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ical drama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1초

조대(朝代)별 비교를 통해 본 역사경극의 특징 - 전통극목을 중심으로 (A characteristic of historical Jing-Ju, through the comparison by each period - Focusing on traditional repertory)

  • 오경희
    • 비교문화연구
    • /
    • 제26권
    • /
    • pp.145-171
    • /
    • 2012
  • The background of historical Jing-Ju is a history, but the history Chinese wants to watch on the stage is the history dramatized by talented actors/actresses, not the history they want to learn. This thesis intends to examine traditional repertories whose background is historical people or accidents, among the lots of Jing-Ju repertories by each period, grasp periods, accidents, people, etc. preferred by Chinese and examine how they were dramati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Jing-Ju, grasped by each period, are as follows. The first, for the reason that there are lots of historical Jing-Ju in opera repertories, it can be mentioned by Chinese descriptive tradition and historical tradition. As lots of Chinese novels and drama works were written by history, basic models are suggested and clear development is shown, so there is an aspect which is advantageous for dramatization. Also, there are lots of works whose material is history for not only opera but also drama, TV drama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China where historical books such as "史記", "戰國策", etc. The second, the period which is the background of historical Jing-Ju focuses on 漢 period, 三國 period, 隋唐 period, 宋 period and 明 period. It seems to be reflected by Chinese superiority to some degree if considering Jing-Ju was extremely popular during the 民國 period. The third, there are many characters who have patriotism loyalty among the historical Jing-Ju. It seems to be the result of discovering lots of materials for appealing patriotism in the situation they were dominated by Japan and the West during the 民國 period. The forth, the most single material is "三國志" among the historical Jing-Ju. This material has the factors of traditional idea, loyalty, fidelity, etc, but there are the most interesting characters and they were popularized by novels, etc. The fifth, in the historical Jing-Ju, the contents and character forms can be sometimes changed by character's skill because character's artistic achievement can play a great role for the completion of Jing-Ju.

서사의 방법과 역사극의 새로운 방향 - <왕세자 실종사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 of narrative in the new trend of historical drama)

  • 김유미
    • 공연문화연구
    • /
    • 제18호
    • /
    • pp.283-314
    • /
    • 2009
  • 이 논문의 목적은 새로운 역사극의 등장과 더불어 연극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통시적으로 역사극의 변화를 살펴보면 새로운 역사적 해석들이 항상 등장했지만 최근 들어 해석의 새로움을 넘어서 역사적 사실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지점까지 확장되는 경향이 발견된다. 이 논문은 그러한 경향의 연장선에서 <왕세자 실종사건>이란 작품을 통해 최근 역사극의 새로운 흐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려고 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역사극의 흐름은 후기구조주의 역사관, 미시사의 등장과 더불어 더욱 잘 설명될 수 있다. 미시사에서는 작은 개인의 역할이 중요한데 <왕세자 실종사건>에서도 역시 이러한 측면이 발견되며 이 작품에서는 작은 개인이 거대 담론을 전복하기도 한다. 또한 이 작품에는 독특한 시간관이 등장하는데 이는 불연속적 시간의 재구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설명이 가능해진다. 역사극에 멜로나 추리 등의 다른 장르가 섞이는 현상은 영화나 소설에서도 드러나는 바인데 <왕세자 실종사건>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연극만의 특징은 여전히 유효하며 이미지극이라는 형식의 차용은 새로운 역사극을 참신하게 부각시켜 주는 방법이 되기도 한다.

TV드라마 현대물에서 무협 원형(原型)의 적용: 일본 TV드라마 <홀리랜드>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Application of the Moo-hyup Prototype to TV Drama in Modern Form: The Case of Japanese TV Drama 'Holyland')

  • 임정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574-583
    • /
    • 2016
  • 이 글은 소설과 만화에서 형성된 무협 원형이 무협장르 영화, TV사극 시리즈, 게임 등을 넘어 TV드라마 현대물에 적용된 방식을 일본 TV드라마 <홀리랜드>를 통해서 논하였다. 이 연구는 <홀리랜드>를 단순히 학원 드라마, 청소년 성장 드라마 등으로만 보지 않고, 스토리의 기본구성이 공간과 폭력의 판타지성, 무협의 정신을 가진 등장인물의 관계, 무협의 서사구조 등 무협 원형을 따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글은 궁극적으로 무협 원형이 시대물뿐만이 아니라, TV드라마 현대물의 스토리에서도 생명력을 얻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조선 시대 수학과 수학자에 대한 역사 드라마 (A Historical Drama about Mathematics and Mathematicians of the Joseon Dynasty)

