crassa의 ars-1 유전자는 황의 결핍에 의해서 발현이 조절된다. lacZ 유전자에 연결된 ars-1 프로모터 (Pars)가 N. crassa RLM 35-35 a his-3 inl 균주에 형질전환되고, 유사 서열 재조합에 의한 단일 교차에 의해서 염색체의 his-3 부위로 도입이 되었다. 황이 결여된 Vogel의 배지에서 자란 균사로부터 $\beta$-galactosidase 활성이 측정되었다. $\beta$-galactosidase 활성은 derepression 조건으로 변환한지 14 시간 후에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Microconidiation에 의해서 생산된 homokaryon에서 측정된 활성은 heterokaryon보다 17% 증가가 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 실험은 ars-1 프로모터의 발현율을 측정할 수 있는 한 방법을 제시한 것으로, 보다 수월한 ars-1 발현 조절 연구가 기능할 것이다.

도열병균의 핵학적 연구 (Studies on the nuclear cytology of Pyricularia oryzae CAV)

  • 이시용;심재섭;이은종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_6권
    • /
    • pp.19-26
    • /
    • 1968
  • 휴지상태에 있는 성숙한 도열병균 포자 1,000개를 관찰한 결과 각 세포에 단핵을 가지는 포자비율이 $95\%$로 단연 많았고 또 미숙회자인 1세포 1핵 포자로부터 출발하여 3세포 3핵인 성숙포자가 형성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분열 중인 핵은 배열된 염색체로서 관찰할 수 있었으며, 염색체수는 n=3,4,5,6개로 나타났으나, n=5개가 가장 많았다. 핵이 발아관으로 이동하는 방법은 첫째로 휴지상태에 있던 핵이 분열하여 2핵이 되고 그 중 1핵이 발아관에 이동하고 1핵은 세포내에 머무는 것과$(43\%)$, 둘째 방법은 핵분열 없이 직접 세포내의 1핵이 발아관을 따라 이동하는 것들이 $(57\%)$ 있다. 또 부착기내의 핵을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 무핵의 부착기가 상당히 많았으나 핵질을 가진 500개의 부착기 중에 단핵이 476개로서 $95.2\%$였다(Chromosome 으로 관찰된 4부착기는 제외). 이상의 결과로서 도열병균은 전생활환을 통하여 단핵을 함유한다는 것을 인정할 수 있으며, 도열병균포자가 다세포일지라도 Homokaryon이라고 생각되므로 단포자분리균을 도열병에 관한 모든 시험에 공시하는 것은 합당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New White Button Mushroom Cultivar 'Saedo'

  • Oh, Youn-Lee;Jang, Kab-Yeul;Kong, Won-Sik;Shin, Pyung-Gyun;Oh, Min ji;Choi, In-Geol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94-99
    • /
    • 2016
  • Since development of the first Korean button mushroom cultivar 'Sae-Ah' in 2010, mushroom farmers have demanded an improved cultivar. Although a new cultivar, 'Saejeong', was developed in 2011, this cultivar has thus far been difficult to cultivate in typical mushroom farms. To solve this problem, another new cultivar, 'Saedo', was developed in 2012. This new cultivar was selected by genetic analysis from crossing the heterokaryon line A175 and the homokaryon line ASI1346-15. The heterokaryon A175 was a crossed line between strains ASI1038-211 and ASI1346-20. The mycelium of 'Saedo' showed good growth on compost dextrose agar at $25^{\circ}C$. The morphological traits such as the pileus (cap) and stipe of the 'Saedo' cultivar were thicker than those of the reference control 'Saejeong', and the production yield was increased by 1.89-fold compared to that of the reference control. A field experiment of the 'Saedo' cultivar has been ongoing since 2013. The yield of the 'Saedo' cultivar was found to be substantially higher than that of the reference control during the $2^{nd}$ flush.

Efficiency of RAPD and ISSR Markers in Differentiation of Homo- and Heterokaryotic Protoclones of Agaricus bisporus

  • Mahmudul, Islam Nazrul;Bian, Yin-Bi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4호
    • /
    • pp.683-692
    • /
    • 2010
  • Morphologically, nine different slow-growing protoclones were screened from regenerated protoplasts of heterokaryotic Agaricus bisporus. As such,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report on differentiating homo- and heterokaryotic protoclones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inter-simple sequence repeat (ISSR) markers. Among 80 primers tested, the seven ISSR and seven RAPD primers selected for the analysis generated a total of 94 ISSR and 52 RAPD fragments, respectively. The ISSR fingerprinting also detected more polymorphic loci (38.29%) than the RAPD fingerprinting (34.61%). A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CA)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resolving power of the markers as regards differentiating protoclones. As a result, the mean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IC) for each marker system (i.e., 0.787 for RAPD and 0.916 for ISSR) suggested that ISSR is more effective for determining polymorphisms. The dendrograms constructed using RAPD, ISSR, and an integrated RAPD and ISSR marker system were high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as revealed by a high Mantel correlation (r= 0.98). The pairwise similarity index values also ranged from 0.64 to 0.95 (RAPD), 0.67 to 0.98 (ISSR), and 0.67 to 0.98 (RAPD and ISSR), whereas the mean similarity index values of 0.82, 0.81, and 0.84 were obtained for the RAPD, ISSR, and combined data, respectively. As there was a good correspondence between the RAPD and ISSR similarity matrices, ISSR would appear to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RAPD in the genetic diversity assessment and accurate differentiation of homo- and heterokaryotic protoclones of A. bisporus.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ISSR)-PCR에 의한 양송이버섯(Agaricus bisporus) 계통과 단핵균주의 다형성 분석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ISSR)-PCR based polymorphism of Agaricus bisporus strains and monokayon isolates)