  • 이경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93-102
    • /
    • 2014
  • 최근 한국에서는 많은 유형의 드라마들이 방송되고 있다. 특히, 역사적 배경이나 인물에 대한 역사 드라마는 높은 시청률을 보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의 많은 부분에서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게다가 <대장금>과 같은 역사 드라마는 많은 아시아 국가에서 한국 문화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최근에는 역사드라마의 주제나 주인공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대장금>은 궁중 요리사, <추노>는 노비와 노비추적자, <바람의 화원>은 조선 시대 유명한 화가, <마의>는 수의사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런 점에서 정부가 정한 "수학의 해"를 맞이하여 조선 시대 수학과 수학자에 대한 역사드라마를 통해 수학의 중요성을 알리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 시대의 수학과 수학자를 주제로 한 역사드라마의 제작 이유를 두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현대수학은 매우 추상화되었으며 그 결과 일부 영역을 제외하면 학생이나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지 않다는 점이다. 둘째, 수학교육의 대중화의 측면에서 실생활과 관련된 내용을 활용하여 보다 쉽고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또한, 조선시대 수학과 수학자에 대한 역사 드라마를 제작하기 위한 주인공과 소재로 홍정하의 일화, 세종시대의 수학 연구, 홍길주의 수학 연구, 남병길과 이상혁의 공동연구, 이승훈의 수학 연구와 중인 수학자들의 수학 연구에 대한 역사적 사실들을 제시하였다.

문학과 드라마의 통섭 양상 연구 -1960년대 문학의 서사화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Convergence of Literature and Drama -Focused on the narrativization of literature in 1960s)

  • 손미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209-216
    • /
    • 2024
  • 본 연구는 드라마 <지금도 마로니에는>(2005)으로 드라마가 1960년대의 한국사회와 문학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전략을 검토한다. 이 드라마는 세 명의 인물에 주목하여 1960년대의 역사적 격변과 문학의 대응을 형상화한다. 특히 실존 정치인인 캐릭터를 등장시켜 당대의 역사적 사건을 정면으로 다룬다. 따라서 드라마는 해설자와 인터뷰, 그리고 영상자료를 통하여 역사적 사건을 설명하는 동시에, 정치사회적 사건들이 한국인의 내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김지하와 김승옥의 서사를 통해서 드라마는 1960년대 한국의 문학이 정치적·사회적 맥락 속에서 부당한 현실에 어떻게 대응하는가를 전달한다. 권력층에 정면으로 반항하는 김지하와 내면의 풍경을 그려내는 김승옥의 방식으로 정치적 현실과 문학의 대응을 영상서사로 그려낸다. 이로써 이 드라마는 다소 전형적이라는 한계를 지니지만, 1960년대의 정치사회적 맥락 속에서 문학의 의미는 무엇이었으며, 또한 한국인의 내면에 1960년대의 기억이 어떠한 흔적을 남겼는가에 관한 의미 있는 질문을 던진다.

대장금(大長今)' 관련 기록의 현대적 수용 - 문화콘텐츠로의 생성과 전개 양상 분석 - (The related record about 'Daejanggeum' and its modern acceptance)

  • 남은경
    • 동양고전연구
    • /
    • 제43호
    • /
    • pp.33-64
    • /
    • 2011
  • 2003년 텔레비전 사극(史劇)으로 방영된 드라마 <대장금(大長今)>은 원래 조선조 "중종실록(中宗實錄)"에 등장하는 궁중 여의(女醫)에 관한 단편적 역사기록을 토대로 만들어낸 이야기이다. 허구와 역사적 사실을 결합해 만들어낸 사극 <대장금>은 엄청난 인기를 끌면서 방송 드라마로만 끝나지 않고, 소설과 뮤지컬, 그리고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으로 재탄생하였다. 또한 드라마 촬영 장소는 테마파크로 만들어져 관광객을 유치하였고, '대장금'이란 이름은 각종 상품명으로 쓰이며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해내었다. 무엇보다 이 드라마는 해외에도 수출되어 한류(韓流) 드라마의 대표작이 되었다. 이렇듯 <대장금>은 과거의 고전 자료가 다양한 현대적 문화콘텐츠로 활용되어 성공할 수 있음을 증명한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대장금>의 성공 원인을 분석해보면 현대적인 새로운 여성인물을 창조해내었고, 웰빙을 추구하는 시대 흐름에 맞는 소재의 선택, 기존 사극과는 스토리 전개로 드라마 시나리오가 매우 탄탄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드라마 방영 전부터 '원소스멀티뉴즈(one source multi use)'의 방식을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콘텐츠들을 제작해낼 준비를 함께 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러한 대장금의 성공은 우리 고전 연구자에게 '고전의 현대적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 크다.

일본 시청자의 한국 드라마 시청에 관한 연구 -한일 역사 인식에 따른 한국 드라마 시청 성과를 중심으로- (Analysis of Korean Drama Viewing in Japanese Viewers -Effects of Historical Recognition with Korea and Japan-)

  • 김미선;유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44-54
    • /
    • 2014
  • 본 연구는 한류 확산의 진원지이자 한국 드라마 수출의 주요국인 일본을 대상으로 일본 시청자들의 한국 드라마 시청과 한국에 대한 태도 형성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한국과 일본은 과거 지배-피지배라는 역사적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바, 일본 시청자들의 한일 역사 인식에 따른 한국 드라마 시청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한국 드라마 주시청자층인 일본 여성 10~60대 250명을 대상으로 현지 서베이를 실시한 결과, 긍정적인 한일 역사 인식은 한국 드라마 시청의 높은 몰입행위를 나타냈고, 높은 몰입행위는 전체적인 한국 드라마 평가와 한국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일 역사 인식이 한국 드라마 수용의 주요 영향 요인임을 밝힌 연구결과는 발전적인 한국 드라마 유통을 위해 일본 시청자의 왜곡 없는 한일 역사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상호 문화외교적 정책방안이 재고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TV 사극 <이산>의 현대적 감각의 남자 궁중의상디자인 개발 (The Design Development of Man's Royal Costume in TV Historical Drama )