  • 민경진;공원식;강희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75-18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수집한 A. bisporus 45계통과 19 Agaricus spp.를 포함한 64 Agaricus 계통으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고 7 종류의 ISSR primer를 사용하여 PCR 다형성 분석을 실시 한 바 (GA)T, (AG)YC, (GA)C and (CTC)의 ISSR primer에서 양송이 계통간 PCR다형성이 관찰 되었다. ISSR-PCR다형성 밴드가 유전적 유사도 산출에 이용되어 UPGMA cluster분석을 적용 dendrogram을 작성 한 결과 A. bisporus의 계통은 7 group으로 분류 되었으며 유사성 함수가 group 간에는 유사성 함수가 0.78에서 0.89의 유연관계를 보였다. 국내에서 최근에 개발된 새정, 새아, 새도, 새연과 교배모본인 ASI1346이 같은 그룹내에서 0.90이상의 유사성함수로 근연관계를 나타내었다. ISSR-PCR다형성 검출 결과 ASI 1038와 유래 단핵균주 S1038297와 ASI 1346S유래 S 737-110는 PCR다형성 밴드가 현저히 적게 증폭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Varietal characteristics of new white button mushroom 'Seolwon' in Agaricus bisporus

  • Lee, Byung-Joo;Lee, Mi-Ae;Kim, Yong-Gyun;Lee, Kwang-Won;Lee, Byung-Eui;Song, Ho-Yeon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2-87
    • /
    • 2014
  • Commonly known as the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is one of the most widely cultivated mushroom species of edible fungi. In the breeding of new button mushroom, Seolwon was developed by crossing two homokaryons. Because of the predominantly pseudohomothallic life cycle, only a small percentage of homokaryotic meiospores are produced, which do not fruit. Homokaryotic cultures derived from these types of single spores produce a vegetative mycelium that contain a variable number of genetically identical nuclei per cell. After crossing two homokaryons, hybrids were cultivated on a small scale and on a commercial scale at a farm. The spawn was made by a commercial spawn producer and the spawned compost by a commercial compost producer. Mycelial growth of Seolwon on CDA was better at $25^{\circ}C$ when it was compared with that of Seolgang. The mature cap shape of new strain Seolwon is oblate spheroid and the immature cap shape is round to oblate spheroid. The cap diameter was 39.7 mm on average. In comparison with white strain Seolgang, the strain had a yield that was 11% higher. It produced fruiting bodies which had a higher weight on average per fruiting body and were 9.7% firmer with a good shelf life. Days of fruiting body were 1-2 days later than those of Seolga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pringiness, chewiness, adhesiveness, gumminess were better than that of Seolgang.

원형느타리버섯 백색돌연변체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ruiting bodies color mutants in Pleurotus ostreatus)

  • 이강효;김규현;김범기;유영복;성재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4-38
    • /
    • 2007
  • 원형느타리 재배농가에서 발생한 백색과 흑회색 변이체는 원형느타리1호에 비해 균사생장속도가 느리고 균총의 모양도 불규칙하였다. 색소변이체로부터 분리한 단포자의 유전표지인자를 분석한 결과 원형느타리1호의 단포자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 색소변이체는 원형느타리1호의 변이체임이 확인되었다. 백색변이체균주를 Mn이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배지색소가 형성되었다. 색소변이체로부터 단포자를 분리하여 F1을 육성하여 자실체색의 후대유전양상을 분석한 결과, 백색변이체의 F1은 모두 백색이었으며, 흑회색 변이체의 F1은 대부분 모균주와 같은 흑회색의 자실색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아 색소변이는 후대(F1)로 유전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자실체색은 유색계통이 백색에 대해 우성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백색변이체와 회색의 야생종과의 교배에 의해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자실체색은 버섯의 상품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형질 중 하나이며, 또한 버섯균의 유기물 분해력과 병이나 불량환경에 대한 저항성에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자실체색이 진한 품종을 육성하는 연구는 버섯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자실체색 돌연변이체는 이러한 육종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RAPD분석을 통한 여름양송이(Agaricus bitorquis)의 교잡주 선발 (Selection of Agaricus bitorquis hybrid strains based on RAPD analysis)

  • 오연이;장갑열;공원식;신평균;김은선;오민지;최인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43-249
    • /
    • 2015
  • 여름양송이(Agiricus bitorquis)는 Agaricus속에 속하는 버섯으로 일반적으로 양송이가 $16{\pm}2^{\circ}C$에서 발생되는 것과 달리 $25{\pm}1^{\circ}C$에서 자라는 고온성버섯이다. 우리나라에서 여름양송이는 대부분 오랜 기간 동안 재배를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재배주기가 짧은 양송이 품종을 개발을 위한 교잡균주를 확보하였다. 수집된 균주 중 선발된 여름 양송이균주 ASI 1151와 ASI 1349에서 각각 100개 이상 단포자를 수집하였다. 배지별 단포자 발아시험의 결과에서 보면, CDA배지에서 73개의 단포자들의 발아되었고, 최소기간 20일, 최장기간 83일 후 포자발아가 진행되었다. 발아된 단포자들의 균사생장속도는 각 균주마다 달랐으며, RAPD마커 OPN-2를 가지고 ASI 1151에서 9개, ASI 1349에서 13개 동핵균주를 선발하였다. 또는 이 마커를 이용하여 99개의 교잡 중에 44균주의 친화성 유전자좌를 가진 동핵균주가 서로 교잡한 교잡주를 선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