  • 이금희;이혜란
    • 복식문화연구
    • /
    • 제17권6호
    • /
    • pp.1112-112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oyal costume design with contemporary taste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hero, Lee San, and time flow of TV historical drama and research design discrimination and creative expression. As study methods, the literature study using books and theses concerning costume, fine art, culture and history were used for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empirical study method manufacturing actual costume on the basis of literature and relic were used for dress manufacture. The design concept of costume was modern & chic & clean. The costume was designed through straight silhouette, clean & bright colors excluding prime colors, style transformed to permanent straight pleats on the basis of chulik, 100% silk material focusing on high quality and pattern & decoration of the age of Three Kingdoms. As results, the designs of princess' official rob, day dress and chulik, and emperor's official robe, chulik, military dress and chun-dam-bok were developed. The design discrimination depending on social status change. In the period of princess, black, white, silver and blue were used but in the period of emperor, red, gold and black were used. It was expressed through dragon pattern and extended length used in cloth. The design discrimination depending on character change was visualized through color. Although it is not consistent with historical investigatio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elements were added to royal costume through color contrast of black & white, permanent straight pleats, velcore, wristlet, extended length and layered-look.

  • PDF

현대 대중과 역사 : 역사를 소재로 한 영상매체와 '리인액트먼트(Reenactment Activity)'를 중심으로 (Morden People and History : in terms of Historical Media and Reenactment Activity)

  • 박광순
    • 한국교육논총
    • /
    • 제37권1호
    • /
    • pp.19-32
    • /
    • 2016
  • 최근 역사를 소재로 한 영상매체가 사람들의 관심을 많이 끌고 있다. 특히 역사드라마와 영화를 통해서 사람들은 역사에 친숙함을 느끼고 있다. 본고에서는 역사드라마와 영화의 특징을 간단히 보고, 그 한계와 비판점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또한 최근 소수의 사람들이지만 인기를 얻고 있는 리인액트먼트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그 특징과 한계 및 비판점을 살펴보고 양 측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리인액트먼트를 우리말로 옮기면 '역사재현'이다. 역사재현이란 당대의 사건이나 생활상, 전투 등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참여자는 여기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이 주를 이룬다. 역사교육에서 이러한 영상매체와 리인액트먼트 활동은 현대 대중의 관심 속에서 역사를 대중화하고 친근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고 있다. 리인액트먼트는 역사드라마나 영화에 있어서 발생하는 몇 가지 제약을 해결하는데 우선적으로 비용적인 문제에서 큰 절감 효과를 노릴 수 있을 것이다.

  • PDF

TV 역사 드라마의 격구복식을 위한 연구와 제언 (A Study and the Suggestion of the Costume of Gyeokgu in the TV Historical Drama)

  • 김은정
    • 복식
    • /
    • 제63권1호
    • /
    • pp.27-41
    • /
    • 2013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stumes of Gyeokgu in different situations and to suggest when and how they should be used in historical drama. Gyeokgu is a type of polo game that was played in Korea and it was also known as Gyeokbong and Bonghee. The accounts of the game show that it was played during the South-North period as recorded in Balhaego, Haedongyeoksa, and Goryeosa until the Joseon period. The scenes of Gyeokgu have been shown in some historical dramas in order to make the story exciting or to show the life of royalty. The costume of Gyeokgu in the South-North period should be suggested Danryeong(團領), Bokdu, and Haw(靴) in a formal situation. The Gyeokgu in the Goryeo period was a sport for royalty. So the Gyeokgu costume in the Goryeo period was required to be worn with Danryeong(團領), Bokdu, and Haw(靴) for the kings and military officers in the early Goryeo period and with Cheollik(帖裡), Balip or Huklip(黑笠), and Haw(靴) from the middle of the Goryeo period. Women could wear Chima(skirt), Jeogori(blouse), Pyo, and Li(履) when they play Gyeokgu in the Goryeo period in the historical dramas. The Gyeokgu in the early Joseon period was a sport for the kings. After the king of Sejong, the Gyeokgu became a martial art for the military officers. The costume of Gyeokgu in the Joseon period should be Red Cheollik(紅帖裡), Kwadu, Jonglip, Gwangjodae(廣組帶), Sagu, and Haw(靴) as recorded in Muyedobotongji in the 18th century. The kings, servants, and military officers could wear the Cheollik and should be made in the different Git(collar), shape of the sleeves, and the proportion of the upper part and the underpart in each period properly. When the citizens play Gyeokgu, they could wear Geon(巾), Baji(pants), Jeogori(shirt), and Gipsin in the late Joseon period.